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여성 의병 지도자···‘여성 의병’ 조직·항일 인재 양성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그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윤희순 선생. / 이미지=보훈처
윤희순 선생 초상화 / 이미지=보훈처

윤희순(尹熙順) 선생은 최초의 여성 의병 지도자다. 초기 을미의병부터 후기 정미의병 때까지 의병운동에 참여했다. 여성의병을 조직했다. 의병가를 만들어 여성과 청년들에게 독립운동 정신을 일깨웠다. 의병과 싸우던 관군, 의병을 밀고했던 밀고자들, 일본군에게 경고문을 작성했다. 항일 인재를 키우기 위한 교육운동도 했다.

윤희순 선생은 1860년 경기도 구리에서 태어났다. 윤 선생은 16세에 고흥 유씨 집안의 유제원(柳濟遠)과 결혼했다. 유제원은 춘천 의병장 외당 유홍석의 장남이자 팔도창의대장 의암 유인석의 조카다.

1896년 단발령 발표 후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에서 의병운동이 일어났다. 윤 선생의 시아버지 유홍석은 춘천 유림들과 함께 이소응을 의병대장으로 추대하고 의병운동을 시작했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윤 선생은 의병부대가 밥을 달라고 요구하면 가족들이 먹어야 할 쌀까지 주며 지원했다.

윤 선생은 마을 여성들에게 “나라를 구하는 데는 남녀의 구별이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선생은 여자들도 의병에 참여하고 의병대를 도와줘야 한다며 ‘안사람 의병가’를 지었다. 여성들에게 의병활동을 촉구하기 위해서다.

◇ ‘여성 의병’을 조직하다

1907년 일본이 한국 군인들을 해산시키고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자 유홍석은 춘천에서 의병 600명을 모아 일본군과 전투를 했다.

당시 윤희순 선생은 의병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윤 선생은 춘천의병에 참여했던 의병장의 부인, 고흥 유씨 집안 여성들, 향촌 여성들 76명으로부터 군자금 355냥을 모집했다. 이 자금으로 놋쇠와 구리 등을 구입했다. 탄환, 유황 등을 모아 화약을 제조해 공급하는 탄약 제조소를 운영했다. 윤 선생은 가정리 여성 30여 명으로 구성된 여성 의병을 조직했다.

보훈처에 따르면 여성 의병은 직접 의병 훈련에 참가했다. 윤 선생은 남장을 하고 정보 수집에 나서기도 했다. 의병 취사와 세탁도 도왔다.

1910년 한일병합 후 시아버지 유홍석과 남편 유제원은 중국으로 먼저 떠났다. 선생은 가산을 정리한 다음 뒤 따라가려 했다. 그러나 이튿날 일본 경찰과 앞잡이들이 윤 선생을 찾아와 유홍석이 어디로 갔는지 물었다. 이들은 선생이 모른다고 하자 어린 아들 유돈상을 때렸다.

이에 윤 선생은 “자식을 죽이고 내가 죽을지언정 큰 일 하시는 시아버지를 죽도록 알려줄 줄 아느냐”며 끝내 알려주지 않았다. 일본 경찰은 그냥 돌아갔다.

◇ 의병가와 경고문 지어 ‘나라 구하기’ 활동 촉구

윤희순 선생이 만든 의병가. / 사진=국가보훈처
윤희순 선생이 만든 의병가 / 사진=국가보훈처

선생은 8편의 의병가와 4편의 경고문을 만들어 나라 구하기 활동을 촉구했다. 많은 여성들이 의병운동에 참여하도록하기 위해서다. ‘안사람 의병가’, ‘안사람 의병노래’ 등을 지었다.

의병을 진압하는 관군에게 “우리나라 좀 벌레 같은 놈들아, 어디 가서 살 수 없어 오랑캐나 쫓는단 말인가, 오랑캐를 잡자 하니 내 사람을 잡겠구나, 죽더라도 서러워 마라 우리 의병들은 금수를 잡는 것이다”라고 했다. 일본군의 앞잡이 노릇을 한 같은 민족에게는 “너희는 어느 나라 사람인고, 너희들은 무슨 일로 그다지도 모르는가”라고 꾸짖었다.

