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세계 최초 5G 기반 자율주차 기술 선보여
돌발 상황 대처·불편한 승차감 등 ’과제‘ 남아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LG유플러스가 5G 이동통신 기반 자율주차 기술을 선보였다. 세계 최초로 통제되지 않은 도로와 공영 주차장에서 5G 자율주행과 주차 기술을 연계해 선보였다. 다만 지정된 주차공간에 다른 차량이 진입한 경우 대응이 미숙하고 승차감 개선도 과제다.

LG유플러스는 1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사옥에서 5G 기반 자율주행차 ‘에이원(A1)’을 시승행사를 열었다. 기술 시연은 한양대학교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에이스랩’과 자율주행 솔루션기업 ‘컨트롤웍스’가 공동으로 맡았다.

A1에는 실시간 주차공간 인식 솔루션과 5G 클라우드 관제 서비스 플랫폼이 기존 자율주행 기능에 추가됐다. 모바일 앱 서비스와 연계해 운전자가 차량 조작·위치 파악을 할 수 있는 기능도 넣었다.

이날 A1 시승은 상암동 5G 자율주행 시범지구에서 열렸다. A1은 YTN뉴스퀘어 건물에서부터 상암1공영주차장까지 약 800m 거리를 5분간 이동한 뒤 주차공간에 자리를 잡고 스스로 시동을 껐다.

LG유플러스의 자율주행차 'A1'의 도로 주행 모습. / 사진  = 김용수 기자
LG유플러스의 자율주행차 'A1'의 도로 주행 모습. / 사진 = 김용수 기자

A1은 주차장까지 가는 동안 총 5개의 횡단보도와 3개의 교차로를 만났다. A1은 신호등과 통신(5G-V2X)으로 소통하며 매 순간 주행을 지속할지, 제동을 시작할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했다. 카메라로 신호등 색상을 판별해 주행 여부를 결정하던 지난해 시연보다 발전했다.

주행은 ‘인공지능(AI) 기반 주행 환경 인식’ 기술이 핵심이다. 차량에 장착된 라이다와 레이다 센서 정보로 주변 상황을 인지하고 미래 상황을 예측했다. 전·후·측방 차량의 차선변경과 갑작스러운 끼어들기에도 대응했다.

이어진 5G 자율주차 시연은 자동차 스스로 인근 주차장을 찾아가 빈자리에 주차하는 일종의 ‘자율 발렛파킹(대리주차)’ 개념이다. 실제 A1은 주차 공간을 맞추기 위해 전진과 후진을 몇 회 반복하는 사람과 달리, 단 한 번의 후진으로 주차에 성공했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통제하지 않은 도로와 공영 주차장에서 5G 자율주행과 주차기술을 연계해 선보인 건 이번이 세계 최초다.

LG유플러스의 자율주행차 'A1'이 스스로 주차하는 모습. / 사진 = 김용수 기자
LG유플러스의 자율주행차 'A1'이 스스로 주차하는 모습. / 사진 = 김용수 기자

이날 시승을 해보니 차량이 스스로 인근 주차장을 찾아가 빈자리에 주차하는 기술을 갖췄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했다.

다만 상용화까지는 아직 과제가 남았다. 먼저 인프라 확충이다. 이날 행사에 앞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선우명호 한양대학교 에이스랩 교수는 “자율주차 상용화는 전기차 보급과 비슷하다. 주차공간을 인식하려면 먼저 공영주차장 등에 CCTV 같은 카메라가 충분히 설치돼야 한다. 이런 부분에서 정부 참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차 시 발생할 돌발 상황에 대한 대비 없이 단순히 차량을 빈 곳에 주차하는 상황만을 가정해 실증이 이뤄졌다는 점도 한계다.

선우명호 교수는 “이번 기술은 자율주행 레벨4에 해당한다. 지정한 주차공간에 다른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등에 대한 대비는 이번에 적용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주영준 LG유플러스 미래기술개발랩 담당도 “실증에서는 (돌발 상황 관련) 시나리오를 반영하지 않았지만 관제 플랫폼을 상용화할 때는 그런 시나리오를 고려해서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전히 불안정한 승차감도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이날 시승 과정에서 A1은 우회전 중 뒤늦게 발견한 보행자를 보고 급하게 핸들을 꺾거나, 주변 사물을 너무 ‘경계한’ 나머지 불안정한 핸들링을 보이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LG유플러스는 이르면 다음달부터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5G 자율주차를 공개 시연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