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적 을사늑약 체결에 상소···을사오적 처단과 을사늑약 파기 주장
국채보상운동 참여···만주서 독립운동 기지 만들어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이승희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이승희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이승희(李承熙) 선생은 유교의 학자로서 조국의 독립과 광복을 위해 혼신의 힘을 받쳤다. 무너져가는 대한제국을 바로 잡고자 했고, 을사늑약에 항의해 을사오적의 목을 베고 을사늑약을 파기해야 한다고 외쳤다. 일제 감옥에서도 이토 히로부미를 강제적 을사늑약에 대해 꾸짖었다.

또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 국채보상운동을 이끌고 만주에서 독립운동 기지를 만들었다. 선생은 유교 이념에 근거해 동양의 새로운 정치이론과 세계상을 모색했고 유교를 통해 조국의 독립과 광복을 이루고자 했다.

이승희 선생은 음력 1847년 2월 19일 경상도 성주 대포리(경북 성주군 월항면 대산 1동)에서 태어났다. 선생의 조상들은 대대로 유학을 숭상해왔고 특히 주희(朱熹)와 이황(李滉)의 이학(理學)을 계승했다.

선생의 아버지 이진상은 유학의 저명한 학자였다. 이진상은 심즉리(心卽理) 설을 주장했다. 심즉리의 이학은 개항 이후 외세의 침략을 극복하기 위해 제창된 주자학의 새 이론이었다.

선생은 당시 조선의 대내외 위기에 대한 견해를 저술과 행동으로 표현했다. 선생은 1867년 21세 때 흥선대원군에게 성학(聖學)·호적(戶籍)·전제(田制)·선거(選擧)·제병(制兵) 등 폐정개혁을 주장하는 글을 올렸다.

학문에만 몰두하던 선생은 1903년 벼슬이 주어졌으나 끝내 벼슬 길로 나아가지 않았다.

◇ “을사오적 목 베고 을사늑약 파기하라” 상소

일제는 1895년 명성황후를 사살하는 만행을 저지르고 단발령을 시행했다. 이에 전국에서 의병이 일어났다.

이승희 선생은 곽종석(郭鍾錫)·장완상(張完相)·강구상(姜龜相)·이두훈(李斗勳) 등과 일본의 야만적 행위를 규탄하는 포고문을 작성해 각국 공관에 보냈다. 또한 선생은 1905년 8월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의진시사소(擬陳時事疏)’를 지어 과감한 내정개혁을 주장했다.

그러나 같은 해 겨울 일제는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기 위해 강제로 을사늑약을 체결했다.

이에 이승희 선생은 11월 초 수백 명의 유생을 거느리고 서울에 올라가 을사오적(乙巳五賊)의 목을 베고 을사늑약의 파기를 요청하는 ‘청주적신파늑약소(請誅賊臣罷勒約疏)’를 올렸다.

또한 선생은 주한 일본군 사령부에 일본의 배신과 침략행위를 규탄하는 글을 보냈다. 선생은 “이완용 등 5적신(賊臣)은 대한(大韓)의 강상(綱常)의 적(賊)이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는 천하강상의 적이니 이들을 목 베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했으나 고종의 답을 받지 못했다.

선생은 이해 12월 25일 대구경무서에 체포됐다. 선생은 일제의 협박에 “선비는 죽일 수는 있어도 욕보일 수는 없다”며 굴하지 않았다.

◇ 만국평화회의에 편지 보내 일본의 침략 만행 폭로···국채보상운동 이끌어

이승희 선생은 옥중에서 이토 히로부미가 통감부를 설치한다는 소식을 듣고 이토 히로부미를 꾸짖는 편지를 썼다.

선생은 이토 히로부미에게 보낸 편지에서 “을사늑약은 병력을 동원해 상하를 협박하여 고종의 의사를 묻지 않고 적신(賊臣)의 인장(印章)을 마음대로 찍어 강제로 이루어진 조약이다”고 밝혔다.

또 일찍이 이토 히로부미를 ‘천하강상의 적(賊)’이라고 했던 것은 “우방의 임금을 협박했으니 그 임금을 엄하게 여기지 않은 것이고, 신하로 하여금 그 임금을 배반하게 해 나라를 팔아먹게 한 것은 천하에 임금이 없게 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선생은 이처럼 옥중 투쟁을 전개하다 이듬해 4월 7일 감옥을 나왔다.

그러나 일제는 을사늑약 후 조선 침략에 박차를 가했다. 이에 1907년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 국채 1300만 환을 보상하자는 국채보상운동이 전 민족적으로 일어났다.

선생도 자제들이 자신의 회갑잔치를 위해 준비해둔 돈을 모두 국채보상운동에 냈다. 또 성주의 국채보상단연회(國債報償斷煙會) 회장이 돼 각지에 통문을 보내 담배를 끊고 국채를 갚아 국권을 되찾자고 호소했다.

