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내달부터 전기차 보조금 폐쇄 시사
이민 단속에 따른 현지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지연 가능성도
이르면 이 주부터 일본 자동차 관세 15% 적용되며 피해 예상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 시장에서 악재가 이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기자동차 보조금 축소를 예고한 가운데, 현지 배터리 공장 건설도 이민자 단속으로 인해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기에 일본 자동차 관세율이 15%로 떨어진데 비해, 한국은 아직도 25% 관세를 내고 있어 가격 경쟁력 악화가 우려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이달 말 미국의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의 전기차 보조금이 폐지될 예정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IRA를 개정하면서 이달 30일부터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폐지하기로 했다. 이는 예정보다 7년 앞당긴 것이다.
현재 미국은 최대 7500달러에 달하는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현대차 아이오닉5와 아이오닉9, 기아 EV6와 EV9 등이 세액 공제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보조금이 사라지게 될 경우 전반적으로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서, 시장 자체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판매량을 유지하기 위해 기존 보조금 수준의 가격을 할인할 경우 수익 악화로 이어질 수 있어 타격이 클 수 밖에 없다.
미국은 중국과 더불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자동차 기업들에겐 놓칠 수 없는 지역이다. 또한 미국은 중국 대비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고급차 등 고수익 차종 판매 비중이 높아 단순 물량 뿐 아니라 수익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시장이다.
더불어 중국은 전기차 시대를 맞아 현지 기업들이 급성장하며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만큼, 현대차그룹 입장에선 미국 시장 활로를 찾는 것이 더 중요해진 상황이다.
특히 최근 현대차그룹내에서 미국 판매 비중이 이전대비 올라간 만큼 내연기관 흥행 성적을 전기차까지 이어가야 하는데, 보조금 축소는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미국이 이민 단속으로 한국인 수백명을 체포한 점도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난 4일(현지시각) 미국 당국은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이민 단속 작전을 벌여 한국인 300여명을 포함해 475명을 체포·구금했다.
당초 합작 배터리 공장은 내년 초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이번 사태로 인해 건설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해당 공장은 양사가 약 6조원을 투자해 설립했으며, 연산 약 30기가와트시(GWh), 전기차 약 30만대 분의 배터리셀을 양산해 현대차그룹 미국 공장에 공급할 계획이었다.
◇ 일본 관세 15% 인하했지만 한국은 여전히 25%
전기차 뿐 아니라 일본과 관세율 차이에 따른 피해도 입게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일본산 자동차 관세를 15%로 인하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동안 미국은 일본산 자동차에 대해 기존 2.5%에 25% 품목별 관세를 더한 27.5% 관세를 적용했다.
하지만 이번 행정명령으로 관세율이 15%로 낮아지게 됐다. 업계에선 이번주 내로 해당 명령이 시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여전히 25% 관세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미국은 한국산 자동차에 대해 관세율을 15%로 낮추기로 했지만, 실질적으로 정책이 시행되지는 않고 있다.
한국은 지난 7월 관세 인하를 위해 3500억달러(한화 약 485조원) 수준의 대미 투자와 1000억달러 상당의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을 약속한 바 있다.
일본과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율 차이가 벌어지게 될 경우 토요타, 혼다 등 현대차 경쟁 기업과의 가격 격차가 불가피하다.
특히 토요타, 혼다의 경우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대중 브랜드이기 때문에 시장이 겹친다. 한국도 관세율 인하가 예정돼 있기 때문에, 현대차그룹 입장에선 가격을 올려 점유율을 잃기 보다는 가격을 유지하며 수익성을 다소 포기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짤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관세율 차이 만큼 수익 격차가 벌어지기 때문에, 관세 인하 정책 시행 전까지는 타격이 예상된다.
- 정부, 美 구금 한국인 현장 면담···“신속 석방 총력”
- 미국 내 한국 배터리 합작 공장서 대규모 이민 단속···삼성·SK·한화도 ‘촉각’
- 그룹 美 투자에···현대모비스·현대위아 ‘로봇 사업’ 기지개 켜나
- 한 자리 모인 韓美 경제계···“1500억불 대미 투자”
- 현대차·기아, 미국서 친환경차 누적 150만대 판매···관세 영향 주목
- 독일車 업체들, 전기차에 ‘내연기관차 명칭’ 재사용 이유는?
- “유럽·일본으로”···소형 전기차 눈 돌리는 현대차·기아
- 현대차, 美 이민 단속에 공장 수개월 지연···“귀국 소식엔 안도”
- 4000만원대 전기차 경쟁 개막···모델Y 아성에 도전장
- 잘 팔려도 걱정?···현대차, 대미 수출 성과에 관세 부담 딜레마
- 현대차·기아 ‘중앙아시아’에 눈독 들이는 이유
- 쏘울 EV 단종···현대차·기아 ‘파생 전기차’ 시대 저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