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치료제 2a상 임상 중 질병통제율 100% 기록···적응증 확대 전략”
“반려견 항암치료제 연내 품목허가 신청···매출 증대 기대”

.
신의철 박셀바이오 전략기획본부장이 12일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시사저널이코노미 주최로 열린 ‘MBF 2023’(Medicine-Bio Forum 2023·제약바이오 국제포럼)에서 '항암면역치료 개발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시사저널e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항암 면역세포 치료제 개발 전문회사 박셀바이오가 주요 파이프라인 개발 현황을 소개하고 차세대 제품 개발 계획에 대해 밝혔다. 간암에서 소세포폐암, 췌장암까지 자연살해(NK)세포치료제 ‘Vax-NK’ 플랫폼에 대한 적응증을 확대하는 한편, 올해 안으로 반려동물용 항암제 품목허가를 신청하는 등 매출 확보를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12일 시사저널e 주최로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열린 ‘MBF 2023’(Medicine-Bio Forum 2023·제약바이오 국제포럼)에 강연자로 나선 신의철 박셀바이오 전략기획본부장은 박스루킨-15, Vax-NK, Vax-CAR 자사 대표 치료제에 대한 사업화 추진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우선 자연살해(NK)세포치료제 ‘Vax-NK’ 플랫폼의 빠른 상용화를 추진한다. Vax-NK는 신약개발이 어려운 진행성 간암 분야에서 임상 1상 연구를 통해 안전성을 입증한 물질이다. 개발 중인 진행성 간암치료제(HAIC + Vax-NK 병합치료) 임상 2a상에서도 우수한 효능을 확인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박셀바이오는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조건부 허가를 받은 뒤 판매를 시작하겠다는 목표다. 신 본부장은 “HAIC 단독군과 비교하면 Vax-NK의 객관적 반응률이나 질병 통제율, 전체생존율 등 전반적인 데이터가 현재까지 나온 어느 치료제보다 월등하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최종 투여 후 식약처에 임상 결과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했다. 

진행성 간암 외에도 소세포폐암, 췌장암 등 적응증 확대를 추진한다. 소세포폐암은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를 시작하기 위한 세포처리시설 허가를 올해 2월 따냈다. 지난 7월에는 췌장암 임상 2a상을 위한 변경계획승인을 신청했다. 

신의철 박셀바이오 전략기획본부장이 12일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시사저널이코노미 주최로 열린 ‘MBF 2023’(Medicine-Bio Forum 2023·제약바이오 국제포럼)에서 '항암면역치료 개발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시사저널e
신의철 박셀바이오 전략기획본부장이 12일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시사저널이코노미 주최로 열린 ‘MBF 2023’(Medicine-Bio Forum 2023·제약바이오 국제포럼)에서 '항암면역치료 개발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시사저널e

혈액암, 고형암 치료 플랫폼인 ‘Vax-CAR’의 임상연구 진입을 위한 준비에도 박차를 가한다. 신 본부장은 “혈액암을 치료를 대상으로 하는 ‘Vax-CAR’의 경우 오는 2024년에 임상연구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비임상 결과를 미루어볼 때 기존에 상용화된 제품들보다 치료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조만간 매출도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셀바이오는 동물용 항암제 ‘박스루킨-15’ 출시로 매출 확대를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박스루킨-15는 이 회사 플랫폼 가운데 가장 빠르게 매출을 낼 수 있는 치료제로 꼽힌다. 연내 박스루킨-15에 대한 품목허가 신청을 하면  내년 안에는 허가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박스루킨-15와 더불어 면역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면역기능보조제도 출시를 준비 중에 있다.

동물용 항암제 사업 본격화를 위해 사업본부도 새로 꾸렸다. 신 본부장은 “내부적으로 반려동물사업본부를 신설했고 면역기능보조제를 올해 11월에 출시할 계획”이라며 “사업본부 자체를 지속 확장하고 동물용 항암제를 매출 증대 모멘텀으로 삼을 예정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