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상승 등으로 중산층 구매력 증가 
올해는 가계 소득 증가세 둔화로 민간소비 주춤 전망

27일 오전 서울 망원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27일 오전 서울 망원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민간소비가 7년 만에 큰 폭으로 증가했다. 올해는 가계소득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돼 민간소비 증가율도 낮아질 전망이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민간소비 증가율은 2.8%를 기록했다. 2011년(2.9%) 이래 가장 높았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012년부터 3년간 1%대에 그쳤다. 세월호 사고가 있던 2014년엔 1.7%까지 떨어졌다. 이후 2015년 2.2%, 2016년 2.5%, 2017년 2.6%로 서서히 높아졌다.

소비 증가세가 확대된 배경으로는 임금 상승과 정부 재정효과가 꼽힌다.

명목임금은 지난해 큰 폭 상승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1분기 7.9%, 2분기 4.2%, 3분기 2.9% 등이다. 2016년 3.8%, 2017년 3.3% 등에 비해 높았다.

특히 지난해 초 대기업 특별급여 지급 등과 최저임금 인상 효과도 소비 증가세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또 9월부터 기초연금 인상, 아동수당 지급 등으로 정부 이전지출이 늘었다.  

소비 내역을 보면 내구재 증가율이 6.2%로 높았다. 중산층의 가전 구매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미세먼지 문제로 공기청정기와 의류관리기 판매가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여름엔 폭염 때문에 에어컨이 많이 팔렸고 건조기도 판매도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엔 수입차가 많이 팔렸다. 규제 강화를 앞두고 업체들이 재고소진에 나선 영향이다.

준내구재도 5.9% 증가했다. 옷과 가방, 화장품 판매가 꾸준히 이뤄졌다. 중국 관광객들의 면세점 구매에 더해 젊은 층의 소비도 꾸준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민간소비에 포함되는 해외소비 증가세는 주춤했다. 출국자 수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1분기 14.3%, 2분기 12.8%를 기록한 후 3, 4분기 들어 3%대로 떨어졌다. 

올해 한은의 민간소비 증가율 전망치는 2.6%로 작년보다 낮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와는 같다. 가계소득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고용여건은 나아지지만 명목임금 상승률은 낮아질 예정으로 소비심리가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