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포함 친환경차 비중 12.1%···경유차 900만대 붕괴
전기차 구매 10명 중 6명 30·40대···20대 구매 증가율 123%↑

전기차 고객이 차량 충전구에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고 있다. / 사진=기아 공식 네이버 블로그 갈무리
전기차 고객이 차량 충전구에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고 있다. / 사진=기아 공식 네이버 블로그 갈무리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가 80만대를 넘어섰다. 내연기관차의 감소세가 뚜렷해지면서 자동차 시장의 친환경 전환이 한층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9일 국토교통부 자동차 등록 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국내 등록 전기차는 총 82만2081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시점(63만5847대)보다 약 29% 증가한 수준이다. 

◇ 친환경차 ‘10대 중 1대’ 시대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는 지난 2020년 3월 10만대를 돌파한 뒤 3년6개월 만인 2023년 9월 50만대를 넘어섰다. 이 추세가 이어질 경우 내년 100만대 달성이 유력하다.

또 다른 친환경차인 하이브리드차는 237만5009대로, 전년 동기(183만6631대) 대비 29.3% 늘었다. 이로써 전기차와 하이브리드를 합친 친환경차의 시장 비중은 전체 등록 차량 2643만4692대 가운데 12.1%를 차지했다. 지난 2015년 0.9%, 2020년 3.3%에 불과했던 친환경차 비중이 불과 5년 만에 10대 중 1대 이상으로 확대된 셈이다.

반면 내연기관차는 정체 또는 감소세다. 휘발유차는 1240만1663대로 전년 대비 0.02% 증가하는 데 그쳤고, 경유차는 876만8995대로 5% 줄었다. LPG차도 184만5186대로 0.29% 감소했다. 특히 경유차는 올해 2월 등록 대수가 폐차 대수보다 적어지면서 누적 900만대가 무너졌다. 

모델들이 전시장에 전시된 전기차 아이오닉5를 살펴보고 있다. / 사진=현대캐피탈
모델들이 전시장에 전시된 전기차 아이오닉5를 살펴보고 있다. / 사진=현대캐피탈

◇ 전기차 소비 주력층 ‘3040’

전기차 구매의 중심축은 30·40대로 옮겨가고 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전기차 구매층의 61.7%가 30·40대였다. 올해 1~9월 개인이 구매한 전기 승용차는 11만1218대로, 이 중 40대가 3만9018대(35.1%), 30대가 2만9561대(26.6%)를 차지했다.

경제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20대 이하 비중은 5.6%에 불과했지만, 구매 증가율은 123.3%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반면 50대는 20.7%(2만3019대), 60대는 9.5%(1만587대), 70대 이상은 2.5%(2822대)에 그쳤다.

선호 차종은 세대별로 확연히 달랐다. 테슬라 모델Y는 30·40·50대에서 가장 인기였고, 20대는 기아 EV3, 60대 이상은 현대차 아이오닉5를 선호했다. 전기차 시장이 브랜드 충성도보다 ‘연령대별 라이프스타일’ 중심으로 세분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달 24일 경기 광명시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대국민 공개 논의 토론회에서 수송부문 탄소중립 방안 등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달 24일 경기 광명시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대국민 공개 논의 토론회에서 수송부문 탄소중립 방안 등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 정부, 2035년 내연차 판매 제한 검토

정부는 친환경차 전환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달 24일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송부문 토론회’에서 정부는 2035년부터 내연차 판매 제한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제시된 4가지 감축 시나리오 가운데 61%·65% 감축안은 대부분의 차량을 무공해차로 전환해야 달성 가능한 수치다. 사실상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를 전제로 한 안이다.

자동차 업계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한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세제·보조금 등 선제적인 지원책을 병행해 국내 완성차 업계가 중국산 전기차의 급속한 시장 잠식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