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 시사저널e ‘제약바이오 국제포럼’서 기조연설
“FTA 위기, 정부 투자와 법제화로 극복···생태계 변화·발전 계기”
“정부 주도형 바이오클러스터, 민간 자율성 재고도 고민해야”

21일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이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시사저널e 2021 제약바이오 국제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 / 사진=최기원 PD.
21일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이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시사저널e 2021 제약바이오 국제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 / 사진=최기원 PD

[시사저널e=주재한 기자] “1990년 이전까지 제약바이오 분야는 완제의약품을 국내에 공급하는 자국화에 노력이 집중됐다. 그러나 1990년 이후 신약개발이 본격화되고, 현대에 이르러 제약바이오 분야를 산업으로 보기 시작했다. 내수산업에서 수출 지향적 산업으로 발전한 것이다. 이 모든 과정에서 정부정책이 굉장히 중요했다. 타 산업에 비해 제약바이오 산업은 인허가와 특허 등 정부의 정책의지와 맞물려 발전했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21일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시사저널e 주최로 열린 2021 제약바이오 국제포럼에서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동향과 발전방안’을 주제로 기조연설하며 “제약바이오 산업은 국가가 주도하고 리드하는 규제산업이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수출 지향적 산업으로 변화한 제약바이오 분야는 정부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성장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정 원장은 2007년 한미 FTA 체결로 국내 제약산업이 전환점을 맞았다고 분석했다. 그는 “FTA는 위기가 곧 기회가 된 사례다. 농업과 제약 산업이 소위 피해를 봤다”며 “정부는 이에 대한 보안대책으로 10년간 1조원의 예산 규모로 32개 과제를 발표했는데, 이를 계기로 산업 발전의 가능성에 대한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에서도 법제화가 이뤄졌다. 제약산업육성법 등 법적근거가 마련됐고 이행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매년 제약사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을 수립했다. 소위 성공모델을 이끌 수 있는 혁신적 제약기업 인증하고 각종 지원대책을 마련했다”며 “제약산업육성법 등 법제화가 생태계를 변화, 발전시킨 계기가 됐다”고 했다.

정 원장은 또 다른 사례로 최근 정부의 ‘글로벌 백신 허브와 비전 및 전략’ 사례도 소개했다.

그는 “2021년 8월 정부는 코로나19 국산 백신 개발과 백신 5대 강국 도약을 추진했다. 11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백신개발, 글로벌 생산협력 확대, 백신 허브 기반 신속 구축 등 3대 전략을 추진 중이다”며 “정부의 신속적인 대응으로 K-방역이라는 모델이 나왔다고 해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향후 5년간 최대 2.2조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각종 인프라와 백신역량 또한 강화될 것이다”며 “정책효과를 분석한 결과 고용, 기술 수출, R&D 투자금 등 수치가 아주 높은 수치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약산업에서의 정책적 지원이 얼마만큼 산업을 발전시키는지 간접적으로 가늠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정 원장은 제약품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측면에서 정부와 민간의 합동모델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바이오 선진국들에서 보편적 개념으로 자리잡은 ‘바이오클러스터’에 대한 고민을 시작할 시점이라는 이야기다. 바이오클러스터란 혁신적인 바이오 연구를 위한 대학, 비즈니스 개발을 위한 기업, 연구와 비즈니스를 연결하는 병원 등이 지역 기반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한 결합체를 말한다.

그는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정부 주동형의 모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좋은 해외모델로 평가되는 샌디에고, 보스턴 클러스터는 조직체계나 시스템 등을 스스로 결정하게 하면서 자립도가 높은 모습을 볼 수 있다”며 “우리나라 16개 바이오 클러스터 역시 좀 더 자율적이고 생태계 속에서 유기적으로 움직 일 수 있도록 정책과 시스템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