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KB국민·하나·우리금융지주, 26일 신한금융지주 주주총회 개최
정부 밸류업 프로그램 정책 추진 맞물려 자사주 매입·소각 실시 예정
경기침체 장기화 등 경영환경 녹록지 않아···향후 총주주환원율 확대 여부 주목
은행업 둘러싼 환경 비우호적 전망···당초 기대됐던 주주환원 확대에 차질 생길 수도

국내 4대 금융지주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국내 4대 금융지주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국내 주요 금융지주들의 정기 주주총회가 이번주부터 본격 개최된다. 코리아디스카운트(국내 증시 재평가) 해소를 위해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정책을 추진하면서 대표적인 저PBR(주가순자산비율)로 꼽히는 금융주들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어느 때보다 올해 주주총회 핵심 키워드는 주주환원 확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미 주주환원 대책으로 자사주 매입·소각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금융지주사들이 다수지만 올해 경영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점에서 향후에도 확대 기조를 유지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 가운데 KB국민·하나·우리금융지주는 오는 22일, 신한금융지주는 26일 각각 주주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주주총회에서 주요 금융지주들은 배당을 늘리거나 자사주 소각 등의 방식으로 주주환원 강화 방안을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4대 금융지주의 평균 총주주환원율은 30%대로 집계됐다. 총주주환원율이란 당기순이익에서 배당금 등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사용되는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한다.

먼저 KB금융지주는 지난해 결산배당으로 153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이미 지급된 3분기까지 누적 배당(1530원)을 포함하면 연간 총 배당금이 총주주환원율은 37.5%로 전년 대비 9.6%포인트 상승했다. 여기에 32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도 결의해 주주가치도 높인다는 방침이다. 

신한금융지주는 지난해 결산 배당으로 주당 525원을 결정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2100원, 전년 대비 1.7% 늘어난 규모로 총주주환원율은 36%를 기록했다.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도 결정했다. 

하나금융지주는 지난해 결산배당으로 주당 1600원의 현금배당을 정했다. 중간배당을 포함하면 연간 배당금은 주당 3400원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으며 총주주환원률은 32.7%다. 아울러 자사주 매입·소각은 3000억원 규모로 결정했다.

우리금융지주는 연간 배당금은 1000원(결산배당 640원) 규모로 연간 배당수익률은 7.1%, 배당성향은 29.7%를 기록했다. 자사주 매입·소각을 포함한 총주주환원율은 33.7% 수준으로 전년대비 7.5%포인트 상승했다.

관건은 올해도 주주환원 확대 기조를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다. 총주주환원율을 올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호실적이 뒷받침해줘야 하는데 올해는 어느 때보다 경영상황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금리 인하로 인해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

1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 등 4대 금융지주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 합산 추정치는 4조5818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해 1분기(4조9015억원) 대비 6.5% 감소한 수준이다.

설상가상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투자 손실 사태로 금융투자상품 판매도 위축되고 있다. 은행들은 투자상품 판매로 수수료이익을 벌어들이는데 이는 비이자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불완전판매 논란이 불거지면서 KB국민·신한·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들은 지난 1월부터 ELS 판매를 잠정 중단한 상태다

여기에 올해 상반기에만 1조원대 이상일 것으로 추산되는 홍콩ELS 배상액도 실적에 부담이 되고 있다. 아직 배상비율이 확정되지 않은 만큼 당장 1분기 실적에 반영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올해 연간 실적에는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시각이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홍콩ELS 투자자에 대한 평균 배상비율이 40%로 산정될 경우 올해 국내 은행들의 영업이익이 최소 6%에서 최대 34%까지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탈출구를 모색해서 성장하기에는 은행업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이 우호적이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며 "리스크가 증가하면 자본비율이 하락하기 때문에 당초 기대됐던 주주환원 확대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