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다256, 블록체인 플랫폼 '루니버스' 출시·하반기 '댑 스토어' 출시 예정···사용자·개발자 편의성↑
삼성전자 S10 '키스토어' 탑재·카카오 '클레이튼' 출시 초읽기
"암호화폐 접근성 강화, 시장 활성화 기대"

람다256이 두나무에서 분사한다. 람다256은 분사와 함께 블록체인 플랫폼 ‘루니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람다256은 19일 서울 강남 GS타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두나무에서 독립 법인으로 분사하고 블록체인 플랫폼 ‘루니버스’ 서비스를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기존 설치형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등 플랫폼을 보완해 사용성과 보안 기능을 대거 개선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루니버스를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서비스는 내달부터 체리, 케이스타라이브, 휴먼스케이프, 아하, 직톡, 스토리체인 등 7개사에 적용될 예정이다. 

19일 서울시 강남구 GS타워에서 개최된 람다256 '루니버스' 정식 론칭 기자간담회에서 박재호 대표가 설명하고 있다. / 사진=윤시지 기자
19일 서울시 강남구 GS타워에서 개최된 람다256 '루니버스' 정식 런칭 기자간담회에서 박재호 대표가 설명하고 있다. / 사진=윤시지 기자

 

특히 람다256은 루니버스가 향후 블록체인 기반 분산형 애플리케이션(댑‧DApp) 서비스 활성화에 주효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회사는 올해 하반기 중 ‘댑 스토어’와 ‘솔루션 마켓 플레이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댑스토어는 구글 앱스토어나 플레이 앱스토어에서 앱을 내려받듯 쉽게 댑을 내려 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장터 역할을 한다.

박광세 람다256 이사는 “암호화폐에 열성적인 사용자들조차도 댑을 찾고 사용하는 게 너무 어렵다. 개발환경을 잘 구축한다고 해도 개발한 댑을 유저들이 찾을 수 없다면 의미가 없다. 잘 만들어진 댑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이 더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사업은 출발했다”고 설명했다.

람다256은 더 나아가 블록체인 ‘생태계’를 꾸린다는 목표까지 세웠다. 루니버스 토큰 루크(LUK)를 발행하고 서비스 사용료, 향후 댑스토어 등의 플랫폼 결제 수단을 넘어 업계 투자 지원금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발행되는 100억 루크 중 30억 루크를 업계 투자 재원으로 활용한다. 람다256은 기술 분야를 넘어 일반 대중들이 쉽게 접하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 SNS,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커멋, 여행, 물류, 금융 등을 중심 요소 기술에 초점을 맞춰 투자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번에 람다256이 두나무로부터 분사한 이유는 블록체인 서비스 사업에 보다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것이다. 업비트가 제공하는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넘어 댑 시장을 연결하는 전방위적 플랫폼으로 독립성을 추구한 셈이다. 박재호 람다256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2022년까지 블록체인 업계 아마존이 되겠다"고 공언했다. 

지난해 비트코인 급락과 함께 암호화폐 시장의 열기는 식었지만 람다256 등은 블록체인 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나섰다. 특히 올해 람다256 등 블록체인 업계 뿐만 아니라  대기업 시장 진출이 예고되면서 블록체인 시장 활기를 전망하는 분위기다. 중소기업 중심 시장에 인프라를 보유한 대기업이 진출하면서 암호화폐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될 것이란 기대감도 반영됐다. 댑 서비스 지불 수단인 암호화폐가 활성화될 경우 시장에 다시금 열기를 더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 관측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최근 출시한 스마트폰 갤럭시S10에 암호화폐 지갑 보안키를 관리하는 키스토어 기능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모바일로 손 쉽게 암호화폐 송금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삼성 블록체인 월렛과 연동이 가능한 댑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엔진지갑, 코인덕, 코스미, 크립토키티 등 댑 기능이 탑재됐지만 향후 댑 서비스를 확대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삼성 모바일기기 통합보안관리 시스템인 '녹스'를 활용해 암호화폐 보안 우려를 지운 점도 특징이다.

카카오 역시 그라운드X에 투자를 단행하며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연내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업계선 카카오가 자사 서비스에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한편, 댑 서비스와의 연동성을 강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은 “댑 서비스는 블록체인 생태계를 만드는 데 크게 일조한다. 전세계적으로 댑 마켓이 활성화되는 중”이라며 “삼성전자, 카카오 같은 대기업들의 진출로 암호화폐를 지불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된다면 시장 활성화를 촉진시켜 결과적으로는 댑 서비스 시장에 새로운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