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파생상품 규제에 증권업계 “고객 이동 많지 않을 것”
증권사 파생상품 판매 규모는 은행 DLF 사태 후 계속 늘어나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열린 DLS·DLF(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펀드) 특별검사 결과 발표 촉구 기자회견에서 DLS·DLF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열린 DLS·DLF(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펀드) 특별검사 결과 발표 촉구 기자회견에서 DLS·DLF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은행과 보험사에서 고위험 파생결합펀드(DLF)와 신탁 상품 판매를 금지하면서 증권업계에 미칠 여파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각에선 은행의 파생상품 수요층 일부가 증권사로 이동해 증권업계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보지만 반대로 파생상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확대, 은행과 증권사 간 고객 투자성향 차이로 증권업계가 볼 수 있는 이득은 크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고위험 금융상품 투자자 보호 강화를 위한 대책을 내놓고 은행·보험업계의 고위험 사모펀드와 신탁 판매를 제한하기로 했다. 주식이나 채권, 부동산 등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사모펀드는 해당하지 않고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사모펀드가 주요 대상이다.

은행에서 판매가 제한될 상품은 고난도 금융투자상품이다. 원금을 20% 이상 잃을 수 있는 상품이 대상이다. 금융당국은 이런 상품은 원금 손실 우려뿐만 아니라 투자자의 이해가 쉽지 않기 때문에 불완전판매에 대한 우려가 크다며 은행권보다는 증권업계에서 판매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업계에선 사실상 증권사 외에는 금융권의 DLF 판매가 제한되면서 반대급부로 증권사의 파생상품 판매가 늘어날 수 있느냐에 관심이 집중된다. 일단 증권업계에선 규제 영향을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은행 고객들의 투자성향이 저위험·중수익에 맞춰져 있어 은행의 고객 이탈로 인한 증권사 고객 증가는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문제가 된 은행권 DLF 사태를 보면 고객이 원금 보장을 중시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며 “은행 고객이 증권사로 넘어올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고 설명했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도 “금융당국이 은행의 파생상품 판매를 제한했기 때문에 상품에 대한 부정적인 목소리가 커지게 되면서 증권사에도 실질적인 도움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최근 들어 증권사의 사모펀드 판매는 늘어나고 있어 이번 DLF 규제로 증권업계의 상품 판매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기대감은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기준 증권사의 사모펀드 판매 잔액은 322조원을 기록했다. 7월말에는 313조원, 8월말에는 318조원을 기록했다. 두 달 연속 증가세다. 반면 같은 기간 은행의 사모펀드 판매 잔액은 9월말 27조원으로 8월말보다 2.9% 줄어들며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증권업계의 DLS·DLB(공모, 사모 포함) 발행 실적도 같은 모습을 보였다. 10월말 DLS·DLB 발행 실적은 총 1조8600억원으로 전달보다 39.6%가 늘어났다. 지난 8월 은행들이 판매한 DLF에서 원금 손실 사태가 발생했지만 증권사들이 판매한 파생상품의 판매 규모는 오히려 증가한 셈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이번 규제로 한동안 시장에 혼란이 예상되지만 증권사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증권사나 은행 등 각 금융권의 고객 이탈 규모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