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모델 '알티마' 리콜‧배출가스 조작혐의 공판…신차 출시 전 위기요인 산적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쟁쟁한 신차 경쟁 속에서 한국닛산의 판매 실적이 주춤하고 있다. 한국닛산은 내년 초까지 신차를 출시하며 실적반등을 노린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최근 '알티마' 등 주력모델 결함시정(리콜) 조치와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혐의 공판이 신차 효과를 온전히 누리지 못할 악재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지난해 중형세단 알티마를 앞세워 판매고를 올린 한국닛산이 올해 들어 성장이 둔화한 모양새다. 한국닛산은 올 초부터 지난달까지 총1796대를 판매해 지난해 같은 기간(2141)에 비해 판매량이 16.1% 감소했다. 이 기간의 판매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 판매실적에 못 미치며, 특히 지난달엔 총 449대 팔아 같은 기간 판매대수(524)에 비해 16.7% 감소했다.

 

사실상 한국닛산이 그간 알티마의 판매실적에만 의존한 것으로 풀이된다. 알티마는 지난해 4566대 팔려 한국닛산 전체 판매량 중 72.6% 차지한 볼륨모델이다. 알티마는 올 1월부터 4월까지 1519대 팔려 지난해 같은 기간(1572대)과 유사한 판매 실적을 보였으나 여타 모델의 판매 대수가 크게 줄어 한국닛산의 전체 실적은 하락했다.  

이 같은 판매 하락세를 두고 경쟁업체의 신차 출시에 적극 대응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토요타, 혼다 등 경쟁 업체가 신차를 출시하며 제품군을 확대하는 동안 한국닛산은 이렇다 할 신차 전략을 내놓지 못한 탓에 시장 경쟁에서 뒤처진 셈이다. 토요타코리아는 지난해 10월 신형 캠리를, 올 초엔 소형 해치백 프리우스C를 출시해 판매고를 올렸다. 특히 신형 캠리는 출시 후 지난달까지 4878대 팔려 같은 기간 토요타 전체 판매량의 44.2%를 차지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혼다도 이번 달 신형 어코드를 출시하며 하이브리드 제품군을 넓혔다.

 

한국닛산은 내년 초 신차를 출시해 시장 경쟁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내년 초까지 한국닛산은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엑스트레일과 신형 알티마를 출시해 실적 반등의 기회를 노린다는 계획이다. 순수전기차 리프’ 2세대도 들여올 것으로 알려졌다. 제품군 확대와 함께 실적 회복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문제는 신차 출시를 앞두고 올해 한국닛산의 판매실적 회복에 악재로 작용할 위기 요소가 산적해 있다는 점이다.

 

우선 알티마의 부품결함 리콜을 앞두고 있다. 한국닛산에 따르면 알티마 2012년형 일부 차량 중 변속기의 토크 컨버터 부품에 대한 결함이 확인돼 자발적 리콜이 진행될 예정이다. 리콜 대상 차량은 2012727일부터 20131214일 생산된 알티마 차량 2598대다.

 

한국닛산 관계자는 해당 부품은 아직 국내에 조달이 되지 않은 상태다. 부품 수급이 완료 되는대로 소비자에게 리콜을 안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리콜이 2016년 경 불거진 소비자 피해 문제와 관련돼 있다는 점에서 브랜드 이미지 타격으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2016년 알티마 일부 차주들은 변속기 관련 결함 사례를 TS한국안전교통공단에 신고한 바 있다. 공단 관계자는 "2016년 알티마 2.5차량에서 변속충격, 소음진동, 가속지연 현상 관련 25건의 결함신고가 접수됐고 일부 신고에선 정차과정 중 시동꺼짐 현상이 보고됐다. 지난해 2월부터 국토교통부의 지시를 받아 조사를 시작했다"며 "2016년에 발생한 알티마 2.5 시동꺼짐 현상과 이번 자발적 리콜이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국닛산은 올해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혐의로 공판이 이어질 예정이다. 지난 2월 환경부는 한국닛산 법인과 회사 관계자들을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배출가스 시험성적서 및 연비시험 성적서 등을 조작해 수입 차량 인증을 받아냈다는 혐의로 고발했다.​ 지난 17일 진행된 1차 공판에선 전직 임직원들이 대부분의 혐의를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신차 효과를 온전히 누리기엔 위기 요소가 산적해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일본차는 내구성이 높다는 이미지가 형성돼 있고 국내서 매니아층도 존재한다. 그렇지만 리콜이나 배출가스 저감장치 의혹이 이어지면 그런 탄탄한 이미지에도 금이 갈 수밖에 없다해외 징벌적 벌과금제 등을 본받아 법적 제도를 정비해 이 같은 사례를 사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