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독립단 결성해 일제 군경·친일파 처단
독립 위한 임정 외교활동 지원···일제에 강제병합 불법 인정 요구
만주 지역 독립운동 역량 모아 항일 무장투쟁

[시사저널e=이준영 기자] 2020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1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1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양기하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양기하 선생 / 이미지=국가보훈처

양기하(梁基瑕) 선생은 항일 무장 독립투쟁에 모든 노력을 바쳤다. 선생은 의병 출신 독립운동가들과 서간도 유하현 삼원보에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을 결성해 일제 군경 및 친일파를 처단하는 국내 진공작전을 실행하고 군자금을 모집했다. 상해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으로서 임시정부의 독립 외교활동을 지원했다. 일제에 대해 강제병합 불법 인정과 열국에 대한의 완전독립 승인을 요구했다. 선생은 만주 지역 민족 독립운동의 역량을 통합해 항일 무장투쟁에 나섰다.

선생은 1878년 10월 8일 충남 논산군 두마면에서 태어났다. 호는 하산(荷山)이다. 선생은 대한제국 말기 공주 군수 등 관직에 있다가 1910년 8월 경술국치로 주권을 일제에 의해 잃자 국권을 되찾기 위해 만주로 망명했다.

선생은 서간도 유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서 강원도와 황해도 등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박장호(朴長浩) 등 의암(毅菴) 유인석(柳麟錫)의 문인들과 함께 교육 사업에 종사하면서 항일 민족의식을 높이고 독립군을 양성했다.

◇ 일제 군경과 친일파 처단

1919년 국내에서 3.1운동이 일어나자 양기하 선생은 일제를 무력으로 무찌르고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항일 무장투쟁단체를 조직했다. 선생은 3월 15일 박장호·조맹선(趙孟善)·백삼규(白三圭)·전덕원(全德元) 등 의병 출신 독립운동가들과 서간도 유하현 삼원보에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을 결성했다. 대한독립단은 총무·재무·사법·교통·선전 등 각 부서와 남만주 각 지방에 지단(支團)을 두고 한인자치를 실시하면서 항일 무장투쟁을 했다. 선생은 대한독립단의 교통부장·선전부장을 맡아 국내에 독립군을 파견하고 군자금을 모집했다. 또한 일제 군경 및 친일파를 처단하는 국내 진공작전을 실행했다.

선생은 서간도에서 활동하던 대한독립단·한족회(韓族會)·청년단연합회(靑年團聯合會) 등 독립운동단체를 통합해 항일 투쟁역량을 강화하고자 노력했다. 그 결과 이들 단체의 대표들은 ▲각 단체의 통일기관을 설치하고 국내 왜적(倭敵)의 행정기관 파괴사업을 실행하되 각 단체의 개별적 명의(名義)로 하지 말고 반드시 상해 임시정부가 지정하는 명의로 할 것 ▲연호(年號)는 대한민국 연호를 사용할 것 ▲임시정부에 대표를 파견해 이상의 사실을 보고하고 통일 법명(法名)을 요청할 것 등에 합의했다. 1920년 2월 이들 단체를 중심으로 관전현(寬甸縣) 향로구(香爐溝)에 통일기관을 설치한 뒤 임시정부에 대표를 파견해 그간의 정황을 보고했다.

임시정부는 이에 따라 재만 한인동포 통치기관으로 광복군 참리부(光復軍參理部), 군사기관은 광복군사령부(光復軍司令部), 각 지방에는 군영(軍營)을 설치하도록 했다. 광복군 참리부장에는 조병준(趙秉準), 광복군 사령장에는 조맹선, 6개 지방 영장에는 오동진(吳東振)·최시흥(崔時興) 등을 선임하고 각 부서장을 임명해 군사훈련과 일제 군경·행정기관에 대한 파괴사업을 전담하도록 했다. 이 때 양기하 선생은 군사통일기관인 광복군사령부의 정보국장에 선임돼 적정을 탐지하고 친일파를 색출했다.

◇ “열국은 대한의 완전독립 승인하라. 일제는 강제병합 불법 인정하라”

1921년 4월 6일 상해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된 선생은 군무와 교통분과 상임위원회에서 활동했다. 이때 미국·영국·프랑스·이탈리아·일본 등 태평양 지역에 이해관계를 가진 열강들이 군비 축소 문제와 극동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1921년 11월 11일부터 다음해 2월까지 워싱턴에서 태평양회의를 열기로 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임시정부는 이 태평양회의(워싱턴군축회의)에 한국 문제를 상정시켜 파리평화회의에서 이루지 못한 독립을 다시 한 번 관철시키고자 이승만(李承晩)을 전권대사, 서재필(徐載弼)을 전권부사로 하는 한국대표단을 구성해 독립 외교활동을 했다.

