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정부, 남북관계발전기본계획 및 2018년 시행계획 공개…완전한 비핵화·항구적 평화 명시

평양정상회담 마지막 날인 9월2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내외가 삼지연공항에서 문재인 대통령 내외를 환송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정부는 3일 향후 5년간 대북정책의 기본 골격이될 2018~2022년 적용되는 남북관계 발전 기본계획 및 2018년도 시행계획을 국회 보고를 거쳐 공개했다. 기본 계획에는 남북 정상이 합의한 4월 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을 토대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이 목표로 명시됐다.

 

앞서 남북 정상은 올해 3차례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 추진에 합의했다. 남북이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비핵화를 추진하고 불안정한 정전체제를 항구적 평화체제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북핵 문제 해결과 함께 3대 목표로 제시된 ‘지속 가능한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신경제공동체 구현’도 남북 정상이 공감대를 이룬 부분이다. 판문점 선언에는 남북관계의 전면적이며 획기적인 개선과 발전이 포함됐으며, 남북은 지난 9월 정상회담에서 민족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들을 강구해나가기로 했다.

단계적·포괄적 접근, 남북관계와 북핵 문제의 병행 진전 등 기본계획의 4대 전략과 강한 안보를 통한 평화 유지 등 5대 원칙을 비롯한 기본계획의 추진 방향은 현 정부가 밝혀온 한반도 정책을 그대로 따랐다. 박근혜 정부 때 마련된 2차 기본계획 대비 통일과 관련한 내용이 줄고 비핵화 해결과 남북관계 증진 방안이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이번 기획계획의 7개 중점 추진과제 중 통일과 관련된 과제는 ‘평화통일 공감대 확산 및 통일역량 강화’라는 한 개항뿐이었다. 2차 기본계획에는 통일정책에 대한 국민적 합의 추진, 평화통일을 위한 역량 강화 등 10개 추진과제 중 절반이 통일 관련이었다.

대신 남북 협력과 국제협력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를 달성한다는 목표가 이번에는 비핵화와 북미관계 개선, 평화체제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하고 남북관계와 북핵문제 진전의 선순환 구도를 조성한다는 목표로 구체화했다.

남북관계와 관련해서도 2차 계획에 당국간 대화 추진, 인도적 문제의 실질적 해결 추구 정도가 담겼지만 이번 계획에는 수차례의 정상회담과 고위급 회담 등을 거치면서 남북 대화 정례화, 다방면의 교류협력 활성화 등으로 목표가 더해졌다.

올해 시행계획에 종전선언,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 개보수 등 연내 시행이 사실상 어려워진 내용도 다수 포함됐다.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에는 정부가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남북공동번영을 구현하기 위해 남북관계발전에 관한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도록 규정돼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