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급 속도 가속화···올해 1~5월 승용차 모델 전년 동기 대비 75% 늘어
충전인프라 부족 비롯 비싼 배터리 가격·화재 위험성 등 해결 과제
수소차 보급 더뎌···예산 삭감했지만 잠재성 고려해 보조금 규모 유지

[시사저널e=유주엽 기자] 전 세계적인 친환경 흐름 속에서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한다. 정부는 전기차(BEV)와 수소전기차(FCEV)를 ‘무공해차’로 분류해, 기존 하이브리드차(HEV) 및 LPG·CNG 차종과 구분 짓고 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현대자동차는 2045년까지 한국을 포함해 글로벌 시장에서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하겠단 목표로 정부의 탄소중립 흐름에 발맞춰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친환경차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전기차 시장, 10년 동안 1900% 성장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전기차 보급대수는 약 22만9000대 수준으로 2011년 1만2000대에 비해 약 19배가 늘었다. 특히 승용차 영역에서 전기차 보급 속도가 빠르다. 자동차시세 사이트 카이즈유에 따르면 올해 1~5월 전기차 등록대수는 5만6316대로 전년 동기 1만4234대 대비 75% 증가했다.

전기차 및 수소차 보급확산 추이 / 캡쳐=환경부
전기차 및 수소차 보급확산 추이 / 캡쳐=환경부

전기차 보급 속도는 정부의 보조금 지급으로 탄력을 받았다. 정부는 앞서 올해 무공해차 보급 예산안을 2조4000억원 규모로 책정해 지난해에 비해 1조원 이상을 늘린 바 있다. 5500만원 미만 전기차 모델에 최대 700만원을, 5500만원 이상 8500만원 미만 모델에 최대 35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지자체도 지역에 따라 보조금을 최대 200만~1100만원 지급한다.

전기차 모델은 운행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차 모델로 분류된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내연기관차는 석유연료를 연소하기 때문에 아무리 친환경적으로 만든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지만 전기차는 에너지 부문에서 보다 친환경적”이라며 “비록 폐배터리 문제가 남아있지만 이는 전기차가 발전하는 과정의 일환이다”고 말했다.

다만 충전 인프라 부족을 비롯해 높은 배터리 가격 및 화재 위험성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향후 해결과제로 떠올랐다.

정부는 올해 약 6만기의 충전기를 추가 보급해 누적 16만기 달성을 목표로 밝혔다. 그러나 실질적인 전기차 보급 확산을 위해 거주지마다 충전용 콘센트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노후화된 건물까지 충전시설을 마련하려면 다소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높은 배터리 가격 또한 문제다. 전기차용 배터리는 통상 약 20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배터리 비용은 전기차 구매와 교체 과정에서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그나마 전기차를 구매할 땐 보조금을 지급받지만, 보증 기간이 넘어 배터리를 교체하려면 소형차 가격에 준하는 값을 내야 한다.

최근엔 화재 위험성 또한 주목을 받는다. 전기차에 주로 적용되는 리튬이온 소재 배터리는 화재에 취약하다. 다량의 배터리를 연이어 붙여두는 전기차 구조는 전기차의 화재 위험성을 더한다. 

◇ 아직은 더딘 수소차 보급···투자 지속

전기차의 한계 속에 흔히 수소차로 불리는 수소전기차는 상대적으로 전기차 대비 더 친환경적인 모델로 평가받는다. 배터리가 탑재되지 않아 폐배터리 문제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이다. 수소차는 배터리 대신 수소연료 탱크를 보유해 수소를 저장하고 이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 사용한다.

국내 유일 수소 승용차 넥쏘 / 사진=연합뉴스
국내 유일 수소 승용차 넥쏘 / 사진=연합뉴스

다만 수소차는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기차에 비해 보급 속도가 더딘 편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누적 수소차 보급량은 1만9000대 수준에 그쳤다. 2016년 94대에 에 비하면 많이 늘었지만 전기차 보급 속도에 비해선 느린 편이다.

수소차 보급이 쉽지 않은 이유로는 전기차보다 높은 부품 가격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수소연료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스택’의 가격은 약 30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현대차 수소연료모델 ‘넥쏘’의 가격은 6765만원이다. 아이오닉5 4695만원보다도 2000만원 이상이 비싼데 스택의 영향이 크다. 스택 또한 교체 시 비용 부담이 따른다.

한편 정부는 수소차 보급이 난항을 겪자 올해 추경 예산을 2250억원 삭감하기로 결정했다. 예산 삭감과 관련해 환경부 관계자는 “수소차에 대한 수요가 예상보다 높지 않으며, 최근엔 반도체 수급난 영향으로 후속모델 출시까지 미뤄지며 예산을 삭감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다만 보조금액엔 변동 사항이 없다”고 전했다.

정부는 수소차의 더딘 보급속도에도 불구하고 수소차의 친환경성 및 향후 상품성에 주목하며 보조금 제도를 유지한다. 정부는 올해 수소차 추가 2만8000대 보급을 목표로 수소차 모델 넥쏘에 국고보조금 225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지자체 보조금은 지역별로 1000만~1750만원 수준에서 추가 지급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