양기하 선생은 임시정부의 독립 외교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1921년 8월 17일 상해에서 홍진(洪震) 등과 함께 ‘태평양회의 외교후원회’를 조직하고 조상섭(趙尙燮)·신현창(申鉉彰)과 함께 재무간사를 맡아 우리 대표단의 외교활동을 후원하는 선전과 모금운동을 했다. 특히 선생은 그 해 9월 간사장 홍진, 서무간사 장붕(張鵬) 등과 함께 한국 독립의 승인을 요구하는 ‘외교후원회의 대(對)태평양회의 선언서’와 행동강령을 발표했다. 행동강령에는 ‘태평양회의에 참여한 열방(列邦)이 동양평화의 근본 문제인 대한 독립을 완전 승인하기까지 적극적 활동을 계속할 일’, ‘전국민으로 하여금 대내외에 맹렬한 운동을 행하게 하고 상당한 금전을 수합해 경비에 충용(充用)할 일’ 등이 담겼다.

선생은 그 해 10월 외교후원회 명의로 태평양회의 한국대표인 이승만과 서재필에게 서한을 보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안하도록 요청했다.

1. 미국 정부에 대해 우리 대표를 출석 참가하도록 요구할 것

2. 열국에 대해 우리 대한의 완전 독립 승인을 요구할 것

3. 일본에 대해 일본이 한국을 병합함이 불법행위 또는 강박에 의함을 긍정하는 동시에 병합 이래 대한국가 또는 국민에게 입힌 일체 손해를 배상하도록 요구할 것

11월 11일 태평양회의가 열리자 선생은 임시의정원 의장 홍진 및 신익희(申翼熙) 등 동료 의원 25명과 함께 ‘세계의 평화, 동아(東亞)의 행복과 정의 인도를 위해 한국 독립 및 자주의 완전한 해결’을 요구하는 ‘한국독립청원서’를 각국 대표들에게 발송했다.

◇ 무장 독립투쟁 위한 한국노병회 결성

그러나 태평양회의에서 외교 독립운동은 성과 없이 끝났다. 이에 선생은 무장 독립투쟁에 집중했다. 선생은 1922년 10월 1일 상해에서 김구(金九)·손정도(孫貞道)·여운형(呂運亨)·김인전(金仁全)·조상섭 등과 함께 ‘모두가 노동하며 군인이 되는’ 독립운동단체로 한국노병회(韓國勞兵會) 조직을 추진했다. 10월 28일 조직된 한국노병회는 ‘조국 광복에 공헌하기 위해 향후 10년 이내에 1만명 이상의 노병(勞兵)을 양성하고 100만원 이상의 전비(戰費)를 조성함’을 목적으로 했다. 한국노병회는 한국 청년들을 선발해 중국 군사교육기관에 유학시키는 등 독립군 양성과 군자금 마련에 힘썼다.

한편 이 시기 상해의 임시정부는 국무총리 이동휘(李東輝)와 노동국 총판 안창호(安昌浩) 등 주요 국무위원의 사퇴, 임시대통령 이승만의 부재 등으로 그 기능을 잃어 가고 있었다. 이에 임시정부를 국민의 대표기관이자 독립운동의 최고 통솔기관으로 개편하기 위한 국민대표회 소집 문제가 독립운동계의 관심사였다.

이때 선생은 국민대표회 소집과 이를 통한 임시정부 개편 입장을 견지했다. 임시의정원과 국민대표회주비위원회(國民代表會籌備委員會) 사이의 대립이 심화되자 선생은 안창호·신익희·김구·조소앙(趙素昻)·이시영(李始榮) 등 50여 명과 함께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를 조직했다. 선생은 이를 통해 임시의정원과 국민대표회주비위원회 사이의 반목과 갈등을 해소하고 국민대표회를 조기 개최해 임시정부를 독립운동의 최고 통괄기관으로 거듭나도록 하고자 노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3년 1월 3일부터 5월까지 개최된 국민대표회는 임시정부의 개편 문제를 둘러싼 창조파와 개조파의 대립에 따라 결국 파국으로 끝났다.

◇ 민족 독립운동의 역량 모으다

선생은 상해에서의 생활을 청산하고 만주로 이동해 재차 항일 무장투쟁에 헌신할 것을 결심했다.

1923년 9월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의용군(義勇軍) 제1중대장 백광운(白狂雲)·제2중대장 최석순(崔錫淳)·제3중대장 최지풍(崔智豊)·제5중대장 김명봉(金鳴鳳) 등이 대원 500여명을 이끌고 이탈한 뒤 대표를 파견해 이전의 광복군사령부를 계승한 임시정부 직속의 통일 군정부(軍政府)의 수립을 요청했다. 선생은 이를 기회로 만주로 귀환했다.

선생은 1924년 8월 서간도 통화현(通化縣)에서 이들 중대장 김승학(金承學)·윤세용(尹世茸) 등과 협력해 임시정부 군무부 직속 군사기구인 육군주만참의부(陸軍駐滿參議府)를 조직하고 항일 무장투쟁을 재개했다. 선생은 1927년 3월 참의부의 교육위원장 겸 제3행정구 위원장으로 선임돼 재만 한인 동포들에 대한 민족교육과 자치 실현에 기여했다.

