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인 친환경 정책 필수···에코드라이브·공회전 제한 장치 활성화

[시사저널e=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최근 자동차 업계 대세는 단연 전기차다.

기술 개발로 전기차의 단점이 사라지면서 매년 보급 대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내연기관차 판매량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며, 내연기관 수명도 예상보다 빠르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작년 코로나19로 인해 자동차 시장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급격히 판매가 줄었지만, 전기차는 320만여대를 판매하며 견고한 모습을 보였다.

올해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차 전용플랫폼을 탑재한 아이오닉5나 EV6 등 다양한 완성도 높은 전기차가 출시되면서 글로벌 시장의 전기차 판매는 500만대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2025년이면 글로벌 전기차 판매 1000만대를 넘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여전히 전기차는 기존 내연기관차 대비 미미한 시장이다. 실질적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전기차 등 각종 무공해차 보급이 누적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 등록된 자동차는 약 2500만대 수준이지만 친환경차 100만대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2400만대는 내연기관차란 소리다.

전세계적으로 지구 환경개선이나 이산화탄소 감소가 핵심 이슈로 떠오르면서, 해결방안으로 자동차의 환경 기준 강화가 주목받고 있다. 이를 위해 전기차 보급과 활성화는 당연한 과제지만, 기존 내연기관차 제어 없이는 한계가 분명하다.

국내에서도 자동차 규제를 통한 친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미흡한 부분이 많다. 내연기관차의 경우 오래된 디젤차 폐차 지원, 5등급 차량 도심지 진입 금지, 노후 디젤차 매연저감장치(DPF) 장착 의무화, 노후 디젤차에 대한 환경개선 부담금 강화가 전부다.

실질적으로 운행하고 있는 내연기관차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 방안은 거의 없는 수준이다. 내연기관차에 대한 실질적인 규제 방안이 없다면 향후 2050 탄소제로 달성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체 환경에서 자동차가 미치는 비율이 20%이상 되는 만큼 실질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운행 중인 내연기관차에서 배출되는 각종 배출가스를 제어해야만 제대로 된 친환경 사회가 가능해진다는 의미다.

우선 지난 2008년 도입했던 ‘에코드라이브’, 즉 친환경 경제운전을 다시 되살려야 한다. 당시 환경부와 국토교통부가 ‘니 것 내 것’ 하며 서로가 적극적으로 운동을 펴다가 냄비가 식듯 바로 분위기가 침체된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친환경 경제운전은 장기적으로 보고 체계적으로 시행해야 효과가 극대화되는 운동이다. 특히 97%의 에너지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1인당 에너지 소비증가율이 글로벌 최고 수준인 한국 입장에선 연료 절약을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다. 에코드라이브는 연료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 등을 감축시키며, 교통사고도 낮추는 1석 3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개인적으로 에코드라이브를 하면 적게는 20%, 많게는 50%의 연료를 절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이라도 다시 한번 전 국민적 홍보와 적극적인 캠페인 활동을 시행해야 한다.

동시에 공회전 제한장치(ISG) 보급도 좋은 효과가 기대된다. 이전에 공회전 제한장치 보급은 배터리와 기동전동기 수명에 영향을 준다고 해 바로 시행을 멈췄다.

하지만 지금은 그때 보다 기술적으로 개선된 만큼 가성비 측면에서 뛰어난 효과가 기대된다. 이미 유럽산 모든 수입차에 ISG가 장착돼 운영될 만큼 효과는 입증됐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수원시 등 여러 지자체와 한국에코드라이브협회가 나서서 ISG를 어린이 학원차량에 장착하는 시범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특히 이 장치는 차량이 정지하면 어린이가 모두 내리고 출입문을 닫아야 시동을 걸리게 만들어 어린이 교통안전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ISG를 보급하고 활성화시킨다면 연비 개선, 환경 개선과 더불어 어린이 교통안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자부한다.

또한 미세먼지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에 영향을 주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교체와 흡기부분의 카본 청소도 함께 진행한다면 더 큰 효과가 기대된다. 비용도 DPF같이 차량 당 수백만 원이 아닌 수십만 원만 지원해도 기존 대비 20% 미만으로 질소산화물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다.

운행되고 있는 2400만대의 내연기관차에 대한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뒷받침되지 못한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미래의 환경개선은 예상보다 진행이 더뎌질 수 있다. 탁상행정이 아닌 실질적인 정책 시행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그렇지 않아도 글로벌 기후악당 소리를 듣고 있는 우리로서는 더욱 목표를 이행해야 할 이유가 있다. 내연기관차의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