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내세우지 않고 임시정부 실무 수행···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청년단 결성해 임시정부 지켜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엄항섭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엄항섭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엄항섭 선생은 임시정부에 헌신했다. 한국독립당의 중앙집행위원, 임시의정원 의원, 임시정부 주석 판공실 비서로 헌신했지만 이름을 내세우지 않았다. 임시정부가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 상해 프랑스 조계의 공무국에 취직해 자신의 월급으로 임정 요인들의 끼니를 해결하고 이들의 피신을 도왔다. 특히 엄항섭 선생은 김구의 최측근으로 김구가 작성한 각종 글을 외국어로 번역해 전세계에 알리기도 했다. 김구가 피신할 때도 따라갔다.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청년단, 한국청년전위단 등을 만들어 임정을 지켰다.

엄항섭 선생은 음력 1898년 9월 1일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현 산북면)에서 태어났다. 선생이 보성법률상업학교에 다니고 있을 때 3.1운동이 일어났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선생은 3.1운동을 보고 독립운동에 헌신하기로 결심했다. 전 국민이 일어나 조국의 자주독립을 부르짖는 것을 보고 깨달은 것이다. 이에 선생은 중국 상해로 망명했다. 선생은 상해 임시정부에 참여해 김구를 만났다.

◇ 경제적으로 어려운 임정 요인들 끼니와 피신 돕다

선생이 1919년 9월 임시정부 법무부 참사에 임명됐다. 그러나 임시정부에 오래 있지 않았다. 선생은 학업을 계속하고자 했다. 선생은 항주의 지강(芝江)대학에 입학했다. 선생은 지강대학에서 중국어·영어·불어 등을 공부했다. 이 때의 어학 공부가 후일 임시정부에서 긴요하게 쓰였다.

선생은 1922년 지강대학 졸업 후 상해로 돌아왔다. 그러나 당시 임시정부는 어려운 상태였다. 대통령 이승만은 미국으로 돌아갔다. 국무총리 이동휘도 떠났다. 대부분의 각원들도 사퇴했다. 임시정부는 조직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였다. 김구와 이동녕 등 소수만이 임시정부를 지키고 있었다.

임시정부는 경제적으로도 매우 어려웠다. 임시정부 청사의 집세조차 내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김구·이동녕 등 임시정부 요인들의 끼니 조차 해결하기 어려웠다.

엄항섭 선생은 임시정부를 유지하기 위해 당시 프랑스 조계의 공무국에 취직했다. 선생은 월급을 받아 임시정부 요인들의 끼니를 해결했다. 또 일본영사관에서 한인들을 체포하려는 정보를 얻어내고자 했다. 당시 상해의 일본영사관이 임시정부 요인들을 체포하려면 사전에 프랑스 조계 당국의 양해를 얻어야 했다. 선생은 프랑스 공무국에 근무하면서 이러한 정보들을 입수해 임시정부 요인들을 미리 피신하도록 했다.

◇ 김구가 믿은 최측근 엄항섭···임시정부 헌법 개정 도와

선생은 임시정부에서 줄곧 김구와 함께 활동했다. 선생은 김구의 활동을 뒤에서 도왔다.

김구는 1926년 12월 국무령에 취임하고 임시정부를 활성화하기 위해 헌법을 개정했다. 당시 엄항섭 선생은 프랑스 조계의 공무국에서 일하면서 임시정부의 헌법 개정을 도왔다.

헌법 개정은 대통령·국무령과 같은 단일 지도체제의 폐단을 극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만들어졌다. 집단 지도 체제인 국무위원제를 도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내용의 ‘대한민국임시약헌’이 1927년 4월 11일 제정 공포됐다.

선생은 김구가 발표하는 각종 글을 번역했다. 이봉창(李奉昌)과 윤봉길(尹奉吉)의 의거를 주도했던 김구는 두 사람의 의거를 세상에 알리고자 했다. 김구는 이봉창이 사형에 처해진다는 소식을 듣고 이봉창의 행적과 그가 결행한 일황 저격 의거의 경과와 사실을 ‘동경작안지진상(東京炸案之眞相)’이란 제목으로 작성했다. 엄항섭 선생이 이 글을 중국어로 번역했다. 이 글은 중국의 신강일보(申江日報)와 중앙일보(中央日報)에 보도됐다.

김구가 가흥(嘉興)으로 피신해 있을 때도 선생은 함께 했다. 이봉창·윤봉길 의거 후 일제는 엄청난 현상금을 걸고 김구를 체포하려 했다. 엄항섭 선생은 중국 측과 교섭해 가흥에 있는 저보성(楮輔成)의 집을 김구의 피신처로 마련했다.

선생은 김구가 장개석을 만나러 갈 때도 수행했다. 중국측은 김구가 주도한 이봉창·윤봉길의 의거에 대해 크게 감격했다. 이 면담에서 중국은 한국 독립운동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한인 청년들을 낙양 군관학교에서 훈련하도록 했다.

