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서울서 독립만세의거 참가···교사로 여성들에게 독립 사상 고취

이신애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이신애 선생. / 사진=국가보훈처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이했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1919년 3월1일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이어 그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 지사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보여줬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이신애 선생은 국내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했다. 교사로서 여성들에게 독립 사상을 고취하기도 했다. 독립선언서에 여성대표로 서명했다. 옥중에서도 유관순 선생 등과 옥중 만세운동을 전개하다 심한 고문을 받았다.

국가보훈처와 신복룡 전 건국대 석좌교수에 따르면 이신애 선생은 1891년 평안북도 구성(龜城)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전주(全州)다. 본명은 이자향(李慈鄕)이었다.

이 선생은 1918년부터 루씨여학교 두산리분교에서 교사 생활을 했다. 루씨여학교는 1903년 함경남도 원산에 설립된 감리교 계열의 근대 여성교육 기관이다. 이신애는 교사로 생활하면서 여성들에게 독립 사상을 고취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신애 선생은 1919년 5월부터 혈성부인회에 가담해 장선희와 함께 상해임시정부 군자금을 모금했다.

이신애는 1919년 9월 강우규가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의 암살을 계획할 때 한기동과 함께 군자금 모집을 부탁 받고 민대식을 찾아가 군자금의 제공을 요구했다. 이 선생은 세브란스병원 간호사 탁명숙을 통해 경성부 누하동 임재화의 집에 강우규를 은닉시켜주고 의거에 필요한 물품을 제공했다.

◇ 대동단 참가해 국내서 독립만세의거 이끌어

1919년 9월 초 서울로 올라온 이신애는 한기동의 소개로 필동 3번지에서 전협, 나창헌을 만나 대동단에 가입해 여성 대표를 맡았다. 이후 박정선, 한일호 등의 여성 동지를 모았다.

신복룡 교수에 따르면 1919년 3·1운동의 거족적 열망에도 불구하고 혁명이 좌절됐다고 판단한 일부 민족주의 세력들이 지난 실패를 거듭하지 않고 조직을 통해 민족운동을 다시 전개하겠다며 '조선민족대동단'(대동단)을 만들었다.

대동단은 전협을 단장으로 해 출판 담당에 최익환, 조직 동원에 한기동과 권태석, 이념 정립에 정남용, 자금 동원에 부채표활명수를 만들어 거금을 모은 동화약방 사장 민강, 기독교 대표에 전필순, 불교계 대표에 동창률 등의 대표들이 주동이 됐다. 총재로 전 농상공부대신 김가진을 추대했다.

의친왕 이강 공 탈출 사건의 실패 후 대동단 단원 이신애·정규식·박원식·안교일·정희종·이정찬 등이 주도적으로 새로운 만세 운동을 논의했다.

이들은 10월 31일 천장절(天長節)을 맞아 상해 방면으로부터 송부해온 박은식과 그 밖에 몇 십 명의 제2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면서 일대 만세운동을 전개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대동단 총재 김가진 등의 찬동을 얻어 만세운동을 추진했다. 전협·정남용·양정·한기동·이신애·나창헌 등은 제2 독립선언과 만세운동을 준비하는 가운데 정남용·전협·양정·한기동 등이 차례로 검거됐다. 체포망을 벗어난 나창헌, 이신애, 정규식 등은 11월 25일 경 경성부내에서 등사기를 사용해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인이 자유민임을 천하만국에 선언할 것을 계획했다. 제2 독립 선언의 의미를 담고자 서명자의 숫자는 33인으로 구성했다. 여기에 이신애 선생도 서명했다.

이미지=국가보훈처
/ 이미지=국가보훈처

이신애 선생과 동지들은 11월 27일 오후 5시엔 서울 시내에 선언서를 배포하는 동시에 일대 만세운동을 거행하기로 했다. 그러나 점 조직 이외의 대중 동원 체제를 갖추지 못한 이들로서는 지난날 3·1운동과 같은 대규모의 만세운동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들은 각자의 양심과 용기에 따라 다음 날인 28일 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약속하고 헤어졌다. 27일 밤 이신애·정규식·박원식·나창헌 등은 김종진의 거처인 원동 162번지 김정하의 집에서 논의한 후 다음날 28일 오후 4시 반 안국동 경찰관 주재소 앞 광장에서 만세운동을 거행하기로 약속했다.

다음날 28일 아침 이신애는 박정선의 집에 찾아가 만세운동 계획을 알리고 참가를 요구했다. 이날 오후 이신애·정규식·박원식 등은 태극기와 ‘대한 독립 만세’라고 쓴 깃발 각 한 폭을 만들었다. 오후 4시 반 이신애·박정선·정규식·박원식은 안국동 광장에 모였다. 계획을 알고 있던 이종진도 그 운동에 참가했다.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곳에서 이신애와 정규식은 깃발을 흔들며 앞장 서 조선 독립 만세를 외쳤다.

이들은 각 신문사에 만세운동 사실을 미리 알려두었다. 투옥에 대비해 흰 솜두루마기를 입고 남바위를 쓰고 있었다. 약속된 오후 5시 정규식이 먼저 태극기와 ‘대한 독립 만세’라고 쓴 백기를 펼쳐 들고 만세를 선창했다. 이신애와 박정선 등도 선언서를 뿌리며 만세를 부르기 시작했다. 행인들이 모여들기도 전에 안국동 주재소의 경찰관들이 이들을 체포했다.

◇ 유관순과 옥중 독립만세의거하다

대동단원들은 종로경찰서에 수감됐다. 고등계 형사 김원보의 취조를 받았다. 1920년 2월 2일부터 6월 28일까지 이뤄진 예심은 주로 경성지방법원의 나가시마 유조(永島雄藏) 판사가 진행했다.

1920년 3월 1일이 됐다. 유관순(柳寬順)과 같은 동(棟)에 수감됐던 이신애와 박정선 등은 독립만세의거 1주년을 옥중에서 맞이해 독립 만세를 불렀다. 미와 경부로부터 심한 고문을 당했다. 이신애 선생은 고막과 유방이 파열됐다. 나체로 신문을 받았다.

이신애는 경성지방법원 1심 판결에서 출판법 상 불온문서 반포죄와 정치의 변혁을 목적으로 안녕 질서를 방해한 정치범죄처벌령 및 조선형사령에 따라 징역 4년 구형, 3년 선고를 받았다.

유죄 판결을 받은 대동단원들은 주로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다. 20평의 감방에 90명씩 수용됐다. 이신애 선생은 2년 이상의 옥고를 치르고 1922년 6월 1일 가출옥했다.

1945년 해방 이후 이신애 선생은 충남 공주읍 옥룡동에 살면서 한국부인회(韓國婦人會)를 조직했다. 1947년부터 11년간 부녀계몽운동을 했다. 1982년 사망했다.

정부는 1963년 이신애 선생에게 독립장을 추서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