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오는 2월 29일까지 신청
인천·수원·고양 등 수도권 비롯, 강원·전북·충북 등 참여···"전략 수립 중, 지역 활성화 기대"

[시사저널e=김지원 기자] 정부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바이오 첨단특화단지’ 공모에 나선 가운데, 비수도권 지역의 공모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국내 바이오 산업 역시 수도권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가운데, 특화단지 지정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강원도와 전라북도는 산업통상자원부(산자부)가 주관하는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첨단특화단지)’ 공모에 참여한다. 바이오 첨단특화단지 조성과 지원은 바이오 분야를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신규 지정한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7월 반도체·디스플레이·2차전지 등 3개 분야에서 전국 7개 특화단지를 지정했으며, 최근 바이오 분야를 새롭게 지정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존 반도체, 이차전지 등 7개 분야에 더해 바이오 첨단특화단지까지 추가로 조성할 계획이다. 

첨단특화단지로 선정되면 신속한 인허가 처리가 가능해지고, 국·공유 재산 사용료가 감면된다. 특화단지에 입주하는 기업은 기술 개발, 생산성 향상 및 수출 촉진, 인력 양성 등에 대한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바이오 지역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오는 배경이다.

전국 각지는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인천·수원·고양 등 수도권을 포함해 강원·전북·충북권 등도 참전을 선언했다. 이번 바이오 특화단지 공모는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전략산업등 관련 기업이 신청가능하다.  

전북도는 '생명공학연구원' 등 24개소 국공립 연구기관이 있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도내 5개 대학을 중심으로 관련학과가 다수 존재하며 바이오 관련 사업단 보유 현황 등 전문인력이 풍부하다는 점도 내세운다. 

특히 기구축된 그린 바이오 분야(환경)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 중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전라북도는 그린바이오에 강점이 있는데, 그린바이오를 고도화해 레드바이오(의약품 등 분야)까지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라며 “후보물질 등 현재 갖추고 있는 인프라를 활용해 레드 바이오의 경쟁력까지 확대할 수 있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그는 “농업 부문에 치중하던 그린바이오에서 레드바이오까지 분야를 확장한다면,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 기대한다”며 “시도간 경쟁이 치열한 만큼, 최선을 다해 준비 중”이라고 강조했다. 

강원도는 바이오 특화단지 유치를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소재한 대학 및 기업과 MOU를 체결했다. 먼저 차병원·바이오그룹의 미국 계열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와 MOU를 체결하고, 도내 제약산업과의 연계 방안을 모색한다.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오톰과도 협약식을 진행했다. 도는 협약을 바탕으로 연구 개발 활성화, 우수 인재 양성, 양국 대학·기업 간 협력을 추진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서던 캘리포니아대, 오톰과의 협력은 데이터와 관련된 것”이라며 “CT와 X-ray 등 데이터 활용 부분에 있어 국내 식품의약국안전처의 허가와 관련한 지원협약을 맺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바이오 시장 진출 시 대학과의 연구협력 등을 지원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며, 장기적 협력 관계 구축을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원도는 춘천을 중심으로 90년대부터 바이오 산업을 육성해왔던 만큼, 이번 특화단지 공모에 기대가 크다는 설명이다. 그는 “춘천시는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등을 통해 체외진단 등 바이오 산업 육성을 진행해왔다”며 “동물실험실 등 인프라도 갖췄다”고 말했다. 이어 “춘천과 홍천이 함께 묶여 체외진단과 항체 바이오 의약품 분야를 컨셉으로 전임상 단계 등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또 강원도가 ‘특화단지’로 선정된 적이 없는 만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산업 육성이 필요한 점을 어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작년에 다양한 지역이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선정됐다”며 “강원도만 특화단지라는 명칭의 프로젝트가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미 바이오 연구개발 진행이 되고 있으며 기반이 있다는 점과 함께,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강원도가 특화단지로 지정돼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구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2022년 권역발 바이오 산업 현황./자료=한국바이오협회 재가공,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경북 포항시는 바이오프린팅 원천기술을 보유한 포스텍과 함께 바이오프린팅 기술 등을 접목한 오가노이드(organoid·유사장기) 분야를 강조한다는 전략이다. 지역 내 첨단 연구개발 기반을 중심으로 오가노이드 분야 역량을 내세운다. 

포항시 관계자는 “포항시는 포스텍 및 한동대 등 우수 연구인력 및 기관과 연구장비의 집적으로 첨단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된다면, 바이오 헬스 산업 중심 도시로써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해 지방소멸을 극복하는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하기도 했다. 

충청권에선 충남 대전시와 충북 오송이 특화단지 공모사업에 나선다. 대전시는 정부의 바이오 첨단특화단지 공모를 위해 워킹 그룹을 조성해 본격적인 유치활동을 시작했다. 워킹 그룹을 통해 대전시는 전략 계획을 세운 뒤 2월 말까지 지정신청서와 특화단지 육성계획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산업부의 평가 기준에 경쟁력 있는 기술과 산업단지 확보 가능 여부, 지역산업과 동반 산업이 가능한지 등이 있다”며 “대전시의 경우 항체 치료제로 유명한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카티 치료제 기업 큐로셀 등이 소재한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의약품 분야에 기술과 강점이 있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강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수도권 외 지역은 첨단특화단지 지정으로 기업·인력 유입과 관련 산업 생태계 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바이오 산업 역시 국내에선 수도권 편중 현상이 나타나는데, 수도권 이외 지역의 지정으로, 지역균형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다. 

국내 바이오 산업은 수도권 편중 현상이 나타난다. 국내 바이오산업의 지역별 연구개발(R&D) 투자 금액은 격차가 최소 3배에서 최대 430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자부와 한국바이오협회가 최근 발간한 ‘2022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 연구개발 투자 금액은 1조6345억원으로 전국 최대 규모를 기록했지만, 충청권은 5146억원, 강원권은 1045억원, 영나권 965억원, 호남권 314억원 등이었다. 기업수와 인력 역시 수도권이 가장 많았다. 기업수는 수도권 656개, 충청권 217개, 영남권 90개, 호남권 74개, 강원권 45개, 제주권 7개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