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대기업부터 프랜차이즈 업계까지···탈 플라스틱 마케팅 활발
일회용 플라스틱컵 둘러싼 갈등 여전···연말 제도 시행될지 주목

유통업계 전반에 탈 플라스틱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 사진=셔터스톡
유통업계 전반에 탈 플라스틱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 사진=셔터스톡

[시사저널e=한다원 기자]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가치소비가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정부의 탄소중립 강화 정책에 따라 유통가는 전자영수증을 발급하거나 배송차량을 전기차로 변경, 친환경 종이가방 대체 등으로 탄소 배출 감소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유통업계는 ‘탈(脫) 플라스틱’을 우선과제로 내세웠다. 일회용 플라스틱 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업계 움직임은 활발해지고 있지만 제도 시행을 둘러싼 이견차가 존재해 해당 정책이 완전히 자리 잡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가장 탈 플라스틱에 적극적인 곳은 식음료 프랜차이즈다.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매장 내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빨대를 줄이고 재생 가능한 포장재로 바꾸는데 집중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업계의 탈 플라스틱 움직임 가속

대표적으로 맥도날드는 2025년까지 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에서 사용하는 포장재를 100% 재생·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맥도날드는 지난 2020년 10월부터 업계 최초 빨대가 필요 없는 음료 뚜껑을 전국 매장에 도입했다. 플라스틱 빨대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총 114.6t(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감축했다.

이와 함께 맥도날드는 매장에서 발생한 종이컵, 플라스틱 등 폐기물을 수거해 총 15만㎏의 이산화탄소를 줄였다. 향후 맥도날드는 전국 매장에서 일회용 식기류 대신 다회용기를 제공하는 등 올해만 약 9.54t의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타벅스코리아도 2030년까지 스타벅스 운영과 매장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50% 감축을 목표로 친환경 활동을 펴고 있다. 스타벅스는 2018년부터 종이빨대와 나무스틱을 전국 매장으로 확대하고 빨대 없이 마실 수 있는 아이스컵 뚜껑을 도입했다. 동시에 스타벅스는 매월 10일을 ‘일회용컵(1)이 없는 날(0)’로 지정해 다회용컵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업계 외에도 유통업체들은 플라스틱 대체품에 관심을 갖고 있다. 식음료 업체는 겉면 포장지를 줄이기 위해 무라벨 용기를 제작하고 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종이영수증을 전자영수증으로 바꾸고 점포 업무용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고 있다. 올해 초에는 환경부가 다양한 친환경 소비 유형별로 포인트를 적립하는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 제도를 시행해 대형마트는 전자영수증을 발급한 고객들에게 건당 100원의 포인트를 제공해주고 있다.

무라벨 생수. / 사진=한다원 기자
무라벨 생수. / 사진=한다원 기자

◇일회용 컵 보증금, 회수기 둘러싼 딜레마

이처럼 유통업계의 탈 플라스틱 분위기는 형성됐지만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가 다회용기로 완전히 전환되기 까지는 갈 길이 멀다. 환경부는 당초 이달부터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일회용 플라스틱컵 보증금제 시행을 준비했으나 중소상공인들의 반발로 연말까지 유예됐다.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소비자가 일회용컵 사용시 1개당 300원의 자원순환보증금을 포함한 가격까지 지불하고 사용 후 반납하면 바코드 확인 후 지불했던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해당 제도는 커피숍, 제과·제빵점, 패스트푸드점 등 전국 3만8000여개 매장에 적용될 예정이다.

다만 중소상공인들 사이에서는 보증금 반환 확인에 필요한 바코드 라벨 구입 및 부착, 반환된 컵 보관 등을 문제로 삼고 있다. 일회용컵 보증금 반환을 위해서는 컵에 바코드 부착은 필연적인데 소상공인들이 이를 직접 구매해야해 부담이 크다는 것이다.

실제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 Q&A 민원창에서는 “프랜차이즈 카페 점주들만 손해다”, “일회용컵 보증금 제도 폐지해달라”, “회수는 정부가 알아서해라” 등 1000여건의 불만글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일회용컵 반환기 수거처도 결정하지 못했다. 정부는 주민센터, 아파트단지와 편의점에 설치하려 했으나 편의점 업계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한국편의점주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환경부가 2년 여 동안 추진해온 허점투성이의 컵보증금제를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시행하려다 반발제 부딪쳐 시행을 연기했다”며 “환경부는 편의점이 커피전문점에서 발생하는 일회용컵 10%정도를 편의점이 대신 회수하는 꼼수를 내놓았다”고 지적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취지는 공감하지만 일회용 플라스틱컵 사용을 두고 소상공인들의 매출 감소, 인력 채용, 소비자 위생 등 불만 의견이 늘고 있다”며 “정부가 관련 제도를 시행하기 전에 여러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이 먼저다”고 밝혔다.

환경부 측은 “유예기간 동안 중소상공인, 영세 프랜차이즈의 제도 이행을 지원하면서 제도 이행에 따르는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행정적, 경제적 방안을 적극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