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수 지놈앤컴퍼니 대표 ‘ADC 항체 개발 현황 및 전략’ 발표
“GENA-104 통해 CNTN4 억제···항암 효과 뛰어나”

17일 시사저널e 주최로 열린 ‘제4회 제약바이오 국제포럼(Medicine-Bio Forum 2024)’에서 박한수 지놈앤컴퍼니 대표는 ‘지놈앤컴퍼니 ADC 항체 개발 현황 및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 사진=
17일 시사저널e 주최로 열린 ‘제4회 제약바이오 국제포럼(Medicine-Bio Forum 2024)’에서 박한수 지놈앤컴퍼니 대표는 ‘지놈앤컴퍼니 ADC 항체 개발 현황 및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 사진=시사저널e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ADC는 항암치료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잡으며 대형 제약사들의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ADC 항체 개발을 통해 기존 면역항암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들이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시사저널e 주최로 열린 ‘제4회 제약바이오 국제포럼(Medicine-Bio Forum 2024)’에서 박한수 지놈앤컴퍼니 대표는 ‘지놈앤컴퍼니 ADC 항체 개발 현황 및 전략’라는 주제로 이같이 말했다.

2015년 설립한 지놈앤컴퍼니는 원래 장내 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을 이용한 치료제를 개발하다 몇 년 전부터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ADC)용 항체를 개발하는 회사로 탈바꿈했다. ADC는 A(항체)와 D(약물/페이로드)가 C(링커접합)라는 연결물질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항암제다.

ADC는 암치료의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암세포에 친화력이 있는 항체에 항암약물을 결합해 투여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마치 유도미사일처럼 암세포를 정확히 타켓팅해 적은 용량으로도 기존 세포 독성 항암제보다 더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ADC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에 항암약물을 연결해 암세포에 도달했을 때 약물이 방출되도록 설계돼 있다. 이를 통해 정상 세포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2023년 미국 암학회에서 발표된 신약 중 30% 이상이 ADC일 정도로 현재 암 치료 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ADC 효과는 항체가 결합하는 표적항원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 HER2,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c-Met, TROP-2, CD19, CD30 등의 표적항원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에 맞는 다양한 항체가 개발 중이다. 이러한 항체에 항암제를 결합함으로써 더 나은 치료 성적을 기대할 수 있다.

지놈앤컴퍼니는 신약개발 플랫폼인 ‘지노클’을 통해 신규 항암 타깃을 지속 발굴 중이다. ADC를 구성하는 A(항체), D(약물/페이로드), C(링커 접합) 중 항체 기술을 선두로 갖추고 종국에는 링커와 약물까지 자체적으로 디자인할 포부를 가지고 있다.

박 대표는 최근 개발한 ADC 항체인 ‘GENA-104’를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GENA-104는 신규 표적인 CNTN4를 찾아내는 물질이다.

지놈앤컴퍼니에 따르면 CNTN4는 위암, 간암, 피부암에서 주로 발현되는 타깃으로 기존 면역항암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들에게서 높게 발현됐다. CNTN4 발현이 높을수록 환자들의 생존율이 낮았다. 회사는 동물실험에서 GENA-104를 투여 시 CNTN4가 억제되면서 뛰어난 항암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지놈앤컴퍼니는 GENA-104가 기존의 면역항암제로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들의 의료 수요를 해결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박 대표는 “GENA-104를 투여하자 종양이 크게 감소했고 종양 감소율이 CNTN4 발현 정도와 비례하는 것도 확인했다”며 “GENA-104가 CNTN4에 의한 T세포 억제 작용을 효과적으로 상쇄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지놈앤컴퍼니는 ADC용 항체를 개발해 지속 성장 모멘텀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박 대표는 “ADC는 항체·약물(페이로드) 둘을 연결해 주는 링커로 구성되는데 그동안 링커와 페이로드의 중요성이 높아져 관련 연구가 주를 이뤘다”며 “하지만 최근 들어선 기존 링커와 페이로드의 특허가 만료되고, 혁신적인 링커 기술들이 나오면서 오히려 항체 쪽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