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노년층, 저소득층 취약
한은·금감원 “연령, 소득에 따른 맞춤형 교육 필요”

서울 여의도의 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창구 모습. /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의 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창구 모습. / 사진=연합뉴스

한국 국민의 금융이해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층과 노년층, 저소득층에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8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2.2점으로 OECD 평균(64.9점. 2015년)보다 낮았다. 우리나라 국민의 금융이해력은 10명 중 2명만 전 부문에서 OECD가 요구하는 최소목표점수를 넘었다. 

금융이해력은 대학생이 포함된 20대(61.8점)와 60대(59.6점), 70대(54.2점)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별 차이도 컸다. 월 소득 420만원(연 5000만원) 이상은 65.6점,  월 250만원(연 3000만원) 미만은 58점이다. 부문별로는 금융지식(65.7점)이 다소 높았지만 금융태도(61.3점)와 금융행위(59.9점)가 모두 OECD 평균 이하였다.

노년층으로 갈수록 금융이해력이 떨어졌다. 60대는 61.6점, 70대는 50.2점으로 나타났다. 금융지식 최소목표점수를 달성한 비율은 60대가 50.3%, 70대가 36.4%에 그쳤다. 금융 변화에 대한 소외가 우려된다.

청년층의 금융지식 점수는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지만 금융행위(58.4점)와 금융태도(57.7점)는 낮았다. 특히 금융태도에서 10명 중 3명만 최소 목표점수를 달성했다.

우리나라 국민은 평소 재무적으로 안전장치가 충분치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에서 예상 못한 지출 상황이 발생하면 스스로 감당할 수 있다는 비중이 59.9%였다. 주된 소득원이 없어지면 돈을 빌리거나 이사를 하지 않고 3개월 이상 생활비를 감당할 수 있는 경우도 56.2%에 그쳤다. 

노후와 은퇴대비 재무계획에 자신 없다는 답변은 31.1%였다. 

한은과 금감원은 “경제·금융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연령과 소득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만 18∼79세 국민 24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8∼9월 면접 조사한 결과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