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에 인수 마침표···내년 1월 임시주총 통해 아시아나 신임 이사 선임

/ 사진=대한항공
/ 사진=대한항공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지분을 인수하며 길고 길었던 합병을 마무리했다. 지난 2020년 11월 16일 아시아나 인수를 결의한 지 4년 만이다.

12일 대한항공은 아시아나 신주 1억3157만8947주(지분율 63.88%)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앞서 대한항공은 지난 달 28일 유럽연합 경쟁당국이 아시아나와의 기업결합을 최종 승인하면서 합병 9부능선을 넘었다. 미국 경쟁당국 결정이 남아있었지만, 미국 측이 신주 인수 전까지 반대 의사를 나타내지 않으면서 양사 기업결합이 마무리됐다.

이어 지난 11일 대한항공은 아시아나에 8000억원 잔금을 지급하며 신주인수거래를 종결했다. 이로써 대한항공은 기 지급한 계약금 3000억원과 중도금 4000억원을 포함해 총 1조5000억원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 대금 납입을 완료했다.

신주 인수가 끝나면서 아시아나는 대한항공 자회사로 편입됐다.

아시아나는 내년 1월 16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신임 이사진을 선임한다.

대한항공은 앞으로 약 2년 준비기간을 거쳐 아시아나와 최종 합병할 계획이다. 합병 과정에서 정부 기관 및 산업은행 등과 협의해 진행할 예정이다.

합병 이후 대한항공은 세계 10위권 ‘초대형 항공사(메가 캐리어)’로 도약해 다른 글로벌 주요 항공사와 경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대한항공은 통합 후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도 수립하고 있다.

우선 중복 노선 시간대를 다양화하고, 신규 노선에 취항해 고객 서비스 선택의 폭을 넓힐 계획이다.

안전 운항을 위한 투자도 늘려 나갈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통합 항공사 출범으로 국가 항공산업 경쟁력 보존, 인천공항 허브 기능 강화,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등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 우려하는 인위적 인력 구조정도 없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대한항공은 엔데믹 이후 빠르게 늘어나는 해외 여행 수요 대응을 위해선 필요 인력도 자연스레 늘어날 것이라고 보고 있으며 중복 인력의 경우 필요 부서에 재배치하는 등 구조조정이 필요 없다는 입장이다.

더불어 대한항공은 공정거래위원회에 내년 6월까지 양사간 마일리지 전환 비율을 보고하고, 이후 고객 대상으로 해당 사항을 고지할 계획이다.

한편 공정위는 이날 양사 합병에 따른 경쟁 제한 우려가 있는 40개 노선에 대해 공급 좌석수를 2019년 대비 90%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