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카드, 당일 코스트코 리워드 현대카드 2종 신규·갱신 발급 중단 통보
고객들, 사전 예고없이 기습 신규·갱신 발급 중단 소식에 '당혹' 반응
카드 단종 관련해 별도 의무사항 없어···업계, '수익성 분석체계 가이드라인' 주효
2020년 시행됐던 가이드라인 영향 지속 강화···업황 악화와 함께 복합적인 요소 작용

코스트코 리워드 현대카드, 코스트코 리워드 비즈니스 현대카드 발급 종료 안내 / 사진=현대카드 캡처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최근 하나카드에 이어 현대카드가 신규·교체·갱신·추가 발급 중단을 사전공지 없이 당일 갑작스럽게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 단종 전 사전 공지 없이 관련 조치를 진행하면서 고객들 사이에서 불만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카드사들의 조치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카드 단종 안내 관련해 별도 의무사항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이러한 추세적 변화에 대해 수익성 분석체계 가이드라인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카드는 지난달 27일 코스트코 리워드 현대카드 2종의 신규·교체·갱신·추가 발급을 중단 사실을 당일 안내했다. 사전 예고없이 갑작스럽게 카드 발급이 중단됐다는 소식에 그 동안 신규 또는 교체를 생각했던 고객들은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일부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납득하기 어렵다거나 이전에는 보이지 않던 모습이라는 점에서 다소 황당하다는 목소리도 끊이지 않고 있다. 고금리 여파로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소위 혜자카드(혜택이 좋은 카드)를 단종시키고 서비스 혜택을 줄이는 현상이 지속됐지만 기습적으로 당일 발표하는 경우는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코스트코 리워드 현대카드는 코스트코멤버십 보유 회원만 신청할 수 있었지만 실적 충족여부와 관계없는 포인트를 적립해줬고 연회비는 연 1만원으로 저렴해 큰 인기를 끌었다. 연간 이용금액이 30만원이 넘으면 다음해 연회비도 면제됐다. 코스트코멤버십과 하나로 합쳐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겸용 측면에서 활용이 뛰어났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고객들의 선택권 보호를 위해 기존 상품의 유효기간 도래 예정 고객에 한해 갱신을 안내했다"며 "대상 고객 중 원하는 고객들에게는 신상품으로 갱신 발급을 진행하고 있는 중이다"고 설명했다.

카드업계에서는 논란은 있지만 당일 신규·교체·갱신·추가 발급 중단 안내를 두고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별도 의무사항이나 가이드라인이 없는데 소비자 편의를 위해 안내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현대카드만 기습적으로 신규 발급과 갱신 중단을 한 것도 아니다. 앞서 하나카드도 지난달 초 하나멤버스 1Q(원큐) 카드 Daily BC 등 8종 신용카드의 신규·교체·갱신·추가 발급이 중단된다는 사실을 당일 안내해 비슷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처럼 카드사들이 혜자 카드 신규·교체·갱신·추가 발급 중단을 유예기간 없이 일시에 대규모 중단하는 추세 변화에 대해 현재 시행중인 '수익성 분석체계 가이드라인'이 주효했다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 2020년 1월부터 수익성 분석체계 가이드라인을 도입하면서 고객에게 많은 혜택이 제공되는 상품을 운영하는 데 직접적인 규제를 마련한 바 있다.

수익성 분석체계 가이드라인은 카드사가 신상품을 개발할 경우 판매비용보다 판매수익이 크도록 설계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카드 상품이 적자를 낼 경우 그 원인과 대응방안 등을 분석해 이사회에 보고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카드사의 마케팅 비용이 카드운영 건전성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이유 때문이다.

무엇보다 수익을 산정할 때 신인도 제고, 계열사 시너지 효과 등 모호한 간접효과를 제외하도록 했다. 이는 카드사들이 혜택을 몰아넣은 '간판 상품'을 적극적으로 마케팅하면서 발생하는 손실을 간접효과 명목으로 상쇄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실제 카드사들은 마케팅에 주력해 카드 발급을 최대한 늘린 다음 이 실적을 다시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시너지 효과 등 간접효과를 제외하도록 해 혜택을 몰아넣은 '간판 상품'이 수익을 좌우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 핵심이다.

비용은 부가서비스, 마케팅, 판매관리비, 각종 지급수수료, 모집비용 등 신용판매와 관련된 모든 직·간접 비용을 포함한다. 부가서비스 비용은 회원의 카드이용 행태와 관련한 요인을 고려해 최대한 보수적으로 산정하도록 했다. 

결과적으로 수익보다는 비용이 과도한 상품을 출시하는 부분이 통제되면서 부가서비스가 감축됨에 따라 소비자 혜택이 줄어드는 현상으로 나타났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2020년부터 시행됐던 수익성 분석체계 가이드라인 영향이 지속 확대되고 강화되는 보인다”며 "대내외적 업황 악화와 함께 각 카드사들이 상품 구조조정을 하는 등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