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실사와 2차례 PPT 후 올해 11월 결정···부산·로마·리야드 ‘3파전’
엑스포 경제효과 61兆 추산···경기침체 반전 ‘카드’로 부상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과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사진=각 사
(왼쪽부터)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 사진=각 사

[시사저널e=유호승 기자] ‘2030 부산세계박람회(부산엑스포)’ 현장 실사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연말께 최종 개최지가 확정되는 만큼, 재계 총수들은 해외 주요 인사를 만나 엑스포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들이 부산엑스포에 ‘진심’인 이유는 행사 유치를 통해 얻을 경제적 효과가 천문학적 수준이기 때문이다.

국제박람회기구(BIE)는 다음달 엑스포 유치 유력지역에서 실사를 진행한다. 이후 2번의 프레젠테이션(PPT)까지 거친 후, 오는 11월 171개국 회원국의 투표로 최종 유치 지역이 결정된다.

현재 유력 후보는 부산과 이탈리아 로마,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등이 꼽힌다. 우리나라는 두 국가에 비해 열세라는 평가를 받는다. 로마는 유럽연합(EU)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고, 리야드는 사우디 왕실이 앞장서 회원국들의 찬성을 이끌기 위해 나서고 있다. 사우디 왕실 고문인 아마두 빈 카탄은 회원국 중 107개국의 지지를 얻어냈다고 밝힌 바 있다.

재계는 비교적 열세에 있는 부산이 우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각 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민간외교’에 집중하고 있다.

경제인들이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동분서주하는 이유는 정재계의 유대와 경제·홍보적 효과 등을 기대해서다. 윤석열 정부는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위원회 수장으로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태원 SK 회장을 공동 선임했다.

우리나라가 바라는 결과가 나타난다면 정부와 경제계가 단합해 세계적인 행사를 유치했다는 사례를 남김과 동시에, 경기침체가 심해지는 현재 상황을 반전시킬 ‘카드’가 될 가능성도 크다.

한 재계 관계자는 “국가 차원에서 추진하는 엑스포 유치 신청과 관련 활동에 재계 총수들이 우리나라 대표의 자격으로 각종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다”며 “유치를 위해 1표라도 더 얻어야하는 상황이라 정부는 세계 각국에 네트워크를 가진 총수들에 사실상 엑스포 관련 외교권을 위임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부산시와 엑스포유치사무국은 행사 유치에 따른 경제효과를 약 61조원으로 본다. 직접적인 생산 유발효과로 43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8조원에 달할 것이란 관측이다. 엑스포가 경제·문화 올림픽으로 꼽히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올림픽·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국제행사로 꼽히지만, 경제효과만 따지면 약 2~3배 더 높다.

2000년 이후 열린 대부분의 엑스포(하노버·아이치·상하이·밀라노)는 흑자를 남겼다. 가장 최근이었던 2020 두바이 엑스포의 경우 코로나19 여파로 흑자를 기록하진 못했지만, 투자금의 대부분을 회수하기는 했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두바이 엑스포 투자금액은 350억달러(약 45조4500억원)였는데, 엑스포 개최에 얻은 경제효과는 330억달러(약 42조8500억원)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많은 이들이 엑스포에 참가하지 못했음에도 경제·문화 올림픽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손익분기점에 가까운 효과가 나타난 셈이다.

대한상의 회장인 최태원 SK 회장을 중심으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등 5대 그릅 총수는 엑스포 홍보맨을 자처하며 세계 주요 인사를 만나 엑스포의 부산 유치 필요 및 타당성을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최태원 회장은 지난해 6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70차 BIE 회의에 참석해 각국 대표들에 부산 유치 지지를 호소했다. 최근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스페인과 포르투갈, 덴마크 등에서 유치 활동을 펼쳤다. 그가 특사 자격으로 엑스포 유치 관련 움직임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부산엑스포는 코로나19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침체된 분위기를 반전시킬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며 “경기불황과 무역적자 등 경제위기를 이겨낼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