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반도체종합연구소 설립타당성 검토 산학연 토론회’ 개최

정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11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나노·반도체종합연구소 설립타당성 검토 산학연 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호길 기자
정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11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나노·반도체종합연구소 설립타당성 검토 산학연 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호길 기자

[시사저널e=이호길 기자] 중국과 일본 중심으로 편중된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수입처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중 갈등이 심화될 경우 중국 의존적인 반도체 공급망은 '제2의 요소수' 사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 전문 인력 양성 필요성도 제기된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 대한전자공학회,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등 3개 기관은 11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나노·반도체종합연구소 설립타당성 검토 산학연 토론회’를 개최해 반도체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정형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연사로 나서 한국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리스크와 대응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 때 통상 전쟁으로 시작된 반도체 경쟁이 이제는 기술 패권 경쟁으로 확장되고 있다. 메타버스, 자율주행차, 블록체인 등 신산업이 고도의 반도체를 필요로 하고 있어서 반도체 공급망 확보는 대단히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며 “반도체는 경제적·산업적 측면뿐만 아니라 안보적 측면이 강해졌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공정 수입 품목에서 대중(對中)·대일(對日) 의존도가 높아 이를 재조정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인 갈륨의 96%, 텅스텐의 84%가 중국에서 수입된다. 반도체 장비는 일본 기업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서 리스크가 큰 편이다. 한국의 반도체 장비 제조 산업 점유율은 2.2%에 불과하다.

정 위원은 “현재 전반적인 구조를 보면 10년이나 20년 전에 비해 중국 의존적인 형태로 바뀌었다. 기업의 반응을 보면 중국이나 일본의 수입 의존도가 수출보다 훨씬 중요하다”며 “이런 부분이 향후에도 지속된다면 우리 공급망에는 상당한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정 위원은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구조적 대응 방안으로 공급처 다변화를 제시했다. 그는 “미중 갈등 이후 고도화된 반도체 기술에 접근하기 위한 중국의 시도를 미국이 차단하고 있다”며 “최첨단 기술은 미국이나 동맹국이 갖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도체 핵심 기술을 보유한 국가와 공급망 협력을 강화해야 한단 것이다.

아울러 “반도체 산업이 중국과 연계해 빠른 성장을 했지만, 이제는 일정 부분 리밸런싱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다”며 “대기업에 비해서 중견·중소기업은 공급망 재편으로 재고를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미중 분쟁이 심화될 경우를 전제한다면 리밸런싱 문제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반도체 연구개발(R&D) 인력 양성과 관련해 “수도권 대학은 정원 총량제가 있어서 다른 학과 인원을 줄이지 않으면 인력을 키우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반도체 전문대학원 등은 특별법을 통해 적극적으로 확대를 해보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이병훈 포항공대 반도체기술융합센터장(전자전기공학과 교수)은 반도체 산업이 격변기에 들어섰다며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반도체와 나노 기술을 융합하는 이종집적 기술을 바탕으로 반도체 산업은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뀔 것”이라며 “1980년대 1차 격변기에 이어 현재 나타나고 있는 2차 격변기의 방향은 누가 먼저 초전력을 구현할 수 있느냐다. 특화된 설계 기술과 고난도 이종집적 제조 기술이 반도체 산업의 핵심 경쟁 요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