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청구공사대금, 4대 건설사 중 ‘GS건설’만 증가
삼성물산, 33% 감소···매출 액 대비 비중도 최저
현대건설, 8개 중 6개 프로젝트 공정률 95% 이상

삼성물산·현대건설·대림산업·GS건설 등 주요 4개 건설사가 사업보고서를 통해 사업장별 공정률과 미청구공사 규모를 공개했다. 미청구공사는 공사를 하고도 발주처에 청구하지 못한 대금을 말한다. 통상 건설사가 추정한 공사진행률과 발주처가 인정한 진행률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

미청구공사는 회수 기간이 긴 데다 자칫 대금을 떼일 우려도 있어 위험자산으로 분류된다. 특히 미청구공사대금은 대부분 해외사업장에서 발생했다. 미청구공사 중에서도 악성으로 꼽히는 공정률 95% 이상인 사업장도 적지 않았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림산업, GS건설 등 4대 건설사의 사업보고서 내 미청구공사대금을 분석한 결과, 2018년 말 연결기준 4사의 미청구공사대금 합계는 6조2526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6조7620억원) 대비 8% 가량 줄어든 규모다.

건설사별 미청구공사대금은 현대건설이 2조6797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GS건설(1조8417억원) ▲대림산업(9048억원) ▲삼성물산(8265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삼성물산은 미청구공사대금을 전년(1조24334억원) 대비 33% 가량 줄이며 최대 감소폭을 보였고, 대림산업과 현대건설도 각각 17%, 8% 축소됐다.

/ 그래픽=김태길 디자이너

반면 GS건설은 4대 건설사 중 유일하게 미청구공사대금이 늘었다. 미청구공사대금은 2017년 1조5209억원에서 지난해 1조8417억원으로 21% 증가했다. 전분기 매출액의 5% 이상 계약 사업장에서 발생한 미청구공사대금은 1조131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미청구공사대금의 61.4%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대출액 대비 미청구공사대금 비율은 삼성물산이 6%로 가장 낮았고, 대림산업(8%), GS건설(14%), 현대건설(16%) 순이었다. 건설업계에서는 매출액 대비 미청구공사액의 비중이 20% 안팎이면 정상적인 수준으로 본다.

문제는 준공이 95% 이상으로 공사 완료가 임박했는데 미청구공사 규모가 큰 경우다. 이는 공사 막바지임에도 발주처의 대금 지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국내보다는 해외에 집중돼 있다는 점에서 공기 연장에 따른 간접비 부담과 준공 정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체상금 등 다양한 원가 상승 요인을 안고 있다.

/ 그래픽=김태길 디자이너

준공이 임박한 미청구공사(공정률 95% 이상) 비중은 현대건설과 GS건설에서 높게 나타났다. 현대건설은 미청구공사대금(전분기 매출액의 5% 이상)이 발생한 8곳 중 6개 프로젝트가 모두 95%를 넘어섰다. 이들 공사는 모두 해외에서 진행 중인 것들로 미청구공사금은 4487억원이다.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공정률 93%·완성기한 2020년 12월 31일)를 제외하면 공정률이 100%를 육박했다. 올해 말 준공 시점이 몰려 있다.

GS건설 역시 12곳 중 공정률 95% 이상을 기록한 4개 프로젝트에서 3837억원의 미청구공사대금이 발생했다. 이집트 ‘ERC Refinery Project’가 1928억원으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 외에도 UAE 루와이스 화재 복구 프로젝트(RRW Unit Restoration)의 경우 공사기한(2019년 1월 10일)이 넘었지만 5528억원의 미청구공사대금이 책정됐다. 이는 ‘전분기 매출액 5% 이상 계약 사업장’ 대금의(1조1080억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규모다.

반면 삼성물산과 대림산업은 공정률 95%이상 사업장의 미청구공사대금 비중이 크지 않았다. 삼성물산은 카타르 UHP IWPP(공정률 100%·116억원), 호주 Westconnex Stage 1b(96.20%·23억원) 두 곳, 대림산업은 국내 사업장인 S-OIL RUC Project(98.10%·335억원)가 공사완료가 임박한 미청구공사 현장이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기자재 조달 등 일시적으로 증가한 사업비를 기성금에 반영하지 않을 경우 미청구공사액이 증가하지만 결국 나중에 자연스럽게 해소된다”며 “또 미청구공사 규모가 늘어나는 것은 수주업체와 발주업체 간 공사 완성도에 이견이 생겼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공정률이 95% 이상인데 계약금 대비 미청구공사 비중이 높을 경우에는 리스크가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