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장관 등 PK 세력도 만만찮아…향후 판도 변화 예상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보건복지부 본부의 고위직 관료 구성은 그동안 관행대로 호남 출신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충청도와 TK(대구경북) 출신도 예상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시사저널e가 최근 복지부의 국회 제출 자료를 토대로 고위직 출신 지역을 분석한 결과, 정부세종청사에 소재한 복지부 본부의 고위공무원 나급(구 2급) 이상 고위직 공무원 보직은 총 28자리로 집계됐다. 이중 공석인 공공보건정책관과 한의약정책관, 복지행정지원관 등 3자리를 제외한 25명 중 호남 출신은 6명으로 집계됐다. 

 

이어 충청과 TK가 각각 5명으로 집계돼 공동 2위를 기록했다. PK(부산울산경남)는 4명이었다. 서울과 경기는 3명으로 집계됐다. 강원도 출신은 2명이다.  

 

·​차관과 고위공무원 가급(구 1급) 6명 관료 중 출신지역이 겹치는 경우는 한 건이다. 박능후 장관과 강도태 보건의료정책실장이다. 박 장관은 경남 함안이고, 강도태 실장은 경남 진주다.  

 

복지부는 과거 보건사회부 시절부터 내무부(현 행정안전부), 농림부(현 농림축산식품부) 등과 함께 호남 출신 인맥이 강세를 보였던 대표적 정부부처였다. 

 

과거 군사정권에서 호남 출신은 돈을 다루는 경제기획원 등 경제부처에 가기 쉽지 않았던 시절이 있었다. 이같은 사유 등으로 인해 복지부에는 호남 출신이 숫자와 능력 면에서 우위를 보이다 최근에는 그 비중이 낮아졌다. 하지만 아직 고위직에서는 비중이 여전히 높다. 이번 조사에서도 구체적 수치로 확인됐다.       

 

호남을 출신지역으로 둔 6명 관료는 권덕철 차관과 이형훈 대변인, 조남권 장애인정책국장, 이강호 인구아동정책관, 임인택 노인정책관, 강완구 사회보장위원회 사무국장 등이다. 이밖에 국장 승진 후 현재 국방대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박금렬 국장도 호남 출신이다. 부친과 모친 모두 호남 출신인 양성일 보건사업정책국장은 범호남 출신으로 볼 수 있다. 

 

그래픽=김태길 디자이너

이처럼 숫자가 많은 호남 출신은 평상시보다는 이슈가 있을 때 언제든지 세력화할 수 있다는 평가다. 지난 2015년 7월 당시 김원종 복지정책관이 질병관리본부 국립인천공항검역소장으로 좌천 발령 났을 때 말들이 많고 분위기가 심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정책관 고향은 한때 국회의원 출마를 준비했던 전북 남원이다. 

 

문재인 정권도 실은 호남정권으로 분류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 100일에 맞춰 모 언론사가 청와대 비서관급 아상과 장·차관급, 4대 권력기관, 군인사 등 총 175명 출신지역을 분석한 결과, 호남 출신은 25.7%였다. 정권이 출범하자마자 문 대통령이 임명한 인사는 이낙연 당시 국무총리 후보자(전남 영광)와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전남 장흥)이었다. 

 

충청 출신 5명은 충북 2명과 충남 3명으로 구분된다. 이영호 사회복지정책실장과 조태일 국제협력관이 충북 출신이다. 반면 충남이 고향인 3명 관료는 행정고시 37회에 몰려있다. 이기일 보건의료정책관(공주)과 노홍인 건강보험정책국장(청양), 고득영 보육정책관(금산)이다. 

 

TK도 숫자에 있어서 비중이 높은 편이다. 이동욱 인구정책실장(봉화)과 전병왕 정책기획관(예천), 이민원 해외의료사업지원관(대구), 배병준 복지정책관(상주), 장재혁 연금정책국장(영주) 등이 그 면면이다.   

 

PK는 박 장관과 강 실장​ 외에 김혜진 감사관, 최태붕 비상안전기획관을 배출했다. 수도권인 서울 출신 고위직은 권준욱 건강정책국장과 양성일 국장이며, 곽숙영 사회서비스정책관은 경기 출신이다.  

 

김강립 기획조정실장과 김창보 장관정책보좌관은 강원도에서 태어났다. 복지부에서는 소수지만 강원도 출신들이 그 명맥을 이어왔다. 최근에는 강원도 홍천이 고향인 전만복 전 기조실장 등이 있다. 현재 김앤장법률사무소에 근무하는 전 전 실장은 춘천고(52회)와 강원대를 졸업했다.  

 

복지부 한 관계자는 “최근 공무원들의 출신 지역이 다양해졌지만 아무래도 고위직에는 호남 출신이 많이 남아 있다”면서도 “당장 5~10년 정도 지나면 복지부가 서울 출신 공무원들이 가장 많은 부처가 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