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 조선소와 거제시, 조선업 흥망성쇠 함께 경험
2집 중 1집, 조선 관련 종사자···“지역경제의 중심 축”

대우조선해양 경남 거제 옥포조선소. /사진=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경남 거제 옥포조선소. / 사진=대우조선해양

[시사저널e=유호승 기자] 경남 거제시는 울산과 함께 국내 조선업의 핵심 거점으로 꼽히는 지역이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조선소를 세우면서 거제시는 이들 기업과 50여년을 함께 했다. 양대 조선소와 거제시는 조선 시장의 업황에 따라 기업과 지역경제가 부흥하거나 휘청이는 ‘흥망성쇠’를 함께한 운명 공동체이기도 하다.

대우조선 옥포조선소는 거제도 옥포만에 건립된 조선소다. 상선과 플랜트, 특수선박 등을 건조한다. 1973년 국동해운이 거제 옥포에 수출용 대형 유조선 건조를 목적으로 100만톤급 규모의 조선소를 완성했다. 하지만 오일쇼크 등의 불황으로 이 조선소는 대우조선에 인수됐다. 이후 1978년 골리앗 크레인을 비롯한 핵심 설비를 갖추기 시작했다. 1983년에는 제2도크를 준공했고 같은해 11월에는 ‘5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기도 했다.

삼성중공업은 1974년 8월 5일 설립됐다. 이병철 삼성 창업주가 정부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에 따라 회사를 세웠고, 1979년 거제조선소에 제1도크를 완성해 선박제조에 돌입했다. 이후 1983년 2월 제2도크, 1994년 10월 제3도크를 지으며 대우조선과 함께 거제를 대표하는 양대 조선소로 자리를 잡았다.

50여년에 달하는 이 기간, 대우조선과 삼성중공업은 동고동락(同苦同樂)했다. 조선업이 호황이던 시절 거제시는 우리나라 평균소득 상위권에 속했다. 대우조선·삼성중공업 및 협력사 임직원이 거제시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했다.

한 거제 시민은 “거제에는 세 종류의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 말이 있다”며 “대우조선과 삼성중공업에 근무하는 임직원 및 가족, 이들을 대상으로 장사를 하는 자영업자 등으로 나뉜다”고 말했다.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거제시청은 양대 조선소가 지역을 지탱하는 핵심 원동력으로 보고, 매년 이들 기업 종사자의 인원을 파악하고 있다. 2020년 기준 직영 및 협력사를 포함해 대우조선 근로자는 2만1254명, 삼성중공업은 2만5614명으로 총 4만6868명이다. 같은해 거제 인구는 24만5754명으로 전체 인구의 5분의 1이 조선소에서 근무하는 셈이다.

가구 숫자로 보면 양대 조선소가 거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거제의 당시 가구는 약 10만2000가구로 2가구 중 1가구가 대우조선 및 삼성중공업 조선소에서 일하는 것이다.

대우조선과 삼성중공업은 지역생상을 위해 소외계층 지원 등에 힘써왔다. 대우조선 임직원은 불우이웃돕기를 희망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매달 1004원의 금액을 급여 공제하는 ‘천사 기부활동’을 펼치고 있다. 마련된 성금은 매년 거제시 희망복지재단에 기부되고 있다.

삼성중공업도 거제시종합사회복지관과 장애인복지관, 옥포종합사회복지관에 매년 성금을 기탁하고 있다. 지역 밀착형 기업들과 지방자치단체의 대표 상생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단, 거제 인구 및 조선소 임직원은 2015년을 기점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당시 수주절벽으로 대우조선과 삼성중공업은 큰 어려움에 직면해 대규모 구조조정을 실시해야만 했다. 2015년 8만1035명이던 양대 조선소 종사자 인원은 5년 만에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25만5828명이던 거제시 인구도 약 1만명 줄었다. 인력 구조조정에 실직자가 다수 발생하자 지역경제도 침체기에 빠졌다.

그러나 최근 들어 조선업 부활의 기미가 나타나자 거제시는 새로운 도약의 시기가 왔다고 기대하고 있다. 특히, 한화그룹의 대우조선 인수 과정에서 임직원 고용유지가 보장되자 과거와 같은 실직 사태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안도하는 모습이다.

거제시 관계자는 “거제시와 시민들은 지역경제의 중심축인 대우조선이 제대로 된 인수자를 만나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기를 희망해왔다”며 “한화가 고용보장을 약속하면서 기업과 지역사회의 상생발전, 새로운 도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