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90원에서 1만4900원으로 인상
내달부터 가입일별 순차 적용

세계 최대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가 13세 미만 미성년자의 단독 라이브 스트리밍(실시간 방송)을 금지했다. 한국 나이 기준으로는 만 14세 미만 아동이 적용 대상이다./사진=셔터스톡
구글이 운영하는 유튜브가 다음달부터 '유튜브 프리미엄 멤버십' 장기 가입자에 대해서도 구독료를 기존 대비 71%가량 인상한다. / 사진 = 셔터스톡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유튜브가 다음달부터 유료 서비스 ‘유튜브 프리미엄 멤버십’ 장기 구독자 구독료를 71%(6210원) 인상할 예정이다. 구독료 인상은 가입일에 따라 순차 적용된다.

27일 IT업계에 따르면 전날 구글은 다음달부터 유튜브 프리미엄 멤버십 서비스 장기 구독자를 대상으로도 월 1만4900원의 구독료를 적용하겠다고 공지했다. 장기 구독자의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료가 8690원이었단 점을 고려하면 약 71%(6210원) 오르는 셈이다. 구독료 인상은 가입일에 따라 다음달부터 순차 적용될 전망이다.

유튜브는 프리미엄 이용료를 작년 12월 국내 대상으로 약 43%(4450원) 인상한 데 이어, 장기 구독자에 대해서도 가격 인상을 단행한다. 국내 소비자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구글이 소비자 부담을 아랑곳하지 않고 구독료를 대폭 인상할 수 있던 데는 국내 영상 스트리밍 시장에서 지배적 사업자란 점이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가격 인상이 이뤄진 이후에도 유튜브의 이용자수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뛰어넘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앞서 유튜브는 지난해 12월초 국내 가입자 대상 유튜브 프리미엄의 구독료를 월 1만450원에서 1만4900원으로 43% 기습 인상한 바 있다. 당시 유튜브는 2020년 9월 이전부터 유튜브 프리미엄 멤버십 구독을 시작한 국내 가입자에게 4월 결제일부터 인상된 가격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장기 가입자를 대상으로 구독료 인상을 3개월 유예한 것이다.

이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넷플릭스는 작년 12월 사실상 구독료 4000원 인상을 단행했고, 토종 OTT 티빙도 베이직 요금제를 월 7900원에서 9500원으로 올리는 등 요금제를 약 20% 인상한 바 있다.

여기에 유튜브 프리미엄을 구독 중인 전체 회원에 대한 구독료 인상이 본격화함에 따라 국내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질 전망이다.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결합 상품도 가격도 인상이 예정됐다. KT는 오는 5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제휴 상품 중 하나인 유튜브 프리미엄의 구독료를 기존 월 9450원에서 1만3900원으로 인상할 예정이다. SK텔레콤도 오는 6월부터 구독 상품 패키지 '우주패스'에 포함된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 상품 요금을 40% 이상 인상한다.

구독료 인상은 있었지만 이탈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이 있더라도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의 대안이 없단 것이다. 유튜브가 마음껏 가격을 올릴 수 있는 이유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유튜브의 월이용자수(MAU·안드로이드OS+iOS 기준)는 4550만941명으로 집계됐다. 구독료가 인상된 지난해 12월 4564만5347명이던 이용자는 올 1월 4547만3733명으로 소폭 하락했지만, 한달만에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유튜브는 작년 12월 처음으로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 이용자수를 넘어선 데 이어, 매달 이용자수 격차를 확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유튜브와 카카오톡의 MAU 차이는 지난해 12월 10만4980명, 지난 1월 22만3989명, 지난달 30만7473명으로 집계됐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유튜브, 넷플릭스와 같은 플랫폼 사업자들은 저렴한 가격에 소비자를 끌어모으고, 소비자들이 플랫폼에 의존적이게 돼 벗어나기 힘들어지면 가격을 올린다. 소비자는 가격이 올라도 저항하지 못한다”며 “이동통신 서비스 요금도 그렇지만, OTT 요금도 사실상 고정지출이라서 가계통신비 부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같은 현상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온라인플랫폼을 규제 논의가 사업자 반대로 지지부진한데, 유튜브와 같은 시장 지배적 사업자들을 어떻게 컨트롤할 것인지 국가 간 규제 논의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이번처럼 또 다시 대폭 인상을 해도 막을 방법이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