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초기 정부와 안정적 파트너십 구축 관건…대북경협 TF 구성 통해 대북사업 관련 주도적 역할할지 주목

지난 7월 27일 포항 포스코 본사 대회의장에서 최정우 신임 포스코 회장이 취임사를 하고 있다. / 사진=포스코

우여곡절 끝에 돛을 올린 포스코 최정우 호(號)가 초반 우려를 뒤로 하고 일단 순항을 이어가고 있다. 정치권 및 업계에선 최정우 회장이 보다 안정적으로 정부와 파트너십을 이어가기 위한 열쇠는 ‘대북사업​이라고 입 모아 이야기한다.


최 회장 인사는 유독 처음 임명 과정부터 굴곡이 많았다. 그동안 포스코 회장은 사실상 정권에서 낙점한 인물이 맡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문재인 정권이 들어선 이후 이같은 패턴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정부에서 낙점을 쉽게 하지 못하다보니 오히려 밖에서 보기엔 그 과정 자체가 우여곡절이 많은 것으로 비춰진 것이다. 임명 전부터 정치권은 최 회장 취임과 관련해 제각각 입장을 내놓으며 신경전을 벌였다.

최 회장은 취임 후 조직을 안정화시켜가고 있다는 평을 듣지만 일부 정치권 및 시민단체로부터 고발을 받은 상태여서 향후 사태를 주시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기존 포스코 회장들과 다르게 순탄하게 자리에 오른 것이 아닌 만큼, 회사경영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것은 물론 정권과의 호흡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한 업계 인사는 “포스코가 민영화 된 것은 맞지만 국가기반사업을 하고 있다는 특성상 여러모로 정부와의 호흡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특히 최정우 회장과 이번 정권은 남북경협에서 접점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 정부에서 특히 중점을 두고 있는 대북 관련 사업에서 강점을 보여준다면 정권과 파트너십 형성에 도음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공기업 사장 후보에 올랐던 한 업계 인사는 “정부가 특히 남북경협과 관련해서는 포스코의 역할을 기대할 것”이라고 귀띔했다.

최 회장은 이미 각 계열사 및 관계사들을 모아 남북경협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고 어떤 역할을 할지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직접 계열사 포스코켐텍이 2007년 북한산 마그네사이트를 수입하려다 남북 관계가 경색돼 사업을 중단시켰던 사례를 들기도 했다. 

 

포스코가 구체적으로 어떤 사업을 진행할지는 논의 중이지만 업종 특성상 적잖은 역할을 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남북경협TF 구성이 곧 정부의 기대에 부합하기 위한 일환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포스코 한 관계자는 “대북사업이 본격화 되면 건설 등 각종 인프라 구축 사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에서 역할이 강조될 것”이라며 “남북경협 TF는 이에 대비해 미리 준비를 하는 차원으로 해석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오는 5일 문재인 대통령이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수석 등 5명의 대북특별사절단을 북한에 보내기로 함에 따라 남북 경협에 대한 기대감은 다시 올라가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