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연체율 6.55%···1년 새 2배 ‘껑충’
건전성 악화에 대출 취급 위축···여신 규모 11조원 줄어
“연체율 상승으로 저축은행 신규 대출 취급 위축”
“연체채권 매각을 통한 연체율 관리 필요성↑”

저축은행 연체율 추이/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저축은행 연체율 추이/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지난해 말 저축은행 업권의 연체율이 전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연체율 악화로 대출을 보수적으로 취급하면서 여신 규모는 크게 감소했다. 대출이 줄어들면서 수익성 역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어 저축은행들의 연체채권 매각 필요성이 커지는 모습이다.

22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 연체율은 지난해 말 6.55%로 전년 말(3.41%) 대비 3.14%포인트 상승했다. 1년 새 2배 가까이 상승한 수준이다. 이는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가 발생했던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특히 기업대출의 연체율이 눈에 띄게 상승했다. 지난해 말 저축은행 업권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8.02%로 지난해 말 2.90%에서 5.12%포인트 급등했다. 가계대출의 경우 같은 기간 4.74%에서 5.01%로 0.27%포인트 상승했다.

경기 악화로 개인사업자와 소상공인들의 상환능력이 떨어지면서 기업대출 부문에서의 연체율 상승이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된다. 서민과 중·소상공인을 주거래 대상으로 하는 저축은행 특성상 경기침체와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타격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연체율이 오르면서 지난해 저축은행들은 리스크 관리를 위해 대출을 보수적으로 취급했다. 그 결과 여신 규모는 2022년 말 115조원에서 지난해 말 104조원으로 11조원(9.6%) 감소했다.

건전성 악화로 대손비용이 늘어난 것과 더불어 고금리 장기화로 이자비용이 증가하면서 저축은행의 수익성도 악화일로다. 저축은행은 2015년부터 8년간 흑자였으나 지난해 적자로 전환하면서 555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2022년 고금리 수신 유치에 따라 지난해 저축은행의 이자비용은 5조3508억원으로 전년 말(2조9177억원) 대비 83.4%(2조4331억원) 급증했다. 이는 전년 대비 약 1.8배 확대된 증가폭이다. 반면 이자수익은 2022년 말 9조6581억원에서 지난해 말 10조7501억원으로 11.3%(1조92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그 결과 이자이익은 지난해 말 5조3993억원으로 2022년 말(6조7404억원)보다 19.8% 감소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의 경우 지난 2022년 말 2조5731억원이었으나 작년 말에는 3조8731억원으로 50.5%(1조3000억원) 증가했다.

실적 개선을 위해서는 대출 취급을 확대해 여신 규모를 늘리고 예대마진을 끌어올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건전성 관리가 뒷받침돼야 한다. 연체율 상승은 저축은행의 대출 취급 확대를 가로막는 주요인이기 때문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건전성 개선을 위해 저축은행들이 연체채권 매각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시각이 제기된다.

박준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높아지는 연체율은 저축은행의 신규 대출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어 연체채권 상·매각 등을 통한 연체율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며 “최근 정부는 저축은행의 연체채권 매각채널을 확대하는 한편 취약차주의 채무조정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발표했는데 이는 취약차주에 대한 포용금융을 제공하는 동시에 저축은행 연체율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 업권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연체채권 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해 12월 저축은행 12곳의 1000억원 규모 부실채권을 우리F&I에 매각했다. 중앙회는 최근 각 저축은행들로부터 연체채권 매각 수요 조사를 받고 상반기 중 또 한 번 공동매각을 진행할 예정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나 대손충당금 적립률 및 손실흡수능력을 감안할 경우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며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위해 개인사업자 대출의 경우 새출발기금 외 민간매각을 올해 상반기 중에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