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교 장기화시 이미 수주한 공사도 원가상승·공기지연 우려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지역 8개국이 카타르와 단교를 선언해 국경이 폐쇄되는 되는 등 카타르가 외교적 위기를 겪고 있다. 현지인들은 단교조치 이후 '식료품 가격이 오르고 걸프국가들의 육로 차단으로 사재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12일 오후 (현지시간) 카타르 수도 도하 시내의 쇼핑몰 내 마트에서 현지인들이 장을 보고 있다. / 사진= 뉴스1
중동 국가들의 단교 조치 이후 한달 간 국내 건설업계의 카타르 수주금액이 전무한 상황이다. 아울러 단교 조치가 길어질 시 카타르 내 국내 건설사가 진행하는 공사일정이 지연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국내 건설업계의 카타르 기존 수주물량과 미래 수주물량 관리계획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7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6월부터 이달까지 국내 건설사의 카타르발(發) 수주금액은 0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와는 확연히 다른 모양새다. 지난 5년간 국내 건설사가 6월 한달동안 카타르에서 벌어들인 누계 수주액은 총 25억2000만 달러다. 매년 동기 수주금액이 증가 추세를 지속했다. 매 연도별 6월 수주금액은 2016년 6000만 달러, 2015년 900만 달러, 2014년 2640만 달러, 2013년 22억 달러, 2012년 24억5000만 달러에 이른다.

중동권 국가들의 카타르 단교조치로 건설사들의 건설기성 수주에 어려움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해외건설협회가 분석하는 수주금액은 건설사들이 공기에 따라 받는 ‘기간금액’에 따라 변동된다. 즉, 공사가 진행되면 그만큼 수주금액이 오르는 구조다. 따라서 카타르 내 국내 건설사의 공사가 지지부진해 기성확보가 더디게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카타르 단교조치로 인해 업계가 우려했던 결과가 현실화된 셈이다. 지난달 중동권 7개국(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아랍에미리트연합 등)이 카타르 단교조치를 선언했을 때 건설업계는 “카타르 내 진행중인 건설공사가 지연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단교 조치가 이뤄짐에 따라 인근 지역에서 자재, 인력을 반입하기 어려워 공기를 맞추기 힘들 수 있기 때문이다. 설혹 다른 지역에서 인력 및 자재를 반입하더라도 높은 운송비 및 자잿값 인상, 높은 노임단가, 공사원가 상승으로 인한 공기지연 가능성도 건설업계는 우려했다. 과거 2010년 중동 국가 내 민주화 운동인 ‘아랍의 봄’ 당시에도 물자수급 어려움 등으로 인건비, 자재비가 폭등한 전례가 있다.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는 것도 건설업계가 우려하는 점이다. AP통신에 따르면 사우디 등 아랍권 4개국이 단교 해제를 위해 제시한 13개 요구안을 카타르 측이 5일(현지시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국내 17개사가 진행 중인 26건(110억 달러)의 공사진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는 대목이다. 현재까지 카타르 내 다른 공사현장에서 자재가 수급되지만 단교조치 장기화 시 타 국가에서 추가 자재수급이 불가피하다. 

아울러 추가 카타르(發)발 공사물량 확보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번 중동권 국가들의 단교조치는 시아파, 수니파 간 종파분쟁의 성격을 띄고 있다. 카타르가 시아파 국가인 이란과 가까워지는 것을 경계해 시아파 맹주인 사우디를 필두로 단교조치가 이뤄졌다. 중동 최대 발주처인 사우디에게 ‘미운 털’이 박힌 만큼 건설업계가 향후 카타르 건설물량 수주 시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김종국 해외건설협회 실장은 “지금까지는 다른 현장에 있는 자재를 통해 카타르에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다만 단교조치가 장기화될 시 자재, 장비수급 문제로 인한 비용 인상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는 공사원가 상승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