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형 FSD 23일 한국 도입···미국·캐나다·중국 이어 7번째
FSD 출시 후 소비자들 사이에서 반응 뜨거워
현대차 HDP 도입 시기 관건···정부, 내년 자율주행 제도 개선 마무리

테슬라 FSD 모습. / 사진=테슬라코리아 홈페이지 갈무리
테슬라 FSD 모습. / 사진=테슬라코리아 홈페이지 갈무리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테슬라 자율주행시스템 ‘FSD(Full Self Driving)’가 한국에 출시됨에 따라 국내에서 본격적인 자율주행 시대가 가속화할 전망이다.

테슬라 FSD를 비롯해 GM 자율주행서비스 ‘슈퍼크루즈’도 한국서 선보이면서 국내 완성자동차 업계도 자율주행 기술력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 23일부터 감독형 FSD를 한국에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미국, 캐나다, 중국 등에 이어 7번째다.

앞서 지난 12일 테슬라는 공식 SNS를 통해 감독형 FSD의 한국 출시를 예고했으며, 이후 약 11일만에 한국에 정식 출시했다.

FSD는 차량이 가·감속, 차선 변경, 조향, 경로 탐색 등을 수행하지만, 운전자의 감시가 필요한 레벨2 단계 자율주행 기능이다.

국내에선 하드웨어 4.0을 장착한 차량에 우선 적용한다. 현재 국내 판매 중인 테슬라 차량 중에선 미국에서 생산한 모델X, 모델S 등이 대상이다. 해당 모델들은 국내에 약 1000대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는 최근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오류로 인해 국내 차주들 사이에서 여론이 악화됐으나, FSD가 나오면서 다시 분위기가 뒤바뀌고 있는 모습이다.

이와 더불어 GM도 캐딜락 에스컬레이드에 슈퍼크루즈를 첫 도입했다. GM은 국내 슈퍼크루즈 출시를 위해 약 100억원을 투자해 2만3000㎞ 이상의 한국 고속도로 및 주요 간선도로를 지원하도록 현지화했다. 현재 슈퍼크루즈를 도입한 국가는 북미와 중국, 한국 등 3개국이다.

◇ 국내 완성차 ‘발등의 불’···“차 팔려면 자율주행 기술 속도 내야”

테슬라 FSD가 국내 전기차 소비자들 사이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 완성차 기업들도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자동차 시장은 주행성능, 품질, 디자인 등이 구매 핵심 요소로 꼽혔으나, 전기차 시대로 바뀌면서 주행거리, 자율주행, 편의 사양 등 첨단 기술력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올라갔다.

현재 국내 자율주행 기능은 레벨 2단계 수준에서 멈춰있다. 미국 자동차기술학회(SAE)는 자율주행 기술을 레벨 0~레벨 5로 구분했다. 이 중 레벨 2는 차량이 정해진 조건 속에서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지만, 운전자는 항상 주변 상황을 주시해야 한다.

앞서 현대자동차그룹은 제네시스 G90과 기아 EV9에 HDP(고속도로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할 계획이었으나, 실제 도로 내 변수 등 문제로 출시가 지연되는 상황이다.

HDP는 레벨 3단계 수준의 자율주행으로, 일정 구간에선 운전자가 운전대에서 손을 놓고도 차량 스스로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본선 주행 시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앞 차와의 안전거리 및 차로를 유지하고, 최고 80㎞/h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15개의 센서와 정밀지도, 통합 제어기 등을 장착해 도로 환경에 맞춰 속도를 조절함은 물론, 전방 차량 및 끼어드는 차량을 판단해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자율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위험 상황에서 탑승자의 안전을 가장 먼저 고려해 대응할 수 있는 기능도 갖췄다.

더불어 현대차는 AI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나선다. AI 자율주행은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차량 주변을 스스로 인지하고, 실시간으로 판단해 주행하는 기술이다.

현대차그룹은 엔드 투 엔드 딥러닝 모델 기반의 ‘아트리아 AI’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포티투닷 및 자율주행 합작법인 모셔널과 해당 기술 구현을 가속화한다.

KGM도 자율주행기술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비용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기술기업들과 협업을 늘려가는 모습이다.

특히 정부가 자율주행 시대를 위해 내년까지 제도 개선을 마무리 지을 계획이라, 향후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정부는 임시 운행 제한 구역을 완화하고 자율주행 시범 운행 지구를 확대하는 등 관련 규제를 우선 개선할 방침이다. 내년에는 자율주행차 실증 범위를 도시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오는 2028년부터 본격적으로 자율주행차를 국내에서 양산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