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형 픽업, 소형 픽업·승용·SUV, 전기 밴 미주 각지에 투입
연간 80만대 생산 예상···파워트레인·철강·공급망 협력도
[시사저널e=최동훈 기자] 현대자동차와 제너럴 모터스(GM)가 급변하는 업황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첫 번째 프로젝트로 미주 전략형 신차를 공동 개발한다. 향후 물류·공급망 등으로 협력 분야를 확장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양사는 7일 신차 5종 공동 개발 계획을 공개하고 향후 협력 분야 확장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모두 탑재할 수 있는 중남미 시장용 중형 픽업과 소형 픽업·승용·SUV를 함께 개발할 계획이다. 북미 시장용 전기 상용 밴 개발에도 머리를 맞댈 예정이다.
양사는 공동 개발 차량의 양산이 본격화되면 연간 80만대 이상을 생산,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공동 개발 과정에서 GM은 중형 트럭 플랫폼 개발을, 현대차는 소형 차종과 전기 상용 밴 플랫폼 개발을 각각 주도할 계획이다. 양사는 동일한 차량 플랫폼을 활용해 각 브랜드 정체성에 맞는 차량 실내, 외관을 개발한단 전략이다.
양사는 가장 먼저 오는 2028년 중남미 시장용 신차를 출시하기 위해 현재 디자인, 엔지니어링 협업을 진행 중이다. 이르면 같은 해 미국 현지에서 전기 상용 밴도 생산할 예정이다.
호세 무뇨스(Jose Muñoz) 현대차 대표이사(사장)는 “GM과 전략적으로 협력해 다양한 세그먼트 영역과 시장에서 고객들에게 지속적으로 더 나은 가치와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북남미 시장에서 양사 협력을 바탕으로 고객들이 원하는 디자인, 고품질, 안전 지향의 차량과 만족할 만한 기술 등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실판 아민(Shilpan Amin) GM 글로벌 구매·공급망 부문 최고 책임자(수석 부사장)는 “오늘 발표된 차량들은 중남미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세그먼트와 북미 시장의 상용차 부문을 타겟으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
아민 수석 부사장은 “GM과 현대차는 이번 협업을 통해 고객들에게 더 다양한 선택지를 보다 빠르고 낮은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에 공동 개발하는 첫 번째 차량들은 양사가 보유한 상호 보완적 강점과 스케일의 시너지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양사는 북남미에서 신차뿐 아니라 소재, 운송, 물류에 관한 공동 소싱 이니셔티브를 추진할 계획이다. 원자재, 부품, 복합 시스템 등 영역 내 협력도 고려하고 있다. 이 밖에 지속가능한 제조 방식의 일환으로 탄소저감 강판 분야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양사는 앞서 작년 9월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데 이어 이날 구체적인 세부 협력 사항을 발표했다. 향후 ▲글로벌 신차 공동 개발 프로그램 ▲내연기관·하이브리드·배터리 전기차·수소연료전지 등 파워트레인 전반 협업에 관해 세부적으로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 수입·생산·품질···한국GM 철수설 반박할 ‘희망회로 3가지’
- “토요타보다 15년 빨랐다”···현대차그룹, 美 3000만대 돌파
- 韓美 관세협상 극적 타결···국내 車 업체 영향은?
- GM노조 “공장·서비스센터 매각 일방적 통보”···회사 속내는?
- 한국GM, 2달 연속 4만여대 생산···임단협 암초 '촉각'
- [기자수첩] 한국GM ‘철수설’ 되풀이···고객도, 직원도 불안
- 한국GM 쉐보레 전시장 4년새 반토막···“더 줄인다”
- “BYD·토요타 한국서 잘 팔리는데”···현대차, 中日 장벽 아직
- 캐즘 넘은 전기차, 중고차가 판 키운다
- 현대차·기아, 미국서 친환경차 누적 150만대 판매···관세 영향 주목
- [단독] 한국GM, 첨단주행 ‘슈퍼크루즈’ 상표권 출원···철수설 진화하나
- “무쏘 이어 타스만까지”···국내외 질주하는 픽업트럭
- 현대차그룹, 美 전기차 3위 고수···4분기 ‘출혈 경쟁’ 결말은?
- GM, 직영서비스 없앤다고 철수?···르노 7곳·KGM 2곳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