◇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청년단, 청년전위단 결성해 임시정부 지켜

1930년대 많은 정당들이 만들어졌고 이들을 중심으로 대일 전선을 통일하자는 운동이 일어났다. 통일운동은 여러 정당이 통일해 단일 신당을 만들고 독립운동을 하자는 운동이었다. 이 과정에서 임시정부를 폐지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이 통일운동에 임시정부의 기초세력인 한국독립당의 주요 인사들도 참여했다. 1935년 7월 의열단·신한혁명당·조선혁명당·대한독립당이 통일을 이뤄 민족혁명당을 결성했다. 한국독립당은 해체됐다. 그리고 임시정부는 무정부 상태를 맞았다.

엄항섭 선생은 통일운동에 참여하지 않았다. 임시정부의 폐지를 전제로 했기 때문이다. 선생은 임시정부가 유지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에 선생은 1935년 10월 가흥에서 제28차 임시의정원 회의를 소집했다. 이 회의에서 민족혁명당에 참가한 국무위원 5명을 대신할 보선을 실시했다. 김구·이동녕·이시영·조성환·조완구를 새로 선임했다. 이로써 임시정부의 무정부 상태가 수습됐다.

선생은 임시정부의 세력 기반이 될 정당을 만드는 데도 나섰다. 민족혁명당에 참여하지 않은 한국독립당 세력을 결집했다. 당시 김붕준·양명진 등 한국독립당 광동지부는 민족혁명당에 참여하지 않고 있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1935년 11월 한국국민당을 창당했다. 김구가 이사장을 맡았다. 엄항섭 선생은 이사와 선전부장을 맡았다. 이에 임시정부는 유지 근거를 마련했다.

선생은 임시정부를 지키기 위해 청년들을 조직화했다. 선생은 한국국민당청년단·한국청년전위단을 만들었다. 이들은 한국국민당의 외곽단체이자 전위조직 역할을 했다. 선생은 ‘한민(韓民)’, ‘한청(韓靑)’ 등 기관지를 발행해 청년들에게 독립운동의 노선과 지도이념을 교육했다.

◇ 광복군 자금 확보 지원

임시정부는 1940년 9월 중경에 정착했다. 임시정부는 중경 정착 후 한국광복군을 만들었다. 만주지역에서 활동하는 독립군들과 중국군관학교를 졸업한 한인청년들을 기반으로 총사령부를 성립했다.

엄항섭 선생은 1940년 9월 17일 광복군총사령부 성립 전례식의 실무를 맡았다. 성립 전례식을 통해 한국광복군이 창설됐다.

선생은 광북군 재원 마련에도 나섰다. 광복군을 창설했지만 대원들의 의식주도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재정적 지원을 얻기 위해 선생은 ‘광복군총사령부성립전례배관기(光復軍總司令部成立典禮拜觀記)’, ‘광복군에 관한 보고’, ‘대한철혈남아 사방에서 운집’ 등의 글을 써 임시정부가 광복군을 창설해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렸다.

선생의 글들은 대부분 미주에서 발행되는 ‘신한민보’에 보도됐다. 신한민보는 ‘임시정부 소식’난을 마련해 미주 교포들에게 알렸다.

선생의 이러한 활동은 선생의 이름을 드러내는 일이 아니었다. 국가보훈처는 “선생은 한국독립당의 중앙집행위원, 임시의정원 의원, 주석 판공실 비서로 활약했지만 이름을 내세우지 않고 실무적 일을 수행했다”며 “그러나 임시정부에서 추진하는 사업이나 임시정부를 위한 일에 선생이 관계되지 않은 일들이 별로 없었다. 선생은 자신의 이름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임시정부의 실무적 일들을 맡아 수행했다”고 밝혔다.

광복 후 선생은 1945년 11월 23일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조국으로 돌아왔다. 그 뒤에도 임시정부와 함께 활동하며 김구의 곁을 지켰다.

그러나 국토는 38선으로 분단됐다. 미 군정 아래에서 임시정부의 이름으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도 없었다. 엄항섭 선생은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이 추진되자 이를 반대했다. 김구와 함께 남북협상에 참여했다.

그러나 남북에 각각의 정부가 세워져 민족이 분단됐다. 선생이 모시던 김구는 동족의 흉탄에 서거했다.

민족의 분단으로 6·25 전쟁이 일어났다. 선생은 1950년 9월 납북됐다. 북한에서도 통일을 위해 노력한 것으로 전해진다. 선생은 1962년 7월 30일 세상을 떠났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89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중국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광복을 맞이한 김구 선생(앞줄 왼쪽 다섯번째)과 임정 요인들이 환국을 앞둔 1945년 11월 3일 촬영한 사진. / 이미지=보훈처, 국사편찬위원회
중국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광복을 맞이한 김구 선생(앞줄 왼쪽 다섯번째)과 임정 요인들이 환국을 앞두고 1945년 11월 3일 촬영한 사진. / 이미지=보훈처, 국사편찬위원회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