대출금리 올릴 가능성 높아…비대면 서비스 확대로 인원 감축 이어질 듯


2017년 은행업은 저성장 기조와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성장세가 둔화할 전망이다. / 사진=시사저널e

 

2017년 은행업은 저성장 기조와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성장세가 둔화할 전망이다. 은행들은 대출 감소에 따른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대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다. 은행들의 인원 감축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금융연구원은 내년 국내은행 대출자산 증가율을 3~5%로 예측했다. 올해 상반기 7.30% 보다 2~4%포인트 가량 낮다. 경제성장률이 둔화하고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를 강화했기 때문이다. 부동산과 건설 경기 하락 가능성도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4%로 낮췄다. 지난 5월 전망치보다 0.3%포인트 내렸다. 금융연구원은 2017년 경제성장률을 2.5%로 전망했다. 2016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2.7% 보다 낮다.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성장률이 낮아질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금융연구원은 민간소비 성장률이 올해 2.2%에서 내년 1.4%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투자 성장률은 7.1%에서 2.1%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하반기 주거용건물 건설 신규 착공이 줄어들고 정부가 내년까지 공공택지 공급 축소 계획을 밝혔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정부는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했다. 올 2월부터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시행했다.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은 대출시 원천징수영수증 등 객관성 높은 소득증빙자료를 활용하도록 한다. 처음부터 나눠 갚는 분할상환 원칙도 적용한다. 지난달 금융위원회는 내년 1월 1일 후 분양 공고하는 아파트 신규분양 사업장의 잔금대출에도 여신심사가이드라인을 적용하기로 했다.

총체적 상환능력을 심사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 지난 9일 도입했다. DSR은 주택담보대출과 카드론, 신용대출, 신용카드 미결제액 등 차주의 원리금 상환액을 모두 보여준다. 총부채상환비율(DTI)은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액과 기타대출의 이자 부담만 나타낸다. 이에 신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때 은행들이 더 깐깐히 심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금융당국은 2금융권 대출 급증에 대한 대책으로 저축은행 연체 판단기준과 충당금적립 기준도 강화하기로 했다.

다만 국내은행들은 이미 올해 급증한 집단대출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본격적 금리 상승 이전에 대출을 받고자 하는 잠재 수요도 상당하다. 실제로 지난 11월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3조원대로 늘었다. 10월 증가액 2조8732억원보다 2901억원 증가했다. 미국 금리 인상과 강화된 대출 규제 적용 시기가 다가오기 전에 미리 대출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국내은행들은 내년 대출자산 성장률 둔화 전망에도 이자이익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대출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서정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대출자산 증가세가 둔화돼도 시중금리 상승시 순이자마진(NIM)이 추가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며 "이자이익 규모는 올해 수준인 34조원 정도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벌써 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오름세다. 10월 예금은행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2.89%로 9월보다 0.09%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8월 이후 3개월 연속 올랐다. 미국이 이달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지난 8일 경제 전문가 62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Fed)는 오는 13~14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경제 전문가들은 연준이 2017년에 세 차례 금리 인상을 추가 단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한국도 금리 인상 압박이 커진다. 외국인 투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내년 은행들의 대손비용률 위험 요인으로 취약업종 구조조정, 부동산 경기 하락, 시중금리 상승 가능성 등이 꼽혔다. 서정호 연구위원은 "2017년에도 전반적인 저금리 기조 지속으로 일반은행의 대손비용률은 2016년과 같이 0.4% 수준에서 안정화 될 것"이라며 "다만 취약업종 구조조정 향배, 부동산 경기 하락, 시중금리 상승 가능성 등 잠재적 위험 요인들이 많다"고 말했다.

◇ 희망퇴직 늘고 신규채용 줄어

내년에도 올해에 이어 은행들의 인원 감축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부동산 경기 둔화 전망 등 경영 환경이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비대면 서비스 강화로 점포수가 줄고 있는 이유도 있다. 은행들은 올해 가계대출 급증으로 전년대비 대규모 흑자를 기록했지만 직원을 감축해 인건비를 줄였다. 

 

국내 일반은행의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5조7000억원으로 지난 한해 순이익 4조4000억원을 3분기만에 넘었다. 2014년 4조9000억원, 2013년 4조5000억원도 넘어섰다. 그럼에도 시중은행은 올 한해 희망퇴직으로 많은 직원들을 내보냈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신한·국민·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은 올 상반기에만 600여명을 희망퇴직시켰다.

시중은행들은 현재도 희망퇴직을 신청받고 있다. 지난달 농협은행은 1960년생 임금피크제 대상자와 40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았다. SC제일은행도 연말에 약 200명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할 계획이다. 국민은행은 오는 19일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2년 연속 희망퇴직 실시다. 이번 희망퇴직 자격에 연령 제한을 두지 않아 퇴직자 수가 늘 것이라는 분석이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내년 상반기 희망퇴직 시행을 검토하고 있다.

반면 은행권의 대졸 공채 규모는 줄었다. 하반기 신한은행(200명), 국민은행(300명), 우리은행(200명), 하나은행(200명), 농협은행(140명), 기업은행(180명) 등이 대졸 공채에 나섰다. 지난해 하반기 채용 규모보다 25% 가량 줄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인터넷뱅킹 등 비대면 서비스가 강화되면서 점포수가 줄고 있다. 내년에도 인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