그러나 이 시기 만주 지역 독립운동계의 상황은 1925년 6월 11일 중국 동북군벌과 조선총독부 경무국장 사이에 체결된 ‘삼시협정(三矢協定)’에 따라 악화됐다. 삼시협정에는 ‘중·일 양국 경찰은 합작해 봉천 동부에서 활약하는 한인 독립운동을 방지할 것, 중국 당국은 한인 독립운동자를 체포해 인도할 것’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는 만주 지역의 항일 무장투쟁단체 활동은 물론 존립마저 위협했다.

이에 당시 만주 지역에 있던 참의부(參議府)·정의부(正義府)·신민부(新民府) 등 3부를 통합해 독립운동의 역량을 모을 필요성이 커졌다. 통합의 필요성은 1926년부터 국내외서 전개되던 민족유일당운동에 의해 더욱 커졌다.

정의부는 1927년 8월 제4회 중앙의회를 열어 3부 통합의 길을 선도했다. 이후 전민족유일당조직촉성회와 전민족유일당조직협의회로의 분립과 대립, 3차에 걸친 통합회의 등 우여곡절을 거쳐 1929년 4월 1일 정의부를 주축으로 신민부 민정파와 참의부 일부 계열이 3부 통합조직으로 국민부(國民府)를 결성했다. 선생도 국민부 결성에 동참했다.

같은 해 12월 20일 남만주 일대의 민족유일당으로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이 결성되고, 그 당군으로 조선혁명군(朝鮮革命軍)이 편성됐다. 선생은 이들 두 조직에도 참여해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 일제 맞서 투쟁 역량 강화···일제와 교전 중 순국

조선혁명당은 재만 한인동포에 대한 자치 행정기관인 국민부와 협력해 조선혁명군을 지휘 통솔했다. 조선혁명당과 국민부, 조선혁명군은 당·정·군 체제로서 유기적 관계였다. 양기하 선생은 이들 조직 모두에 참여하해 항일 독립운동을 했다.

1931년 9월 만주 침략을 도발한 일제는 통화·유하·환인(桓仁)·신빈(新賓)·청원(淸源)·해룡(海龍)·금천(金川) 등 동삼성 수도(首都)와 현읍(縣邑)을 점령하고 만주 동북부 지역의 한국독립군과 남만주 지역의 조선혁명군 및 중국의용군 등 항일 무장단체들에 대한 공격을 강화했다.

이에 선생을 비롯한 조선혁명당·조선혁명군·국민부 간부들은 1931년 12월 17일 신빈현 하북(河北)에 있는 서세명(徐世明)의 집에서 긴급 중대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에서 조선혁명당과 국민부를 단일 조직체로 만들어 임전태세를 갖추기로 결정했다. 이미 붙잡힌 현익철(玄益哲)의 후임으로 당 중앙집행위원장에 이호원(李浩源)을 선출하고, 양기하 선생을 정치부장에 선임하는 등 당·군의 조직을 정비하고 대일 투쟁역량을 강화하고자 했다.

그러나 밀정들로부터 이 같은 회의 사실을 탐지한 일제는 통화 일본영사분관 경찰서에서 일경 50여 명과 중국본안대 병력 100여 명을 동원해 12월 19일 신빈현 회의장을 포위 습격했다. 이에 조선혁명당 중앙집행위원장 이호원과 조선혁명군 사령관 김관웅(金寬雄), 국민부 공안부 집행위원장 이종건(李鍾建) 등 주요간부 10여 명이 체포됐다.

이 회의에 참석했다 가까스로 탈출한 선생은 양세봉(梁世奉)·고이허(高而虛) 등과 조선혁명당·조선혁명군·국민부의 조직을 재정비했다. 선생은 국민부 중앙집행위원장을 맡고 조선혁명당 중앙집행위원장은 고이허, 조선혁명군 총사령관은 양세봉이 맡아 당·정·군의 조직을 재건하면서 항일 무장투쟁을 이어갔다.

1932년 2월 관전현(寬甸縣)에 주둔하고 있던 선생은 조선총독부 초산(楚山)경찰서 경찰대와 만주군의 협공을 받고 격전 끝에 수십명의 조선혁명군 부하 병사들과 함께 전사해 순국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조선혁명의 최후 해결은 조선 노력대중(勞力大衆)의 모든 부대를 동원하여 일본 군대·경찰·헌병·감옥·소방대 등을 근본적으로 격파하고, 정치·경제·문화 기타 제국주의적 제(諸) 시설을 모두 파괴함에 있다. 또한 조선민족의 독립국가 건설을 일본 제국주의의 일체 세력을 구축 박멸하는 것에서만 완성할 수 있다.

- 양기하 선생이 활동한 조선혁명군 선언서 중에서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