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비해 지원 적고 해외 진출 어려워…정부 “창조경제혁신센터‧지자체 협력 강화하겠다”

#. 대구광역시에서 모바일 게임을 개발했던 심 아무개씨(27)3년 전 대학 창업지원센터에 들어가 스타트업을 차렸다. 그러나 심씨는 수도권으로 회사를 옮길까 고민 중이다. 서울이나 수도권에 게임 스타트업 지원이 몰려있는 탓이다. 심 씨는 우수한 기업이 수도권에 많은 게 아니라, 수도권에 지원이 몰리기 때문에 스타트업들이 성장하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

 

지역 중소벤처기업이 여전히 수도권에 비해 부족한 인프라를 호소하고 있다. 지역 기반 기업들은 수도권이나 해외 진출 기회가 적고, 지원사업 개수 자체도 차이가 난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나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거점 기관을 만들어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 출범 후 지방에도 중소벤처기업 지원기관들이 많이 생겼다. 특히 대기업 지원기관이나 액셀러레이터들이 지방균형사업을 펼치면서 지원사업도 증가했다. 하지만 벤처기업 대표들은 수도권과 비교하면 여전히 지원사업의 개수나 질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토로한다.

 

해외진출 사업에 대한 수혜도 비교적 적다. 서울과 수도권은 정부를 비롯해 많은 산하기관, 액셀러레이터들이 해외 현지 시장 정보를 제공하고 진출을 돕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 도시에 있는 중소기업과 창업기업들은 대도시로 나와야만 수출이나 해외진출을 고려할 수 있다. 상황이 이런 탓에 내수 시장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또 지방 기관이 명확한 지원 대상을 정해놓지 않아 다른 지역 기업들도 자금을 받을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 벤처업계 관계자는 지원사업으로 연명하는 1~2년차 벤처기업들은 전국을 돌아다니며 지원을 받는다“20대 창업가들에 대한 지원조건이 까다롭지 않기 때문에 스타트업이나 사업계획서만 제대로 갖춰 있다면 서울 벤처기업도 지방에서 돈을 받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여기다 300인 이상 지역 중소기업은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 이슈가 불거지며 더 힘들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방으로 갈수록 기업들이 겪는 인력난은 심각한데, 임금이 올라가며 회사 규모 축소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별로 최저임금을 차등화하는 주장도 이 같은 배경에서 나왔다.

 

이에 중기부는 지방자치단체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중기부는 민관공동창업자육성(TIPS) 프로그램을 지방까지 확대했고, 내년 상반기부터 대전을 시작으로 전국에 팁스타운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기부는 18일 정부대전청사에서 17개 광역지자체와 함께 제1차 중소기업정책협의회를 구성했다. 지역중소기업정책협의회는 중기부 지원정책을 지방까지 뒷받침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1차 협의회는 홍종학 중기부 장관이 직접 주재했다.

 

이날 열린 협의회에서 지역 중소벤처기업은 스마트공장, 지방창업공간 지원 등을 주장했다. 지자체끼리 협력해 수도권과의 교류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중기부 정책인 규제샌드박스형 지역혁신성장특구, 메이커스페이스, 전통시장 지원 등에서 지자체 협력 방안이 강화돼야 한다는 요지다.

 

과거 중기부 승격 전에는 중소기업청끼리 정기적인 협의가 없었다. 중기부는 새롭게 협의회를 구성하고 지자체간 협력을 통해 지역주도형 중소기업 정책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중기부는 전날(17)에도 지역창조경제혁신센터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수도권과 지방기업 협력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홍종학 장관은 지역중소기업 육성과 개방형혁신 활성화를 위해선 지자체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지자체가 제안하고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사업구조를 갖춘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지자체의 자율성을 최대한 확대하고, 지역별 맞춤형 사업집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소기업, 창업벤처기업, 소상공인 정책 추진과정에서 지자체와 협업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18일 정부대전청사에서 2018년 지역중소기업정책협의회를 개최하고 있다. /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