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NHTSA 적정성 조사 결과 발표에 관심···"리콜 대상 차량 전체 엔진 교체 결정 시 비용 상승은 물론, 엔진 수급 어려울 수도"
檢, 리콜 은폐 및 축소 의혹에 무게 두고 조사 진행···형사처벌 관련 수사로 추가리콜 관심도 적어

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 / 사진=연합뉴스
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 / 사진=연합뉴스

 

검찰이 현대·기아차의 세타2 엔진 결함 은폐 의혹과 관련해 압수 수색을 벌인 가운데, 한국과 미국에서 세타2 엔진 추가 리콜 가능성이 떠오른다. 현대차는 세타2 엔진이 탑재된 차량을 미국에서 2회, 국내서 1회 리콜했는데, 리콜 과정에서 규모가 축소됐다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됐다. 특히 미국이 현대차의 세타2 엔진 리콜이 적정했는지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는 만큼, 조사 결과에 따라 추가리콜 및 대량의 과징금 처분까지 예상된다.

지난 20일 검찰은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본사 품질본부, 경기도 남양 연구소 등을 압수 수색했다. 현대·기아차가 차량 제작결함을 은폐했다는 의혹에 따른 조사다. 특히 세타2엔진 제작 결함 은폐 의혹이 주요 수사 선상에 올랐다.

현대차 세타2 엔진 결함 논란은 지난 2015년 미국에서 본격화했다. 현대차 세타2 엔진을 장착한 쏘나타(YF)를 중심으로 차량 시동이 꺼진다는 소비자들의 결함 신고가 그 시기에 확 치솟았다. 현대차는 미국에서 차량 리콜을 담당하는 기관인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과 협의 끝에 2011년식과 2012년식 쏘나타 47만대를 리콜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47만대의 1차 리콜로는 세타2 엔진 결함 논란이 끝나지 않았다. 2016년 9월 당시 현대차 구매본부 협력업체품질강화1팀에 근무하던 김광호 전 부장이 현대차가 세타2 엔진 결함을 은폐‧축소했다고 국내 국토교통부와 언론, 그리고 미국 NHTSA에 제보했다. 김 전 부장의 신고는 2017년 4월 미국에서의 120만대 2차 리콜로 이어졌다. 2차 리콜은 1차 리콜보다 규모는 더 크고 범위도 더 넓었다.

◇ 국내 추가 리콜 가능성은?

현대차는 2017년 미국에서 120만대 2차 리콜에 들어가는 동시에 국내서도 17만대 차량을 리콜했다. 현대차는 이전까지 국내서 생산‧판매된 차량들은 문제없다던 기존의 입장을 뒤집었다.

당시부터 지금까지 현대차는 세타2 엔진 결함을 사전에 알고도 은폐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그 근거 중 하나로 설계변경이 꼽힌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17년 10월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현대차 세타2 엔진 결함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는 2011년 6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콘로드베어링, 콘로드, 크랭크샤프트 등에 대해 총 8차례 설계변경을 실시했다. 다만 현대차는 국내와 미국 공장에서의 공정이 다른 만큼, 동일 원인으로 인한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또 박용진 의원은 당시 교통안전공단이 파악한 차량이 24만4000대인데 실제로 리콜된 차량은 17만대로 축소됐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국내서의 추가 리콜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검찰은 리콜 은폐와 축소 의혹에 무게를 두고 조사를 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국토부가 결정하는 리콜 규모 확대 혹은 추가 리콜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세타2 엔진 결함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검찰은 형사처벌 관련 수사를 하는 만큼, 추가 리콜에 대해 관심도 적다. 그리고 실제 리콜 축소가 있었더라도 검찰이 이를 밝혀내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미국에서 3차 리콜 가능성…관건은 추가 리콜이 아닌 리콜 방법?

현대차는 미국에서 국내보다 훨씬 더 높은 수위의 압박을 받고 있다. 이미 지난 2017년 5월 18일 미국 NHTSA가 현대차의 2차 리콜 조치에 대한 적정성 조사에 돌입했다. 리콜 적정성 조사는 완성차 제조업체가 미국에서 실시한 리콜에 대해 대상 대수가 충분한지 여부와 함께, 리콜 실시 시점의 적정성, 조치 방법 등을 검토하는 조사다. 미국 법무부 산하 뉴욕 남부지방검찰청(SDNY)도 2017년 당시에 NHTSA와 함께 조사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들과 민간단체도 현대차를 압박한다. 미국의 비영리 소비자단체 ‘센터 포 오토 세이프티(CAS)’는 지난해 10월 현대‧기아차 290만대에 대한 당국 조사와 리콜을 요구했다. 해당 차량은 2011~2014년 생산된 기아차 쏘렌토, 옵티마(K5의 미국 모델명), 현대차 쏘나타, 싼타페, 그리고 2010~2015년 기아차 소울 등 5개 모델이다. 당시 CAS는 4개월간 하루 한 건 꼴로 충돌 없이도 현대·기아차 차량 화재 보고가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미국 소비자들의 불만은 현대차에 대한 집단소송으로 이어졌고, 소송을 대리하는 헤이건스 버먼은 소장에 “현대·기아차가 결함을 알면서도 소비자들로부터 이를 적극적으로 감췄고 그 결함이 심각한 안전 위험을 제기한다는 점도 숨겼다”고 주장했다.

한편 미국 NHTSA가 발표할 세타2 엔진 리콜에 대한 적정성 조사 결과를 두고 다양한 관측과 예상들이 나온다. 일각에선 추가리콜보다 리콜 방법이 어떻게 결정날 것인지가 더 중요하다는 의견을 내놓는다.

익명을 요구한 한 관계자는 “추가 리콜도 중요하지만, NHTSA가 만약 해당 차량 전체에 대한 엔진을 교체하라고 한다면 현대차가 부담해야 할 비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다. 현재 엔진 공장에서는 공급량을 맞추기 어렵다는 얘기도 나오는 상황”이라며 “결함이 확인된 차량만 엔진을 교체할지, 아니면 해당 차량에 대한 전체 교체로 이어질지가 관건”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