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부회장, DS 넘어 삼성전기 및 타 계열사까지 경영 전략 재점검
삼성전기, 올해 사업 재편 박차…전장용 MLCC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그룹 전자계열사 경영진과 만나 간담회를 진행하면서 그룹의 전방위적인 현안을 챙기며 미래 먹거리 준비에 나섰다. 삼성전기 등 그간 삼성'후자'로 불린 전자계열사 경영진과도 만나 미래 사업 전략을 점검하며 시장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있다. 

이 부회장은 17일 삼성전기 수원사업장을 방문해 최고경영진을 만나 주요 신사업 투자 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이 부회장은 삼성전기 경영진과 만나 전장용 MLCC와 5G 이동통신 모듈 등 신사업을 중심으로 투자 전략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들어 이 부회장은 총 4차례 사업부별 경영진과 만나 간담회를 진행했다. 앞서 지난 1일 화성사업장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부문 사장단과 경영점검회의를 진행한 데 이어 다시 13일 DS(Device Solution) 부문을 불러들여 시스템반도체 투자 전략을 점검했다. 이어 지난 14일엔 수원캠퍼스에서 IM(IT·Mobile) 부문 사장단과 하반기 사업 전략에 대해 논의하며 “새롭게 창업한다는 각오로 도전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달 초부터 이어진 이 부회장의 각 사업부 순방은 전자 외 후방 계열사까지 이어져 주목받고 있다. 그동안 주력했던 반도체·디스플레이 사업 부문을 넘어 삼성'후자'로 불렸던 부품계열사까지 경영 전략을 점검했다. 이날 삼성전기를 기점으로 소비자가전(CE) 부문과 삼성SDI·SDS 등 타 계열사 경영진과의 간담회 일정도 향후 확정할 전망이다. 

업계는 이 부회장이 최근 경기 둔화와 함께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 악재에 대비하기 위해 이같이 순방에 나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삼성전자 주요 매출원인 메모리반도체 가격은 올 상반기 반 토막이 난 이후 반등세가 미미하며, 디스플레이 사업의 경우 LCD 판가 하락과 함께 중국 업체들의 중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추격 속도가 빨라졌다. 증권가는 올 2분기 삼성전자가 영업이익 6조5000억원 안팎을 기록해 전분기의 하락세를 지속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각에선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검찰 수사로 인해 사업지원 태스크포스(TF) 운영에 제동이 걸린 탓에 이 부회장이 직접 컨트롤타워를 자처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올 초만 해도 비공개 방침이었던 이 부회장의 일정이 지속적으로 공개되는 점도 이 같은 관측에 힘을 더한다.

◇삼성전기, 4년만에 사업 재편…PLP 넘기고 전장용 MLCC 집중

이날 이 부회장은 삼성전기 경영진과 미래 신사업 투자 향방을 재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기는 전자계열사 중 가장 적극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사업을 재편 중이다. 지난 2015년 대대적인 사업부 분사에 이어 4년 만이다. 

삼성전기는 올해 수익성이 저조한 사업부를 팔아치우고 전장용 적층세라믹콘덴서(MLCC)의 경쟁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올 초 무선충전사업부를 중견기업 켐트로닉스에 매각한 데 이어 반도체 후공정 패널레벨패키징(PLP) 사업은 삼성전자에 넘겼다. 그간 연구개발로 인해 실적 면에서 발목을 잡았던 사업부를 매각하고 수익 산업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삼성전기는 오는 2022년까지 전 세계 전장용 MLCC 시장 2위에 오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PLP 사업 매각으로 생긴 7800억원 규모의 자금은 전장용 MLCC 등 신사업에 투자한다.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MLCC는 모바일·PC 등 각종 IT 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전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했다가 회로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함께 각종 회로 간 신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 중 전장용 MLCC는 일반 IT 제품용 MLCC보다 높은 신뢰성과 내구성이 요구된다. 생산이 까다로운 만큼 고수익이 보장된다. 전동화 차량이 늘어나고 차 한 대에 탑재될 MLCC의 수량도 기존 내연기관차에 비해 늘어나면서 시장도 성장할 전망이다. 전장용 제품의 경우 완성차업체와 계약을 맺고 나면 수년간 안정적인 납품처를 확보할 수 있다는 강점도 갖췄다.

전체 MLCC 사업 중 전장용 MLCC 매출 비중은 저조하다. 지난해 삼성전기는 전체 MLCC 시장에서 약 24%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면서 시장 1위 일본 무라타의 시장점유율(34%)를 추격하고 있으나, 전장용 MLCC의 경우 삼성전기의 전체 MLCC 매출 중 약 6% 비중에 그친다.

권성률 DB금융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기의 전장용 MLCC 매출 비중은 올해 10%에서 오는 2022년 20% 비중으로 상승할 것으로 본다”며 “이는 20% 중반 이상의 수익성을 가져가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텐진 MLCC 신공장 내년 상반기 가동…2022년 시장 2위 목표

삼성전기는 올해부터 전장용 MLCC 매출 비중을 키워, 오는 2022년 시장 2위를 목표로 투자를 단행할 방침이다. 삼성전기는 올 연말까지 중국 텐진에 신공장을 완공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가동을 시작한다. 삼성전기는 부산사업장을 원재료 내재화 등 연구개발(R&D) 기지로, 중국은 전장 제품 대량 양산기지로 구축할 방침이다.

일각에선 향후 삼성전자가 전장 부품 사업을 육성하면서 삼성전기와 시너지를 낼 것으로도 관측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하만을 인수한 후 전장사업부를 육성하고 '엑시노스 오토' 등 인포테인먼트에 탑재될 차량용 프로세서 개발에 공을 들여왔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MLCC의 경쟁력 면에서 원재료 내재화가 중요한데 삼성전기 부산사업장은 기술 개발의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 공장의 경우 향후 현지 및 유럽 완성차업체에대한 양산 거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