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 지급 대가로 지분 취득
트럼프 “앞으로도 인텔 건과 같은 거래 더 할 것”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 지분 10%를 미국 정부가 확보하고 완전한 소유와 통제를 갖게 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미국 정부는 인텔의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SNS ‘트루스소셜’에 “미국 정부가 이제 인텔의 지분 10%를 완전히 소유·통제하게 됐다”며 “미래가 더욱 기대되는 위대한 미국 기업과 협력하게 돼 영광”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거래를 “인텔과 미국 모두에 큰 의미가 있는 합의”라고 강조했다.
기존 최대 주주는 지분 8.92%를 보유한 자산운용사 블랙록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합의는 인텔의 립부 탄 CEO와 직접 협상했다”며 “정부는 이 지분을 위해 단 한 푼도 지불하지 않았고, 현재 가치로 약 110억 달러(약 15조원)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인텔의 첨단 반도체와 집적회로 생산은 미국의 미래를 지탱하는 핵심 산업”이라며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자”고 언급했다.
이번 지분 확보는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한 ‘반도체법(CHIPS Act·칩스법)’의 일환으로, 인텔에 지급된 대규모 보조금 대가라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해 11월 바이든 행정부는 인텔에 최대 78억6500만달러(약 10조 9000억원)의 직접 지원을 발표했고, 전체 지원 규모는 약 109억달러에 이른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지난 19일 칩스법 보조금을 활용해 인텔 지분 확보를 추진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러트닉 장관 발언 후 트럼프 행정부와 인텔은 합의 틀은 마련했다. 이어 인텔 이사회 승인 후 러트닉 장관과 탄 CEO가 최종 계약 조건에 합의했다.
탄 CEO는 “정부와 대통령의 신뢰에 감사한다”며 “미국의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도 “이번 합의로 미국의 반도체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북중미 월드컵 관련 행사에서도 이번 계약을 소개하며 “이런 거래를 앞으로 더 많이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 등 미국 내 투자를 늘리고 보조금을 받는 외국 기업에 대해서도 유사한 지분 확보 시도가 이뤄질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다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행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정부가 보조금을 받는 기업의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대형 해외 기업들까지 포함할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대통령실도 지난 21일 미국 정부가 반도체 보조금을 대가로 삼성전자 지분을 받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외신 보도와 관련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한 바 있다.
앞서 바이든 정부 시절 미국 상무부는 반도체법에 따라 TSMC(66억 달러), 마이크론(62억 달러), 삼성전자(47억5000만 달러) 등 주요 기업과 지원 계약을 체결했으며, 지원금은 미국 내 제조시설 투자 규모와 진행 상황에 맞춰 순차적으로 지급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