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청 협의회 ‘대구·경북 최대 봉쇄조치’ 표현 논란···“고립하겠다는 뜻 아니다”
文대통령도 적극 해명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대구지역 野의원 공동성명 통해 반발

당정청의 대구와 경북 지역에 대한 '봉쇄조치' 표현에 대해 미래통합당 등 야당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25일 오전 대구시 서구보건소 출입문이 굳게 닫혀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당정청의 대구와 경북 지역에 대한 '봉쇄조치' 표현에 대해 미래통합당 등 야당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25일 오전 대구시 서구보건소 출입문이 굳게 닫혀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당정청이 코로나19 확산 방지 대책의 일환으로 언급했던 ‘대구·경북 최대 봉쇄조치’ 표현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에 나서고 있지만, 야당은 강하게 반발하며 사과와 행정적·재정적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25일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고위당정청 협의회 직후 브리핑에서 “대구·경북은 감염병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해 통상의 차단 조치를 넘는 최대한의 봉쇄 조치를 시행해 확산을 조속히 차단하기로 했다”면서, ‘봉쇄조치’ 표현과 관련해서는 “최대한 이동 등 부분에 대해 일정 정도 행정력을 활용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해당 발언 이후 ‘봉쇄조치’가 대구·경북 지역의 출입 자체를 막겠다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 여론이 일부 형성됐고, 미래통합당을 중심으로 한 야당은 중국 우한시와 같은 지역 봉쇄의 의미인지 여부가 불명확하고 대구·경북 지역 주민들에게 상처를 주는 발언이라고 공세를 가했다.

이에 홍 수석대변인은 브리핑 이후 약 2시간 만에 “(‘봉쇄조치’ 표현은) 지역을 봉쇄해 대구·경북을 고립한다는 게 아니다”라며 “코로나19를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 (방역을 통해) 봉쇄한다는 의미”라고 해명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도 “중국 우한시와 같이 지역 자체를 봉쇄한다는 의미가 전혀 아니다”며 "최대 봉쇄조치는 지금 대구 지역에서 방역 상의 의미로서의 봉쇄정책을 최대한 가동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오후 대구를 방문한 자리에서 “지역적인 봉쇄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전파와 확산을 최대한 차단한다는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면서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것 같아서 다시 한 번 설명드린다”며 직접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이와 같은 당정청의 해명에도 야당은 비판의 목소리를 이어갔다.

심재철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입장문을 통해 “‘대구 코로나’라는 표현으로 대구 시민에게 큰 상처를 준 것도 모자라 ‘대구 봉쇄’라는 말까지 쓴 것”이라며 “대구·경북 시민과 도민의 자존심에 상처를 줄 수 있는 용어 사용은 삼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래통합당 소속 대구 지역 현역의원도 공동성명을 통해 “중국인 전면 출입금지를 통한 초기 방역에 실패한 정부가 코로나19 사태가 전국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자 대구·경북 탓으로 돌리려고 하는 작태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대구와 경북은 바이러스 차단의 가장 기초적인 마스크와 생필품은 물론 의료장비 부족으로 도시 전체가 마비되는 혼란에 휩싸였지만, 정부는 그동안 뒤늦게 감염병 위기경보를 말로만 ‘심각’ 단계로 격상했을 뿐 현실적인 지원은 전혀 없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부는 지역 이동 차단이 아니라는 핑계를 대고 있지만, 이는 힘겹게 위기를 극복하고 있는 대구시민과 경북도민에게 허탈감과 큰 상처를 주는 것”이라며 “진심 어린 사과와 함께 대구·경북이 수차례 요구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요청을 신속히 이행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