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말 온투업 대출잔액 1조889억원···올해 들어 다시 내리막길
평균 연체율 10% 넘어서···연체율 15% 초과 업체도 다수
연계투자사 모집 나선 온투업체들···기관투자 본격화 시기는 ‘미지수’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대출잔액 추이/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대출잔액 추이/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지난해 말 증가세로 전환했던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 대출잔액이 올해 들어 다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월 온투업에 대한 금융기관의 연계투자가 허용됐지만 업권 내 투자 활성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탓에 신규 대출 취급에 여전히 난항을 겪는 모습이다.

20일 온투업 중앙기록관리기관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국내 51개 온투업체의 대출잔액은 1조88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1조2793억원) 대비 14.9% 줄어든 규모다.

온투업계 대출잔액은 2022년 9월부터 작년 6월까지 10개월 연속 내리막길을 이어온 바 있다. 작년 8월에는 대출잔액이 1조669억원까지 떨어지며 저점을 찍었으나 9월부터 오름세를 나타내면서 12월 말에는 1조1189억원까지 늘었다.

그러나 올해 들어 대출잔액은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올해 대출잔액은 ▲1월 1조983억원 ▲2월 1조889억원 등으로 다시 쪼그라들고 있다.

대출잔액이 줄어들면서 온투업체들의 연체율도 치솟고 있다. 올해 2월 말 기준 국내 51개 온투업체 중 영업을 중단한 업체를 제외한 42곳의 평균 연체율은 10.57%로 지난해 말(8.88%) 대비 1.69%포인트 상승했다.

연체율이 15%를 넘어선 곳도 상당수다. 금융당국에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자로 등록된 51개 업체 중 연체율이 15%를 넘어선 업체는 11곳이다. 대출잔액 기준 상위 5개사(피에프씨테크놀로지스·8퍼센트·투게더펀딩·프로핏·크로스파이낸스코리아) 중 3위권인 투게더펀딩의 경우 상위 업체임에도 23.93%의 높은 연체율을 기록했다.

온투업 감독 규정에 따르면 상품 연체율이 15%를 초과하는 등 경영 건전성을 크게 해치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관련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이는 일종의 투자자 보호 장치로 금융당국이 연체율 15%를 넘어선 업체에 대해 경영 건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온투업계가 대출잔액 감소와 연체율 상승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투자 수요 위축 탓이 크다. 재작년부터 본격화된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으로 투자 수요가 크게 줄었고 온투업체들이 대출 사업에 운용할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자 신규 대출을 취급할 여력이 부족해진 것이다.

신규 대출 모집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정상 대출의 상환이 계속되면서 연체율 산정의 모수가 되는 대출잔액이 줄고 그 결과 연체율은 계속해서 악화되는 추세다. 또한 부동산 경기 침체가 심화됨에 따라 연체채권의 상황 및 매각이 더뎌지는 점도 연체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올해 2월 말 기준 온투업체의 상품유형별 대출잔액 비중을 살펴보면 부동산 담보가 61%,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4%를 차지하고 있다. 부동산 관련 대출이 전체 대출의 65%에 달하는 만큼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른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대출잔액 감소와 연체율 상승의 이중고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관투자 유치가 절실한 상황이다.

지난 1월 금융위원회가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통한 저축은행 등의 기관투자를 허용한 이후 주요 온투업체들은 투자 활성화를 위해 연계투자사 모집에 나서고 있다. 온투업 3개사(피에프씨테크놀로지스·8퍼센트·어니스트펀드)는 지난달 21일 여신금융협회에서 카드·캐피털 16개사를 대상으로 ‘온투플랫폼 혁신금융서비스 설명회’를 열었다.

다만 혁신금융서비스 지정까지 상당 기간이 소요되며 지정된 이후에도 투자를 위한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을 생각하면 기관투자가 실질적으로 이뤄지기까지는 시일이 더 걸릴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시각이다.

온투업계 관계자는 “온투업권에 투자 의향이 있는 금융사가 금융당국에 혁신금융사업자를 신청해 지정되는 것이 기관투자의 시작점인데 지정까지 걸리는 시간이 있다”며 “또한 연계투자사와 온투업체 간의 투자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기관투자가 언제부터 본격적으로 개시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