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조정안으로 ‘김포 7개·검단 2개’ 제안
김포시가 맡기로 한 건폐장 조성 ‘공동부담’
역사 ‘4곳→2곳’·건폐장 조성 부담에 인천 반발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서울 지하철 5호선 연장 노선을 두고 각기 다른 노선안을 요구해오던 인천시와 김포시의 희비가 엇갈리는 분위기다. 인천시와 김포시는 연장 노선의 정차역의 위치·개수를 놓고 팽팽히 맞서왔는데 정부가 사실상 김포시 요구에 가까운 조정안을 내놓은 것이다. 김포시는 조정안을 수용한다는 입장이지만 인천에선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향후 주민 의견 수렴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23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내놓은 ‘서울 지하철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 노선 조정 및 사업비용 분담 방안’에 따르면 연장 노선은 총 25.56㎞로, 서울 방화역부터 인천 검단신도시 2개역을 경유해 김포 한강2신도시까지 이어진다. 전체 정거장은 10개다. 김포 7개, 인천 2개, 서울 1개 등이다.

5호선 연장은 김포와 인천 내 신도시 주민의 출퇴근난 해결을 위해 2017년부터 추진해 왔다. 그러나 통과 노선과 정차역을 두고 김포시와 인천시 간 대립이 격화하면서 사전타당성 조사가 중단됐다. 대광위는 지난해 1월부터 중재에 나섰고 일부 공감대를 형성해 중재안을 내놨다.

/ 그래픽=시사저널e
/ 그래픽=시사저널e

5호선 연장 노선의 핵심 쟁점은 인천 권역에 들어서는 역사 수였다. 인천시는 인천 검단신도시 지역과 그 인근인 서구 원당동(2개), 아라동(1개), 불로동(1개) 등 총 4개 역사를 설치해줄 것을 요구해 왔다. 인천시는 주민 수용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인천시 노선안이 최적이라는 입장이다. 계획 인구가 18만명에 이르는 검단 지역을 많이 경유하고 인천 지하철과 환승되는 역이 늘어나면 경제성과 수혜지역이 커진다는 것이다.

반면 김포시는 인천시가 요구한 노선이 ‘U’자로 휘어져 비효율성이 크다며 인천 권역에선 불로동(1개), 원당동(1개) 등 2개 역사만 설치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2033년 준공 예정인 김포한강 콤팩트시티(4만6000가구) 입주민들이 연장 비용 일부를 부담하는 만큼 우회가 아닌 직결 노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해당 노선안이 대광위 ‘광역교통 2030’에 반영된 김포한강선 원안이고 서울시의 방화차량기지·건설폐기물처리장 이전 조건을 수용해 5호선 연장사업의 불씨를 살린 점 등도 내세웠다.

국토부는 이번 중재안에서 인천시가 요구한 아라동 1개 역사, 인천시와 김포시가 동시에 제안한 원당동 1개 역사를 수용했다. 아라동역은 반경 500m 내 수혜 인구는 2만1586명으로 서울 출퇴근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원당동 1개 역사도 지자체 간 이견이 없고 일일 수요가 1만8100명으로 수요가 탄탄해 조정안에 반영했다. 다만 불로동역은 수요가 1.5배 더 많을 것으로 예측된 김포시 감정동으로 조정했다. 인천시가 추가로 요구한 원당동역은 조정안에서 제시한 다른 역과 1km 내외로 가까워 수요가 적을 것으로 판단해 제외됐다.

5호선 연장은 예정대로 사업을 진행하면 9년 뒤인 2033년 연장선 운행이 가능할 전망이다. 사업비는 김포시와 인천시가 나눠서 분담한다. 국토부는 인천지역 사업비로 6714억원, 김포지역 사업비로 2조2648억원을 산정했다. 김포시에 들어설 건설폐기물처리장 역시 인천시와 김포시가 비용을 분담한다.

김포시는 중재안을 수용한다는 입장이다. 김포시는 보도자료를 통해 “대광위 발표로 51만 대도시 김포의 최대 난제로 꼽혔던 5호선 김포 연장에 대한 해결점을 바라보게 됐다”며 “향후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등 5호선 연장 사업이 신속히 추진되게 발 빠르게 움직이겠다”고 밝혔다.

인천시와 주민들은 “수용할 수 없다”며 중재안에 반발하고 있다. 인천시가 주장했던 U자형이 받아들여졌지만 검단신도시 등 요구했던 4개 역사가 2개로 줄었다는 것이다. 시민들이 반대해오던 건폐장 조성비에 대해서도 대광위가 김포시와 공동 추진하라고 한 점도 반발을 키운 요인이다. 인천시는 언론 브리핑을 통해 “서구 검단신도시의 교통 편의를 위해 원당역 등 역 추가 설치를 위한 논의가 지속돼야 한다”며 “5월 최종안이 확정될 때까지 성실하게 논의가 진행돼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정부는 다음 달부터 주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올 상반기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하지만 인천이 반발하면서 향후 주민 의견 수렴과정에서 난항이 예상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두 지자체 중 한 곳이라도 중재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다시 협의를 진행해야 한다”며 “대광위도 추가역 설치에 대해 논의가 가능하다는 입장인 만큼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