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사업에 유리할 것”

우면동에 위치한 KT 공공안전통신망 기술검증센터에서 연구원들이 재난망 통신을 테스트하고 있다. / 사진=KT
KT가 국가재난안전통신망 사업에서 서울을 포함한 두 구역을 가져가게 됐다. 업계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을 마련하는 것은 곧 스마트시티 등 더 큰 사업의 초석을 다지는 의미가 있다고 분석했다.

조달청은 18일 국가재난안전통신망 3개 사업구역 구축과 운영, 유지보수를 맡을 우선협상대상자를 공개했다.본사업 우선 협상 대상자로 A·B사업 구역에는 KT가, C사업 구역에는 SK텔레콤이 선정됐다. LG유플러스는 선정되지 못했다. 조달청은 지난 5일 제안서 제출 마감 이후 전문가들과 제안요청서를 평가했다. 

국가재난안전통신망 본사업은 서울을 포함한 A사업(서울, 대구, 대전, 세종, 경북, 충남, 제주)과 B사업(광주, 경기, 강원, 전북, 전남), C사업(부산, 인천, 울산, 충북, 경남) 등 3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단계적으로 발주를 진행했다.

가장 규모가 큰 서울이 포함된 A구역을 맡기 위해 이동통신사가 치열하게 경쟁한 결과 우선협상권은 KT에게 돌아갔다. KT는 종합평점 95.7708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발주 규모는 4025억9000만원이다. B사업 역시 KT가 96.7083점으로 1위에 올랐다. KT는 A사업에서 SK텔레콤보다 기술 점수에서 앞서 총점 0.08점 차이로 1순위 사업자에 선정됐다.

B사업 역시 KT가 96.7083점으로 점수가 가장 높았다. B사업구역의 발주 규모는 3120억5100만원이다. C사업에서는 SK텔레콤이 기술과 가격 점수 모두 KT보다 높아 SK텔레콤이 선정될 수 있었다. C사업의 발주 규모가 1877억6500만원이다.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은 소방·경찰 등 재난 대응기관의 무선통신망을 단일망으로 통합해 재난 현장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을 말한다. 지난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이후 재난 현장의 일원화된 지휘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으로 도입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지난 8월 행정안전부는 1조7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올해부터 오는 2025년까지 재난안전망을 구축하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재난망 본사업은 올해부터 오는 2020년까지 3년, 운영은 2019~2025년까지 이뤄진다.

KT는 본사업에 앞서 지난 2015년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개최되는 강원도 3개 지역(평창, 강릉, 정선)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시행했다. KT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 시범사업’ 제1사업자로서 재난망 운영센터와 평창지역 시범망 구축을 완료했고, 지난 5월에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관제 및 유지관리 사업’을 맡았다.

KT가 집중적으로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을 구축하면서 파급효과도 커질 전망이다. KT 관계자는 “재난망은 정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이라며 “이번 사업으로 KT 기술에 대한 신뢰, 안정성에 대해 확실히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것은 다른 사업을 진행하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 사업은 아주 큰 사업”이라며 “여기서 두 구역을 커버한다는 것은 굉장히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재난망은 비단 재난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스마트시티를 완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망을 통해서 확보한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이 될 추가 사업들을 진행하기에 훨씬 유리하다는 얘기다.

이런 탓에 SK텔레콤은 이번 결과가 다소 아쉽다는 분위기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 사업에 참여하게 된 것은 의미가 있지만 결과에서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다. 그렇지만 차이는 근소했다”며 “앞으로 충분히 만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테렐콤은 이동통신 1위 사업자 네트워크 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분석 기반 기지국 설계 등을 통해 재난망을 구현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