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공개 앞두고 ‘본인 삭제’ 늘어

이미지=셔터스톡
이미지=셔터스톡

네이버가 악성 댓글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뉴스 기사 댓글 이력을 전면 공개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 악성 댓글 및 댓글 조작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네이버 이용자들 역시 반기는 분위기다.

네이버는 19일 오전 11시를 기점으로 사용자가 뉴스 기사에 쓴 과거 댓글 이력을 모두 공개했다. 이전까지는 본인이 써 온 댓글에 대한 공개 여부를 정할 수 있었지만, 이날부터는 본인 뜻과 상관없이 모두 노출된다.

아울러 작성자 스스로 삭제한 댓글은 보이지 않지만, 삭제하지 않은 모든 댓글, 댓글 수, 받은 공감 수 등이 집계돼 표시된다. 최근 30일 동안 받은 공감 비율과 본인이 최근 삭제한 댓글 비율도 함께 나온다. 네이버는 이날부터 신규 가입 7일 후부터 뉴스에 댓글을 달 수 있도록 했다. 회원가입 후 짧은 기간 댓글 활동을 한 뒤 아이디를 해지하거나 휴면 아이디로 전환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서다.

앞서 네이버는 트위터·페이스북 등 실명 확인이 안 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으로 네이버에 가입하면 뉴스에 댓글을 달 수 없도록 조치한 바 있다. 네이버는 이번 댓글 개편과 함께 특정 댓글러의 댓글을 차단하는 기능과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한 악성 댓글러 판단 및 필터링 기능도 빠른 시일 내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현재 우리나라 검색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한다. 점유율이 높은만큼 뉴스 댓글과 관련해 구설수도 많았다. 지난 2018년 ‘드루킹 사태’를 겪은 후 뉴스 노출 방법도 개편했다. 드루킹 사태란 파워블로거였던 김모씨가 매크로(자동 입력 반복) 프로그램인 ‘킹크랩’을 이용해 포털사이트 기사 8만여건의 댓글과 추천수 등을 조작한 사건을 말한다. 대법원은 지난 2월 김모씨에 대해 유죄 실형 판결을 확정했다.

당시 네이버는 드루킹 사태 직후, 사용자 아이디 하나당 달 수 있는 댓글 수를 3개로 제한하고, ‘댓글 공감수’를 24시간 기준 50개 이상 달지 못하도록 했다. 연속적으로 댓글을 달 때는 1분의 시간차를 두도록 했으며, 뉴스 댓글 편집권한도 입점한 언론사에게 모두 넘겼다.

그러나 이후에도 댓글과 관련된 논란은 계속됐고, 최근에는 악성 댓글로 인해 연예인들이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결국 네이버와 포털 다음은 연예 댓글 자체를 막아버렸다.

이번 댓글 이력 도입과 관련해, 이용자들은 반기는 모습이다. 직장인 이모씨는 “이번 댓글 이력 도입으로, 댓글을 단 사람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며 “댓글 내용이 단순 어그로(분란을 일으키는 것)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게 돼 만족한다”고 말했다.

주부 박모씨는 “이제는 댓글 이력이 낱낱이 공개돼 누가 매크로인지 아닌지를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이번 개편을 계기로 건전한 댓글 문화가 자리잡았으면 한다”고 했다.

다만 기사 곳곳에 여전히 많은 악플(악성 댓글)들이 남아 있어, 이용자가 당장 댓글 이력 공개를 통한 체감을 느끼긴 어려워 보였다. 주목할 점은 네이버가 댓글 이력 공개를 발표한 지난 18일 본인이 직접 삭제한 기사 댓글 비율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네이버가 제공하고 있는 뉴스 댓글 통계에 따르면, 지난 1~17일 본인 댓글 삭제 비율은 11~12% 수준을 유지했다. 

이후 네이버가 18일 댓글 공개 이력을 발표하자, 본인 댓글 삭제 비율은 14.5%로 증가했다. 댓글 삭제에 대한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댓글 이력 발표가 어느정도 효과를 본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댓글 개편을 통해 악플 및 댓글 조작이 어느정도 완화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다만 계정 거래 등을 통한 소규모 댓글 조작 및 완벽한 악플 차단은 여전히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업계 관계자는 “여전히 실행사를 통해 네이버 계정 거래 등이 암암리에 이뤄지고 있다”며 “이를 완전히 근절하기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위정현 중앙대 교수는 “이번 네이버 댓글 이력 표시는 악성 댓글이나 댓글 조작과 관련해 어느정도 완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매크로 또는 타인의 계정을 활용해 댓글을 다는 방법 등은 여전히 존재하므로 근본적인 해결까지는 어렵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댓글 실명제와 같은 극단적인 방법을 도입하지 않고서는 댓글과 관련해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일각에서는 이번 댓글 이력 도입으로 인해 여론 형성이 위축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지만, 댓글 자체의 부작용이 너무나도 큰 상황속에서 이러한 개편이 계속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