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에서 3·1운동에 앞장···개성여자교육회 활동
근우회 개성지회 설립 지원해 ‘국권 회복·여성 권익 신장’ 노력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이했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1919년 3월1일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이어 그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 지사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보여줬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어윤희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어윤희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어윤희(魚允姬) 선생은 민족독립 투쟁과 여성 지위 향상에 힘썼다. 1919년 3월 1일 개성 시내에 독립선언서를 배포해 개성 3·1운동에 앞장섰다. 선생은 3·1운동으로 일본 경찰에 끌려갔다. 그러나 옥중에서도 유관순 선생과 함께 3·1운동 1주년 기념 만세운동을 계획했다. 출옥 후 계성여자교육회에서 활동하고 근우회의 개성지회 설립을 지원했다. 여성 계몽과 교육을 통한 여성해방, 민족독립을 위해 활동했다.

어윤희 선생은 1881년 충북 충주시 소태면 덕은리에서 태어났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선생의 아버지는 “말은 충성되고 미쁘게(믿음성 있게), 행실은 착실하고 남을 공경하라”고 강조했다. 선생은 12살에 어머니를 여의고 1894년 결혼했다. 그러나 그 해 동학농민전쟁이 일어나 선생의 남편은 결혼한 지 3일 만에 동학군이 되어 집을 떠났다. 남편은 전투 중 전사했다.

어윤희 선생은 1909년 경기도 개성에 정착했다. 그 후 선생은 기독교에 입문해 북부교회와 인연을 맺었다. 선생은 개성의 미리흠(美理欽)여학교에 입학했다. 재학시절 교육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개성동부교회 부속학교 교사로 일했다.

◇ 개성 3.1운동에 앞장···형무소에서 유관순과 3.1운동 1주년 만세투쟁

어윤희 선생은 독립선언서 배포로 개성지역 3.1운동을 촉발시켰다.

1919년 전민족적 항일투쟁인 3·1운동의 추진 주체였던 민족대표들은 3·1운동의 지방 확산과 대중화를 계획했다.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인 오화영 목사는 개성지역의 연락을 책임지고 2월 중순부터 적임자를 찾았다. 오화영 목사의 동생 오은영은 1919년 2월 28일 개성을 급히 찾아 독립선언서 100매를 개성북부교회 목사 강조원에게 전달했다. 강조원은 3월 1일 아침 독립선언서를 전도사 신공량에게 전달했다. 신공량은 전달받은 독립선언서를 배포할 사람을 찾았지만 선뜻 위험을 감수할 자가 없었다. 이를 전해들은 어윤희 선생은 자신이 선언서를 배포하겠다며 나섰다.

독립선언서 80매를 전달받은 선생은 신관빈과 함께 오후 2시 거리에서 ‘조선독립선언서’ 라고 알리면서 조선인과 부근 주민 수십 명에게 독립선언서를 나눠줬다. 이에 개성지역의 3·1운동이 송도고보와 호수돈여학교 학생들 중심으로 확산됐다.

선생은 곧바로 일본 경찰에 끌려갔다. 1919년 4월 11일 보안법위반으로 1년 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 받았다. 선생은 재판 후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다.

어윤희 선생은 감옥에서도 항일투쟁을 이어갔다. 당시 함께 수감됐던 여성들도 옥중투쟁을 쉬지 않고 했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 중인 어윤희 선생과 여성 투사들은 1919년 12월 크리스마스 전날 옥중 만세시위 투쟁을 했다. 일제의 무도한 탄압과 모진 악형에도 여성 투사들은 1920년 3월 1일을 맞아 3·1운동 1주년 기념 만세투쟁도 실행했다.

1920년 2월 말 서대문형무소 안에서 선생은 유관순 선생 등과 함께 이 투쟁을 준비했다. 이들은 ‘통방’이라는 감방 안 비밀 통신방법으로 17개 여자 감방의 세(勢)를 모아 3월 1일 오후 2시 일시에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며 옥중 만세투쟁을 했다. 일본인 교도관들은 주도한 사람을 찾고자 여성 투옥자들을 고문했다. 유관순 선생은 고문 후유증으로 순국했다.

선생은 1년 이상 투옥 후 1920년 4월 28일의 사면령으로 출감했다.

◇ 개성여자교육회, 신간회 활동···국권 회복과 여성 권익 신장 노력

출옥 후 어윤희 선생은 개성에서 여성들을 대상으로 민족의식 향상과 계몽 교육활동에 힘썼다.

선생은 개성여자교육회, 신간회와 근우회의 개성지회 등에서 지도급 인사로 이 지역 민족독립투쟁과 여권 신장활동에 앞장섰다.

1920년 7월 15일 개성의 여성 지도자들은 개성여자교육회를 만들었다. 선생도 이에 동참했다. 개성여자교육회는 여성의식을 계몽해 여성 인격과 사상, 행동을 개조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개성여자교육회는 조선여자교육회와 같이 국권 회복과 여성의 권익신장을 목표로 했다. 강연 등을 통해 여성들의 사회의식을 자각시키고 세계관을 넓혔다. 어윤희 선생은 1929년경 개성여자교육회 회장에 취임했다.

선생은 개성 신간지회와 자매단체인 근우회 개성지회에서도 활동했다.

◇ 근우회 개성지회 설립 도움···여성 지위 향상 힘 써

신간회의 자매단체인 근우회 개성지회 결성은 어윤희 선생의 도움이 컸다.

근우회의 창립 이념은 여성의 공고한 단결과 지위 향상이었다. 운동 목표는 봉건적 굴레와 일제침략으로부터 해방이었다. 근우회 조직은 지도부의 민족주의계(종교계), 사회주의계 여성운동가, 여학생, 직업여성 등 지식인 여성과 여성농민, 여성노동자, 전업주부에 이르기까지 각계각층 여성이 참여했다. 1930년까지 118개 지회가 만들어졌다.

근우회 개성지회는 1929년 6월 15일 만들어졌다. 1929년 1월 신간회 간사였던 어윤희 선생이 개성여자교육회의 회장직을 맡으면서 이 단체를 근간으로 근우회 개성지회가 출범했다. 양 단체에 관여했던 선생을 매개로 근우회 개성지회가 만들어졌다.

국가보훈처는 “근우회가 지향하는 여성지위 향상과 민족독립투쟁 목표가 바로 어윤희 선생 자신이 추구하는 것이었다”며 “선생은 민족독립운동전선에 동참해 여성계몽과 교육을 통한 여성해방과 민족독립을 위해 활동했다”고 말했다.

1931년 5월 신간회 해소 후 어윤희 선생은 민족운동단체에서 물러나 아동복지활동에 헌신했다. 1937년 감리교와 개성 유지의 도움으로 개성 고려정에 ‘유린보육원’이란 고아원을 만들어 고아들을 보살폈다. 선생은 해방 후 남한으로 내려와 서울 마포에 이 고아원을 다시 지었다. 남은 생을 복지활동으로 보냈다. 선생은 1961년 11월 18일 유린보육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어윤희 선생과 선생이 설립한 유린양육원 어린이들. / 사진=국가보훈처
어윤희 선생과 선생이 설립한 유린양육원 어린이들. / 사진=국가보훈처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