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배출 줄인 스틸벨트·알루미늄 등 소재 개발 속도

탄소 저감 타이어 스틸벨트. / 사진=현대차
탄소 저감 타이어 스틸벨트. / 사진=현대차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전기차,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라인업 확대 뿐 아니라 부품 및 생산 단계 등에서 기술 개발에 나선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 2023년 현대제철, HS효성첨단소재, 한국타이어 등과 공동 연구 체계를 구축하고, 탄소 저감 타이어 스틸벨트 개발에 돌입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재활용 철 스크랩 소재와 전기로를 활용, 제조공정에서의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인 스틸벨트 개발에 성공했다.

스틸벨트는 타이어 고무층 내부에 삽입되는 철선(Steel wire) 부품으로, 타이어 하중을 지탱하고 비틀림과 변형을 최소화해 주행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핵심 부품이다. 운행 중 마모되는 고무와 달리 타이어 수명 내내 일관된 성능을 보장해야 하는 만큼, 강도와 품질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

기존 스틸벨트는 철광석을 고로에 녹여 제작하는 방식이지만 탄소 저감 스틸벨트는 철 스크랩 등 재활용 소재를 80% 이상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2% 줄일 수 있다.

이는 차량 1대당 약 3kgCO2-eq 이상 탄소 배출량 저감 효과로, 연간 참나무 한 그루가 상쇄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탄소 저감 스틸벨트가 적용된 타이어는 향후 출시될 현대차그룹 차량에 순차 적용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새롭게 설정하고, 이를 글로벌 연합기구로부터 승인 받았다. 이에 따라 현대모비스가 향후 5년 내 달성할 온실가스 감축분은 기준점인 지난 2019년 대비 46%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현대모비스는 국내외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재생에너지 비중을 오는 2030년까지 65%, 2040년까지 100% 전환한다는 목표다.

국내에선 대구와 울산공장, 영남물류센터 등 주요 사업장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구축하고 저탄소 에너지로 전환을 추진한다. 해외에선 인도 등 태양광 설치가 가능한 사업장에 관련 설비 설치를 확대하고 있다.

슬로바키아, 브라질, 터키사업장은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을 이미 완료했다.

공급망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협력사 온실가스 관리 체계화를 지원하고 저탄소 원소재 구매를 확대한다. 작년엔 공급망 범위를 해외까지 확대해 국내외 협력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제3자 검증을 완료하고 이를 공시했다. 이를 기반으로 배출 특성별 관리 방안도 수립해 효과적인 감축으로 이어지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현대모비스는 태양광으로 만든 저탄소 알루미늄을 올해부터 주요 부품 제조에 선제적으로 적용한다.

알루미늄은 전기차 등 경량화를 위한 핵심 원소재로 현대모비스는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에 대응해 원자재 조달 단계에서부터 환경 친화적 공급망 구축을 강화할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연간 소요량에 달하는 1만5000톤 규모 저탄소 알루미늄을 확보했으며, 이는 원화로 약 620억원 규모다. 작년 현대모비스가 구매한 알루미늄(6만7000톤)과 비교하면 20%가 넘는 수준이다.

저탄소 알루미늄은 제조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이 일반 알루미늄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알려졌다.

현대모비스는 저탄소 알루미늄을 섀시 등 주요 부품 제조에 활용해 추후 각국 정부 환경 법규 대응에도 선제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