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순일 업스테이지 사업총괄 부사장 "기업 적용 노력 필요"

권순일 업스테이지 사업총괄 부사장이  시사저널이코노미 주최로 열린 '2023 제9회 인공지능 국제포럼'에서 강연하고 있다. / 사진=김지윤 PD
권순일 업스테이지 사업총괄 부사장이 시사저널이코노미 주최로 열린 '2023 제9회 인공지능 국제포럼'에서 강연하고 있다. / 사진=김지윤 PD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권순일 업스테이지 사업총괄 부사장이 생성형 AI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회사가 그렇지 않는 회사보다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만큼 기업들의 적극적인 AI 기술 수용 의자와 비즈니스 적용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권 부사장은 14일 시사저널이코노미 주최로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제9회 인공지능 국제포럼(AIF2023)'에서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AI'을 주제로 강연했다.

최근 AI가 시장의 각광을 받고 있지만 비즈니스 활용 사례는 관심에 비해 적다. AI는 실사용 환경에서 추가 데이터 및 피드백을 통한 강화학습이 필요하고 절대적인 사용시간이 요구돼 실제 적용이 까다롭다. 

권 부사장은 "무한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AI를 비즈니스 환경에서 적용하기에는 근본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며 "문제 정의와 적합한 도입 방법, 지속성 유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정 문제가 AI 솔루션에 적합한 지, 일회성 솔루션으로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솔루션이 비즈니스 가치 수준 이상으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지 등을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는 비즈니스 애플케이션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딥러닝 기술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텍스트, 이미지, 음악, 비디오 등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형 AI를. 이용하면 정보의 신규 생산이 가속화되고 정보 접근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을 창출할 수 있다. 가령 전자상거래에서 고객데이터 분석, 미디어 분야의 가상이미지 구현, 의료서비스에서 질병 영상이미지 분석, 신제품 설계나 제조 프로세스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대규모 자연어처리(NLP) 도메인 작업이나 언어 기반 구성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요약, 번역, 의역, 스토리텔링 작업을 비롯해 기존 지식을 바탕으로 질의응답과 코딩과 같은 기호 논리 작업, 창의적인 콘텐츠 제작 등에서 강점을 보인다.

다만 실시간 답변 제공 불가, 불충분한 정보에 따른 답변의 논리적 오류 등은 챗GPT의 한계로 꼽힌다.

권 부사장은 이런 챗GPT를 비즈니스에 적용하기 위한 3가지 원칙으로 '관련성·재미·관용'을 꼽았다. 

이와 관련해 업스테이지는 최근 챗GPT를 카카오톡에 적용한 챗봇 'AskUp'(아숙업)을 개발했다.

권 부사장은 "업스테이지는 AskUp을 통한 광학문자인식(OCR) 기능과 추천 기능을 사내 작업에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챗GPT와 같은 고급 모델의 등장으로 노동의 질과 생산성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질 것"이라며 "이러한 모델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사는 그렇지 않은 회사보다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 부사장은 챗GPT 강점을 살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사례도 들었다. 특화 산업에서 글쓰기 도구로 활용되거나 디자인·마케팅 등 사람의 감독이 필요한 분야에서도 활용되는데 AI의 정확성, 보안, 설명 가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활용된다는 것이다.

그는 챗GPT와 같은 고급 모델의 등장으로 노동의 질과 생산성에 대한 기대치를 상승하는 한편 고객 경험의 변경 등과 같은 시장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적정 모델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회사는 그렇지 않은 회사보다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이라고 권 부사장은 관측했다. 과거와 달리 성공한 모델을 채택하는 것만으로는 격차가 단번에 줄어들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가운데 개별 요구 사항에 맞게 특별히 조정된 맞춤형 GPT를 만들려면 실제 사용에서 수집된 추가 데이터와 피드백을 통한 강화 학습을 해야 하고 상당한 사용 기간이 필요하다는 해석도 나왔다. 권 부사장은 "다가오는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 사례에서 이러한 모델을 테스트하고 개선하는 회사가 비로소 경쟁에서 이길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앞으로 AI기술을 통해 비즈니스 영역을 확대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경쟁력 격차가 커질 것"이라며 "기업들의 적극적인 AI기술 수용 의지와 비즈니스 적용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