선생은 1907년 5월 5일에 네덜란드의 수도 헤이그에서 만국평화회의가 개최된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러나 이토 히로부미의 방해로 조선대표의 참석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에 선생은 이해 4월 만국평화회의에 우편으로 편지를 보내 일본의 침략 만행을 낱낱이 폭로했다.

이승희 선생은 한국이 독립주권국가라며 이것이 명백하게 밝혀지지 않으면 대한의 2000만 생명이 없어지게 된다고 주장하면서 일본위원을 불러 그 실상을 물어보아 조선침략의 진실을 만방에 알려주기를 바랐다.

선생은 자신의 편지가 거짓이라고 생각되면 이토 히로부미 등과 만국공회에 나아가 대질해 변론을 하겠다고 했다.

선생은 또 각국 정부에 편지를 보내 한국의 억울한 사정을 호소했다. 해외 한인 유학생들에게도 편지를 보내 국내에서는 만국평화회의에 참여할 방법이 없으니 해외유학생이 헤이그 평화회의 대표들과 주선해 국권회복에 앞장설 것을 당부했다.

선생은 같은 해 고종의 강제 양위와 순종의 등극 소식을 듣고 일본 정부에 이 사실을 항의하고 양위의 부당성을 세계 여론에 호소했다.

◇ 만주에 독립운동 기지 만들다

1908년 선생은 조국의 운명이 바람 앞의 등불에 처한 것을 알고 고령에도 불구하고 4월 20일 동래를 떠나 5월 9일 블라디보스토크로 갔다. 선생은 여기서 이상설(李相卨)·안중근(安重根)·유인석(柳麟錫) 등과 함께 독립운동을 했다.

또한 선생은 ‘만국대동의원사의(萬國大同議院私議)’를 지어 만국평화회의의 실질적 성과를 꾀했다.

선생은 1908년 이수인(李洙仁)을 본국에 보내 국내 유지들과 함께 독립운동자금을 모았다. 1909년에는 독립운동의 기지를 만들었다.

당시 러시아와 만주 국경 일대에는 일제의 탄압에 수백 명의 한인이 이주해 왔다. 그러나 이주민들은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아다녔다.

이에 선생은 교민의 집단 정착지를 찾아 황무지를 개간하고 생활을 안정시키고자 했다. 그 다음 이들에게 민족교육을 해 독립운동의 역량을 기르고자 했다.

선생은 적당한 정착지를 고르기 위하여 길림성 봉밀산(蜂蜜山) 아래 수천 리 황무지가 있다는 소문을 듣고 직접 답사했다. 선생은 같은 해 겨울 황무지를 사들여 먼저 100여 가구를 집단 이주시켰다. 그 곳을 기름진 땅으로 개간하고 마을 이름을 한흥동(韓興洞)이라고 했다.

선생은 또한 여기다 학교를 세워 한민학교(韓民學校)라고 이름지었다. 선생은 민족의 역사를 올바르게 가르쳐야 한다는 생각으로 민족교육을 실시했다. 선생은 ‘동삼성시무사의’를 지어 황무지 개간과 독립군의 병제 및 민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며 독립군을 양성하는 기반을 닦았다.

이승희 선생은 현채(玄采)가 지은 ‘동국사략(東國史略)’의 서술에 일본이 조선을 개량시켜준 공이 있다는 등 주체적이지 못한 서술을 일일이 지적했다.

◇ “광복 오지 않으면 내 혼은 조국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

1910년 일제는 조선을 강제로 병합했다. 강제로 우리를 식민지화했다. 선생은 이 소식을 듣고 광복이 되기 전에는 결코 돌아가지 않겠다고 밝혔다.

1915년 선생은 서구의 자유이론과 공화제, 입헌제에 대응해 세계에 통용되는 유교 기반의 새로운 정치이론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선생은 이문치에게 답한 편지에서 종족주의(種族主義)를 비판했다.

선생은 겉으로는 세계 각국이 공(公)을 표방하지만 약육강식을 일삼는 국제관계 속에서 진정한 공(公)은 무엇인지 찾고자 고민했다. 그는 당시 자국의 국익만을 추구하는 국가주의나 종족을 먼저 생각하는 종족주의도 국가 간에 이기적 갈등과 투쟁을 불러올 것이라고 여겼다.

이문치가 중국이 종족주의에 의해 신해혁명이 성공했다고 주장하자 선생은 지역에 근거를 둔 국가주의나 종족주의에 대해 지적했다. 선생은 누구나 유교에 토대를 두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천하주의(天下主義)를 주장했다.

이승희 선생은 1916년 2월 27일 새벽 4시 광복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선생은 “나는 나라가 광복이 돼야 돌아갈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너희들이 나의 시신을 모셔갈 수는 있겠지만 나의 혼(魂)은 돌아가지 않겠다”고 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77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