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성 신증藥 2b상 투약 95% 돌파
내년 초 최종 결과 공개, 기술이전 추진
[시사저널e=최다은 기자] 큐라클이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국내 임상 2b상 환자 투약 마무리를 앞두고 있다. 약 95% 투약이 진행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내년 초 최종 임상 결과 데이터를 공개할 것으로 기대된다. 2b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글로벌 기술이전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큐라클이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후보물질 ‘CU01’의 국내 임상 2b상에서 환자 투약을 95% 이상 완료했다고 밝혔다. 올해 안으로 임상시험을 종료하고 데이터 결과 확보를 준비할 방침이다.
CU01은 항산화 및 항염증 조절 단백질(Nrf2)을 활성화하고 섬유화 촉진 경로(TGF-β) 신호를 억제하는 이중 기전을 가진 경구용 치료제다. 전반적인 신장 기능 개선 효과와 신장의 섬유화 진행 억제를 기대할 수 있는 약물이다.
현재 당뇨병성 신증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로는 SGLT2 억제제 계열, RAAS 억제제 계열, MRA 계열 등이 있다. 이 약물들은 주로 단백뇨(uACR) 감소에는 효과를 보이지만 신장 기능의 핵심 지표인 사구체 여과율(eGFR) 측면에서는 감소를 지연시키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CU01 임상 2b상은 2형 당뇨병성 신증 환자를 대상으로 CU01을 24주간 투여한 뒤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국내 24개 대학병원에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시험군은 CU01 고용량군, 저용량군 및 위약군으로 구성돼 있다.
큐라클에 따르면 CU01 임상 2b상은 올해 말 마지막 대상자의 최종 방문(LPO)이 완료된 후 내년 초 임상시험 최종결과보고서(CSR) 수령이 예정돼 있다. 현재까지 약물 관련 심각한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임상 종료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큐라클 측 설명이다.
큐라클 관계자는 “당뇨병성 신증은 당뇨 환자의 약 30~40%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결국투석이나 이식 등 고위험 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CU01이 이번 임상 2b상에서 앞선 임상과 같은 uACR, eGFR 개선 효과를 재현한다면 신장질환 치료에 있어 새로운 표준 옵션으로 자리잡을 것”이라며 “임상 종료 시점에 맞춰 사업화 논의도 함께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 [임상브리핑] SK바사, 면역증강제 활용 독감백신 임상 1·2상 준비
- [임상브리핑] LG화학, 기술이전 희귀비만증신약 임상 3상 청신호
- [임상브리핑] 유노비아, 경구용 GLP-1 신약 임상 1상 결과 공개
- [임상브리핑] 인벤테라, 근골격계 특화 MRI 조영제 신약 3상 추진
- [임상브리핑] 셀트리온, ADC 항암제 연내 IND 신청 준비
- [임상브리핑] 에이비엘바이오, ABL001 담도암 임상서 생존율 개선
- [임상브리핑] 에이프로젠, 호주서 면역항암제 안전성 승인
- [임상브리핑] 파로스아이바이오, AML 치료제 호주 연구자 임상 추진
- [임상브리핑] 신라젠, AML 시장 진출···항암 신약 임상 1상 드라이브
- 큐라클, 신약 성과 새 국면···재무·협업 기반 갖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