청년들에게는 “우리 조선 청년들아, 의병하러 나가보세, 의병하여 나라 찾자, 조선의기 청년들아, 빨리 나와 의병하여 보세, 아낙네들 나와 의병을 돕는데 하물며 우리 청년들아 나라 잃고 가만히 있을 소냐, 너도 나가고 나도 나가자”라고 호소했다.

보훈처는 선생의 이러한 의병가와 경고문에 힘입어 많은 사람들이 의병운동에 참여했다고 했다.

◇ 중국에서 노학당 만들어 ‘항일 인재’ 기르다

선생은 1911년 시아버지와 남편의 뒤를 따라 중국으로 망명했다. 1935년까지 25년 동안 가족들과 함께 항일운동을 했다. 집안의 남자들이 모두 의병운동을 하러 떠나자 선생과 아이들은 산에 올라가 나무 껍데기와 풀뿌리 따위로 목숨을 이어갔다.

의병 가족들은 이렇게 어려운 상황에서도 의병들 뒷바라지를 했다. 윤희순 선생은 이웃마을의 조선인과 중국인들에게 항일선전을 하고 군자금을 모집해 항일운동단체에 전달했다.

선생은 이회영, 우병렬, 우병렬의 부인 채인산, 중국인 도원훈과 손홍령 등의 도움으로 환인현 보락보진 남괴마자에 동창학교 분교인 노학당을 세웠다.

선생은 매일 몇 십리 길을 걸어 다니면서 학교운영에 사용할 자금을 모집했다. 이웃들에게는 항일 애국노래를 가르쳤다. 선생의 노력으로 김경도, 박종수, 이정헌, 마덕창 등 50여 명의 항일운동가를 양성했다.

1913년 시아버지 유홍석, 1915년 남편 유제원이 세상을 떠나자 선생은 무순 포가둔으로 이주했다. 선생은 이곳을 중심으로 조선독립단과 조선독립단 가족부대를 조직하고 조선독립단학교를 세웠다.

조선독립단은 선생과 아들 유돈상을 중심으로 조직됐다. 보훈처는 “선생과 유돈상은 항일선전을 강화해 중국인들을 각성시켜 연합투쟁을 하는 것이 급선무라 생각하고 조선독립단을 한·중 연합으로 조직했다”며 “유돈상은 만주와 몽고에 흩어져 있는 유홍석의 문인, 친지들, 항일운동가들을 찾아 다니며 180여 명의 중국인과 조선인들을 동지로 모았다. 항일운동가 양성을 위해 조선독립단학교를 설립해 학생들에게 국권회복과 항일투쟁에 대해 강의했다”고 설명했다.

윤 선생은 조선독립단 가족부대를 만들고 부대원들과 함께 훈련에 참가하기도 했다. 1930년대 초 윤희순 선생은 요녕성 동고촌 뒷산 밑으로 이주해 항일운동을 했다. 그러나 일본군과 앞잡이들이 들이닥쳐 집에 불을 질렀다. 아들 유돈상은 조선독립단으로 떠나고 선생은 다른 가족들과 모두 흩어졌다.

선생은 당시 ‘신세타령’이라는 가사를 지어 어려운 상황을 표현했다.

“슬프고도 슬프다, 이내신세 슬프도다, 이국만리 이내신세 슬프고도 슬프도다, 보이는 눈 쇠경이요 들리는 귀 막혔구나, 말하는 입 벙어리요 슬프고도 슬프도다, 이내신세 슬프도다 보이나니 까마기라, 우리조선 어디가고 왜놈들이 득실하나, 우리인군 어디가고 왜놈대장 활기치나, 우리의병 어디가고 왜놈군대 득실하니, 이내몸이 어이할고 어디간들 반겨줄까, 어디간들 반겨줄까”

선생은 중국인 집과 친척 집을 떠돌아 다니다 해성현 묘관둔으로 이사했다. 선생은 이곳을 항일운동의 근거지로 삼았다.

그러던 중 아들 유돈상이 독립운동을 하다 장인 음성국과 함께 일제에 붙잡혔다. 유돈상은 혹독한 고문을 받고 풀려났다. 유돈상은 윤 선생의 품 안에서 세상을 떠났다. 이 일이 있은 지 11일만에 선생도 세상을 떠났다. 1935년 8월 1일이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83년 대통령 표창과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