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실험실 창업 기업 2022년까지 300개 양성… 업계 “IPO‧회계기준 처리 분명히”

국내 바이오산업이 평균 일자리를 늘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000년대 초반 바이오 벤처 붐이 일어난 이후 제2의 바이오 창업 전성기를 맞은 셈이다정부는 공공기관과 연계한 창업 기업을 300개 양성하고 바이오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나섰다이에 바이오 업계에서는 회계기준 등 부수적인 부분을 정비해달라고 요청했다.

 

29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 따르면, 바이오 중소벤처기업 평균 근로자는 29.5명으로 고용효과가 전체 벤처기업 평균을 웃돈다약 1600여개 바이오 중소벤처기업이 활동하고 있으며 해마다 100개 이상 바이오 창업이 생기고 있다.

 

바이오 창업이 늘어나게 된 이유는 벤처캐피탈(VC)의 투자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바이오 산업의 분야가 넓기 때문에 바이오의약품 개발이 아니더라도 화장품의약품대체생산 등 바이오 분야 창업 종류가 많아지는 추세다.

 

그러나 바이오 창업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바이오 업계는 기술 성공과 기업공개(IPO)까지 걸리는 시간을 극복하는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바이오 기술은 상업화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병원공공연구소투자자규제기관 등을 연계해 R&D부터 시장 진출까지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해달라는 의견도 나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16년 바이오 분야 논문특허성과 2457건 대비 기술이전 성과는 1710건으로 8.4% 수준에 그친다바이오 벤처기업의 IPO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15.6년이다일반 벤처기업 평균 11.9년에 비해 4년이 더 걸리는 셈이다.

 

3D프린팅 의료기기를 개발하는 김국배 애니메디솔루션 대표는 초기단계에 대한 지원 뿐만 아니라 사업체의 성장곡선에 따른 심화형 지원사업이 필요하다 또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신규시장 확장을 저해하는 식약처심평원 등의 규제 완화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정부는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전략을 발표하고 바이오 원천 기술 R&D를 설계해 창업과 일자리로 연결되는 지원 체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과기부는 이날 서울 성북구 KIST에서 간담회를 갖고 바이오 업계 현장의견을 듣기도 했다앞서 정부는 지난해 9월 범부처 차원 바이오 육성전략을 마련하기도 했다.

 

과기부는 바이오경제 2025 일자리전략을 통해 2022년까지 바이오 실험실 창업기업 500개를 만드는 목표를 세웠다실험실 창업은 대학이나 출연 연구기관이 논문 혹은 특허 형태로 보유한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창업이다생명공학연구원(생명원등이 대표적인 실험실 창업 연계기관이다. 과기부는 또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을 중심으로 인력장비시설공간 제공사업화 전략 마련 등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이번에 발표된 바이오 지원 정책을 통해 제도적 개선에 나설 것”이라며 과기부는 연구자가 자발적으로 기술사업화에 참여하도록 가산점를 제공하는 등 규제와 자금 걱정 없이 창업할 수 있는 바이오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원책 외에도 바이오 특성에 맞는 회계처리 기준이 시급하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일반적으로 창업 초기 바이오기업은 R&D금액을 비용이 아닌 자산으로 처리한다자본잠식을 피하고 투자유치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다그러나 일각에서는 R&D비용을 자산으로 처리하는 바이오 업계의 회계기준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국내 바이오산업은 태동기에 있고 신약개발은 한 단계만 더 들어가도 매우 다양한 변수가 있다 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회계처리방식에 대한 논의에 착수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사진=셔터스톡(Shutterstock)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